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온도를 달리한 고들빼기김치의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axim) Kimch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5, 2008년, pp.617 - 625  

김행란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이인선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dulbaegi kimchi during storage at $20^{\circ}C$ and $5^{\circ}C$. The pH and reducing sugar of Godulbaegi kimchi decreased, and the total acidity and color difference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들빼기에 대한 연구로는 고들빼기의 화학성분에 대한 연구(Lee SR 등 1992, Shin SC 1988), 고들빼기 추출물에 관한 연구(Bae SJ 등 1998), 이고들빼기의 휘발성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Lee MS와 Kim MK 1989), 고들빼기의 갈변(Park SS와 Kim AK 1984)과 생리활성 물질 검색(Shin SC 1993)에 관한 연구, 고들빼기김치의 숙성 중 클로로필 및 유도체에 관한 연구(Kim GE 등 1998), 고들빼기의 채취시기와 침지방법별 발효 특성에 관한 연구(Shin SC 1996)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고들빼기김치의 숙성온도와 저장기간의 변화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고들빼기김치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서는 숙성온도와 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약재와 김치 및 나물로서 식용되어진 고들빼기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20℃와 5℃에 저장하면서 화학적 특성과 함께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저장온도에 따른 고들빼기김치의 적숙기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들빼기김치를 제조할 때 고들빼기 특유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 고들빼기의 종류에는 고들빼기 외에도 왕고들빼기, 애기고들빼기, 지리고들빼기, 두메고들빼기, 이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 등이 있고, 예전에는 산과 들에서 자생하였으나 요즘에는 농가에서 많이 재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CJ 등 2001). 고들빼기의 맛과 향은 인삼을 씹을 때와 비슷하여 ‘인삼김치’라고도 하며 특유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김치 제조 전에 소금물에 침지하여 쓴맛을 우려내어 사용한다. 고들빼기김치는 예로부터 경상도와 전라도권에서 주로 애용되어 그 지역의 향토음식으로 자리 매김 되었으나 요즘에는 인터넷 시장의 활성화로 인하여 도시에서도 손쉽게 고들빼기김치를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근래에 보고된 고들빼기의 효과는? 주성분은 이눌린(inulin)으로 매우 떫고 쓴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로 어린잎이나 뿌리를 데친 후 양념에 무치거나 김치를 담가 먹기도 하고 해열, 건위, 조혈, 소화불량, 폐렴, 간염, 타박상, 종기 등의 치료제로도 쓰인다(KFCS 2003). 민간에서는 예로부터 위장장해를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고, 근래에는 혈청의 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Kim JY 등 1998)와 함께 고지혈증과 관련하여 지질대사를 개선시키며 지방간으로 인한 간세포의 손상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보고(Lim SS 등 1997, Lee YE 2005) 되는 등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고들빼기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고들빼기의 종류에는 고들빼기 외에도 왕고들빼기, 애기고들빼기, 지리고들빼기, 두메고들빼기, 이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 등이 있고, 예전에는 산과 들에서 자생하였으나 요즘에는 농가에서 많이 재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CJ 등 2001). 고들빼기의 맛과 향은 인삼을 씹을 때와 비슷하여 ‘인삼김치’라고도 하며 특유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김치 제조 전에 소금물에 침지하여 쓴맛을 우려내어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2. Bae SJ, Kim NH, Roh SB, Jung BM. 1998. The effects of godulbaegi extracts on the fluidity of phospholipid liposomes by DSC.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3):518-524 

  3. Cha YJ, Lee YM, Jung YJ, Jeong EJ, Kim SJ, Park SY, Yoon SS, Kim EJ. 2003.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inor ingredients for winter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4):555-561 

  4. Chae SG, Kang KS, Rue ID, Ma SJ, Bang KY, Oh MH, Oh SH. 2006. Standard food analysis theory & practice. Ji-gu publishing Co. Gyeonggi-do. Korea. pp 545-551 

  5. Choi HS. 2005. Physiolog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4(1):2-10 

  6. Ha DM. 2003. Sikpum Misaengmulhak (Food microbiology).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42 

  7. Hwang JH, Song YO, Cheigh HS.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red mustard lea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6):1009-1015 

  8. Jin SK, Kim IS, Hah KH, Park KH, Kim IJ, Lee JR. 2006. Changes of pH, acidity, protea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2):159-165 

  9. KFCS. 2003. Dictionary of food & cookery science. Kyomun Press. Seoul. Korea. p 27 

  10. KF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Food Science. Hyoil Press. Seoul. Korea. pp 220-222 

  11. Kim EM, Kim GH. 2004.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ster glehni kimch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 11-16 

  12. Kim GE, Kim SH, Cheong HS, Yu YB, Lee JH. 1998. Changes of chlorophylls and their derivatives contents during storage of green onion, leek and godulbaegi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6):1071-1076 

  13. Kim HR, Cho KJ, Kim JS, Lee IS. 2006. Quality changes of mustard leaf kimchi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5):609-614 

  14. Kim JY, Oh SW, Koh JB. 1998. Effect of Godulbaegi(Ixeris sonchifolia H.) powder on growth, protein and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3):525-530 

  15. Ku KH, Kang KO, Kim WJ. 1988.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 476-482 

  16. Laubli MW, Bruttel PA. 1986. Determination of the oxidative stability of fats and oils; Comparison between the active oxygen method(AOCS Cd 12-57)and the rancimat method. J American Oil Chem Soc 63(6):792-795 

  17. Lee CJ, Kim GY, Park HW. 2001. Kimchi. Daewon Press, Seoul. Korea. p 139 

  18. Lee MS, Kim MK. 1989.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Youngia denticulata and Amaranthus livid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4):511-514 

  19. Lee SR, Lee YS, Shin SC, Yoon ES. 1992. Chemical constituents of Cynochum wilfordi, Codonopsis lanceolata and Ixeris sonchifoloa. J Oriental Bot Res 5(1):25-29 

  20. Lee YE. 2005. Bioactive compounds in vegetables: Their role in the prevention of disease. Korean J Food Sci 21(3):380-398 

  21. Lim SS, Jung HO, Jung BM. 1997. Effect of Ixeris sonchifolia H.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Korean Nutr Soc 30(8):889-894 

  22. Park KY, Ha JO, Rhee SH. 1996.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1):69-75 

  23.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103-109 

  24. Park SS, Jang MS, Lee HH. 1995.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during various storage day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5):752-757 

  25. Park SS, Kim AK. 1984. Studies on the browning of Ixeris sonchifolia. Korea J Pharmacogn 15(2):78-84 

  26. Prosky L, Asp NG, Furda I, Devries JW, Schweizer TF, Harland BF. 1985.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J Assoc Off Anal Chem 68(4):677-679 

  27. RRDI. 2006. Food composition table. Sangroksa. Suwon. Korea. 7(1):102 

  28. SAS Institute, Inc. 1996.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29. Seo GW, Cho JY, Kuk JH, Wee JH, Moon JH, Kim SH, Park KH. 2003.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Allium fistulosum L. by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 988-993 

  30. Shin SC. 1988.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wild Korean lettuce (Youngia sonchifolia Max.). J Korean Agric Chem Soc 31(3):261-266 

  31. Shin SC. 1993. Exploitation of the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Youngia sonchifolia Max. J Korean Agric Chem Soc 36(2): 134-137 

  32. Shin SC. 1996.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Youngia sonchifolia Max. for kimchi preparation. Korean J Plant Res 9(2): 105-112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