$\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 흰잎마름병 저항성 차이에 따른 병 발생정도와 수량 및 미질의 비교
Disease Incidence, Yield and Quality Comparisons among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4 no.3, 2008년, pp.171 - 175  

노태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기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이두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심형권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강미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박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초록

벼 흰잎마름병 발병 상습지인 전북 김제, 전남 영암, 장흥에서 감수성인 '남평벼', 저항성인 '강백벼'(xa5)와 '익산493호'(Xa3+xa5)에 대해 병 발생과 수량 및 미질의 피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벼 발생율은 김제지역이 병 발생이 가장 심한 반면 전남 두 지역은 초발병 시기가 늦어 비교적 낮은 발병율을 보였다. '남평벼'가 $98{\sim}23%$로 전 지역에서 파장 감수성을 보였다. 반면, '강백벼'와 '익산493호'는 각각 $2{\sim}15%$, $2{\sim}6%$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쌀 수량은 발병율이 가장 높은 전북 김제지역에서만 발병정도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감수성인 '남평벼'가 352 kg/10a인 반면 저항성인 '익산493호'는 540 kg/10a로 65%의 차이를 보였다. 쌀 미질은 발병정도에 관계 없이 완전립율과 심복백 비율등의 외관상 미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병율이 낮았던 지역에서는 Xa3+xa5를 보유한 '익산493호'는 완전립율, 심복백 비율등이 xa5을 가진 '강백벼'에 비해서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특히 밥맛에 큰 영향을 주는 단백질 함량은 '남평벼'에서는 발병정도에 따라 불안정한 곁과를 보였으나 저항성 품종들에서는 $6.9{\sim}9.8%$로 균일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ence of rice bacterial leaf blight (BLB) disease incidence on yield and quality of Nampyung, Gang-baek and Iksan493 was investigated in three areas, Gimje, Yeongam and Jangheung, frequently found BLB infested rice. The infection rate of Nampyung, susceptible to BLB disease, was hig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최근 육성된 품종이나 보유 유전자의 수량 및 피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각각 다른 저항성 유전자를 보유한 품종을 이용하여 각각의 유전자에 따른 발병정도 및 이에 따른 벼 수량과 미질의 피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nman J. M., Khush G. S. and Nelson R. J. 1992. Breeding rice for resistance to pest. Ann. Rev. Phytopathol. 30: 507-528 

  2. Cha H. H., Kim Y. S., Kim D. K., Lee D. K. and Kim M. S. 1982.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fertilizer on the susceptibility to bacterial leaf blight, yield and quality of grains in nineteen rice cultivars in Jeonnam region. Korean J. Plant. Prot. 21: 216-221 

  3. Cho Yong Sup. 1978. Problems and prospect of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in Korea. Seoul Nat'l Univ. of Agric. Bull. 3: 65- 74 

  4. Ezuka, A. and Kaku, H. 2000. A historical review of bacterial blight of rice. Bull. Natl. Inst. Agrobiol. Resour. (Japan). 15: 1- 207 

  5. Jeung, J. U., Heu, S. G., Shin, M. S., Vera Cruz, C. M., and Jean, K. K. 2006. Dynamics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populations in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to known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Phytopathology 96: 867-875 

  6. Kim, B. K., Shin, H. T., Lee, J. G., Ko, J. K., Shin, M. S., Ko, J. C., Choung, J. I., Ha, K. Y., Kim, Y. D., Nam, J. K., Kim, Y. G. and Kim, S. C. 2005. A new high yielding, good quality and wet-direct seeding adaptable rice variety, "Dongjin 1". Korean J. Breed. 37: 247-248 

  7. Kim, K. Y., Shin, M. S., Shin, S. H., Noh, T. H., Ko, J. C., Kim, W. J., Kim, B. K. and Kim J. G. 2008. Development of Japonica rice "Iksan493" conferring Xa3 and xa5 Genes resistant to Bacterial Blight of New Race, K3a. 한국육종 학 회 40권 별책 1: 64p 

  8. Lee, K. H. 1975. Studies on the epidemiology and control of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in Korea. Korean J. Plant Protection 14: 111-131 

  9. Mew, T. W. 1989. An overview of the world bacterial blight situation. In : Bacterial Blight of Rice. IRRI. 154-166 

  10. Mizukami T. and Wakimoto S. 1969. Epidemiology and control of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Ann. Rev. Phytopathol. 7: 51-72 

  11. Noh, T. H., Lee, D. K., Kang, M. H., Shin, M. S. and Na, S. Y. 2003. Identification of new race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in Korea. Phytopathology 93(suppl.): S66 (Abstr.) 

  12. Noh, T. H., Lee, D. K., Park, J. C., Shim, H. K., Choi, M. Y., Kang, M. H. and Kim, J. D.. 2007. Effect of bacterial leaf blight occurrence on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in different roce growth stage. Research in Plant Disease 13: 20-23 

  13. 농촌진흥청. 2007. 2006년도 농작물 병해충 예찰 방제 보고서. 83-85 

  14.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2007. 2007년도 시험 연구사업 연구계획서. 1-10 

  15. Ou, S. H. 1985. Rice diseases (2nd ed.). Commonwelth. Mycological Institute 63-64 

  16. Rao, P. S. and Kauffman, H. E. 1977. Potential yield losses in dwarf rice varieties due to bacterial blight in India. Phytopath. Z. 90: 281-284 

  17. Reddy, A. P. K., Katyal, J. C., Rouse, D, I. and Mackenzie, D. R. 1979. Realionship between nitrogen fertilization, bacterial leaf blight severity, and Yield of rice. Phytopathology 69: 970-973 

  18. Reddy, A. P. K., Mackenzie, D. R., Rouse, D, I. and Rao, A. V. 1979. Relationship of bacterial leaf blight severity to grain yield of rice. Phytopathology 69: 967-969 

  19. Rola, A. C. and Widawsky. 1998. Pest, pesticides and Interrelated pest management in rice. Impact of Rice Research IRRI and TDRI 135-158 

  20. Shin, M. S., Shin, H. T., Jun, B. T. and Choi, B. S. 1992. Effects of inoculation of compatible and incompatible bacterial blight races on grain yield and quality of two rice cultivars. Korean J. Breed. 24: 264-267 

  21. Shin, H. T., Shin, M. S. and Cho, S. Y. 1998. Breeding of nearisogenic lines for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in rice. Korean J. Breed. 30: 185-191 

  22. Shin, M. S., Park S. Z., Shin, H. T. and Lee S. Y. 1994. Breeding of near-isogenic lines for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in rice. Korean J. Breed. 26: 238-242 

  23. Tashiro, T and Ebata, M. 1975. Studies on white belly rice kernel. III. Effect of ripening conditions on occurrence of white belly kernel. Proc. Crop Sci. Soc. Japan 44: 86-92 

  24. Yun, M. S., Lee, E. J., and Cho, Y. S. 1985. Pathogenic specialization of the rice bacterial leaf blight pathogen,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Race classification based on reactions of Korean differential varieties. Korean J. Plant Prot. 24: 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