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갯벌의 평가기준 개발과 전남 지역갯벌의 평가
Criteria and Evaluation of Local Tidal Flats for Designating Conservation Sites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7 no.12, 2008년, pp.1391 - 1402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ignating conservation sites is needed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idal flats, and also objective criteria, by which preservation values of tidal flats can be evaluated, are required to designate conservation sites. A set of new evaluation criteria or tidal flats was suggested in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본 연구는 갯벌의 보전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새로운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이 평가기준은 희귀성, 다양성, 자연성, 전형성, 훼손 가능성, 지역의 보존 의지 등 6개 항목에 의해 갯벌을 평가하는 정량적이며 객관적인 방법으로서 전문가에 의한 최소한의 조사와 기존자료를 통해 쉽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갯벌에 대한 보호지역 지정은 날로 황폐해져 가는 연안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보호 장치로서 연안 오염을 방지하고 생태계를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최근 거주에 불편하고 개발에 걸림돌이 된다는 이유로 보호지역을 해제하려는 움직임이 있고, 지속 가능한 이 용을 위해 오히려 보호지역을 확대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의 사례연구와 기존의 평가 기준을 재검토하여 갯벌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새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그 기준에 의해 전남의 주요 갯벌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갯벌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외국의 사례연구들을 조사하였다. 즉 외국은 어떠한 항목과 기준을 가지고 보호지역의 보전가치를 평가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평가항목들을 도줄하였다.
  • 그리고 전형성, 훼손가능성, 지역의 보존의지 등에 대해서도 Table 3에 제시된 세부항목과 기준을 토대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형성의 경우, 갯벌의 종류(하구갯벌, 만 또는 열린해안 갯벌, 섬갯벌)와 갯벌의 상태(성장갯벌, 평형갯벌, 후퇴갯벌)를 평가함으로써 우리나라 갯벌의 전형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훼손 가능성의 경 우에는 간척 및 매립 계획의 유무 및 양식장 면적을 토대로, 그리고 지역의 보존의지는 갯벌보호에 대한 지자체 및 지역주민의 의지를 반영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Field J. G., Hempel G., Summerhayes C. P., 2002, Oceans 2020, Island press, 365pp 

  2.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2, 해상국립공원의 합리적인 관리방안 연구, 233pp 

  3. 환경부, 1999, 국립공원구역 타당성 조사기준, 12pp 

  4. 해양수산부, 2006, 연안습지보호지역 지정기준 마련을 위한 워크숍, 18pp 

  5. Rattcliff D. A., 1977, A nature conservation revie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64 

  6. Usher M. B., 1980, An assessment of conservation values within a large site of special scientific interest in North Yorkshire, Field Studies, 5(2), 323-348 

  7. Eagles P. F. J., 1984,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Longman Inc., 40-46 

  8. Millard A. B., 1993, Ecological survey and evaluation of the proposed earth centre site, Leeds Metropolitan University, 65pp 

  9. London Ecology Unit, 1994, Policy, criteria and procedures for identifying nature conservation sites in London, London Ecology Unit, 9pp 

  10. Klijin F., 1994,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23pp 

  11. Sutherland W. J., Hill D. A., 1995, Managing habitats for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83 

  12. English Nature, 1997, Nature conservation objectives in shoreline management plan: a suggested approach, English Nature, 30pp 

  13. Kelleher G., 1999, Guidelines for marine protected areas,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107pp 

  14. 고창군, 2007, 고창갯벌 습지보호지역 지정계획 (안), 268pp 

  15. 한국자원연구소, 1971, 한국지질도(망운도폭) 1:50000, 25pp 

  16. 박용우, 1998, 함평만 조석잔차류와 천해조에 관한 수치실험, 석사학위논문, 해양학과, 전남대학교, 광주, 80pp 

  17. 국립지리원, 1983, 연안해역 기본조사 보고서(법성포 지역), 60pp 

  18. 기상청, 1991, 한국기후표: 제II권 윌별평년값 (1961-1990), 418pp 

  19. 장진호, 김여상, 조영길, 1999,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한국 서해안의 함평만, 한국해양학회지-바다, 4, 117-126 

  20. 해양수산부, 2002, 무안갯벌 습지 보호지역 관리계획, 75pp 

  21. 환경부, 2003, 우리나라 서남해안 염습지 염생식물 군락의 생태적 현장보존 및 관리기술 개발(중간보고서), 292pp 

  22. 이두표, 김상범, 1997, 신안 일대의 조류, 18pp 

  23. 수로국, 1994, 수로기술연보(서지 제1101호), 132-149 

  24. 해양수산부, 2002,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885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