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경(內經)" 중심으로 경락(經絡)과 피부(皮膚)에 관한 연구(硏究)
The mutation research which with problem of the Spleen and the Stomach appears in skin care 원문보기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informatics, v.14 no.2, 2008년, pp.11 - 20  

김명주 (광주보건대학피부미용과) ,  전현정 (원광대학교한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Hwang Jae Nai Kyung(黃帝內經)", it is one among Uihak5kyung(醫學五經), is originally total of 18 volumes, the first half of 9 volumes are Somun(素問) and the latter half of the others are Youngchu(靈樞). Also, it is best of old book and literature integrating process of Chinese's medicine. Somun(素...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黃帝內經』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피부(皮膚)에 관한 기록을 조사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하여 파악하고, 한의학적인 피부의 생리기능 및 역할과 장부와의 관계, 병리관계와 피부와 관련된 진단과 치료법에 대하여 분석하며, 이에 한의학적인 부분과 피부미용학적 접근을 위해 응용 되어질 수 있는 경락마사지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관련된 12경락(經絡)과 오장육부와의 관계 및 피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피부미용적(皮膚美容的)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은 앞으로 더 향상된 관리방안을 위해 경락학적 측면에서 정확한 한의학의 근본원리와 경혈의 주치증 및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오장의 경락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경혈 또한 오수혈(五輸穴)과 주요혈을 중심으로 나타날 수 있는 변이와 개선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수태음 폐경에서는 문제성 피부 개선을, 족태음비경에서는 피부의 탄력, 수소음 심경에서는 여드름, 족소음신경에서는 탈모와 부종, 족궐음간경에서는 비만과 독소제거를 중심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 황제내경에서는 인체를 분석적인 방법이 아닌 유기체적인 관계로 관찰하는 한의학의 기본원리로 접근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를 하는 것을 근본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한의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내경(內經)을 바탕으로 미용과 접목시키고자 함에 건강한 삶과 외적인 아름다움을 함께 추구할 수 있는 진정한 웰빙(well-being)문화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있어 건강증진학적인 차원에서 미용의 개념을 추구하고자 한다.
  • 『黃帝內經』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피부(皮膚)에 관한 기록을 조사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하여 파악하고, 한의학적인 피부의 생리기능 및 역할과 장부와의 관계, 병리관계와 피부와 관련된 진단과 치료법에 대하여 분석하며, 이에 한의학적인 부분과 피부미용학적 접근을 위해 응용 되어질 수 있는 경락마사지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관련된 12경락(經絡)과 오장육부와의 관계 및 피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피부미용적(皮膚美容的)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내경(內經)의 문헌을 중심으로 피부에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이 및 상태를 미용학적 관점에서 조사하고, 그에 따른 관리방안과 개선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인 한의학이론을 근거를 바탕으로 피부미용에 응용되는 경락선상의 기(氣)의 흐름을 조절 해주는 경락마사지를 행하도록 제시해 보고자 중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문의 특징은? 본 논문의『황제내경(黃帝內經)』은 의학 5경(醫學五經)의 하나로 이 책은 원래 총18권이며 전반 9권은 소문(素問), 후반 9권은 영추(靈樞)로 구분되고 중국 의학서 가운데 최고의 고전으로 고대 중국의학의 성장과정을 집대성한 문헌이다. 소문은 인체의 생리, 병리, 병인론에 관한 의학의 기초문제부터 섭생, 양생 등의 예방의학적 부분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하게 의학적 원론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영추는 진단과 치료, 침구법 등 치료적인 부분을 수록하고 있다. 황제내경에서는 인체를 분석적인 방법이 아닌 유기체적인 관계로 관찰하는 한의학의 기본원리로 접근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를 하는 것을 근본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오장육부의 기능완화에 효과를 내는 것은? 현재 수많은 피부 전문 관리실에서는 기기관리와 수기요법을 이용한 마사지(스웨디식, 타이, 아유르베다, 림프, 추나, 아로마) 등을 통해 많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황제내경에서 인체 치료를 어떻게 정의했는가? 소문은 인체의 생리, 병리, 병인론에 관한 의학의 기초문제부터 섭생, 양생 등의 예방의학적 부분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하게 의학적 원론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영추는 진단과 치료, 침구법 등 치료적인 부분을 수록하고 있다. 황제내경에서는 인체를 분석적인 방법이 아닌 유기체적인 관계로 관찰하는 한의학의 기본원리로 접근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를 하는 것을 근본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한의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내경(內經)을 바탕으로 미용과 접목시키고자 함에 건강한 삶과 외적인 아름다움을 함께 추구할 수 있는 진정한 웰빙(well-being)문화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있어 건강증진학적인 차원에서 미용의 개념을 추구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