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라늄 함량이 높은 국내 토양에 대한 토양학적 특성 규명 및 토양세척법의 적용성 평가
Characterization and Feasibility Study of the Soil Washing Process Applying to the Soil Having High Uranium Concentration in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3 no.5, 2008년, pp.8 - 19  

장세은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이민희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라늄 함량이 높은 흑색 셰일점판암이 주요 기반암인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일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고, 토양으로부터 우라늄을 제거하기위한 다양한 세척용액 및 세척조건을 적용한 실내 세척 실험을 실시하여, 토양 세척법이 우라늄 함량이 높은 토양으로부터 우라늄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총 8지점 토양 시료의 우라늄 농도를 분석하여 인공강우 용출실험(SPLP), 독성물질 용출실험(TCLP)을 실시한 결과 가장 우라늄함량이 높은 S2 토양의 경우 SPLP 용출 농도가 USEPA 음용수 기준치(30 ${\mu}g$/L)를 초과하여 토양으로부터 주변수계로의 지속적인 오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속추출실험(SEP) 결과 약산 강우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우라늄 용출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으로부터 우라늄을 제거하기위하여 다양한 세척액과 세척조건을 적용하여 토양 세척 실험을 실시한 결과, pH 1인 산성용액, 염산 0.1 M 용액, 황산 0.05 M 용액, 구연산 0.5M 용액을 세척액으로 사용하는 경우 우라늄 제거 효율이 80% 이상이었으며, 아세트산EDTA 용액의 경우 30%이하의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토양/세척액 비율은 1 : 3, 세척 시간을 30분, 토양 당 반복 세척 회수를 2회로 설정하여 위의 세척용액들을 이용하는 경우, 실제 우라늄 함량이 매우 높은 S2 토양 주변 현장에서 토양 세척법이 우라늄 제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세척 전/후 토양의 총유기탄소함량(TOC), 양이온 교환 능력(CEC)을 측정하였고, X-선형광분석(XRF)과 X-선회절분석(XRD)을 실시하여 비교함으로써 세척 후 토양 특성 변화를 규명하였다. 세척 후 토양의 TOC와 CEC가 각각 55%, 66%까지 감소하여 세척한 토양을 작물재배용으로 재사용할 경우 적절한 개량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 전/후 토양의 XRF 및 XRD 분석 결과, 산세척에 의한 토양의 주요 성분과 광물 구조 변화는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pH 회복을 위한 추가 물 세척 후 세척 토양을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having high uranium content, located around Duckpyungri i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the lab scale soil washing experiments to remove uranium from the soil were preformed with several washing solutions and on various washing conditions. SPLP (Synthetic P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토양 세척횟수에 따른 우라늄 제거율 변화를 규명하여 오염토양에 대한 최적의 토양 세척 횟수를 도출할 뿐 아니라, 세척 전과 후의 토양의 특성 변화를 비교하여 토양세척 후 토양의 재활용이 가능한지를 평가하였다. S2 토양 50 g에 대해서 세척 횟수에 따른 우라늄 제거효율을 도출하기 위하여 오염토양과 세척액의 비를 1:1로 고정하여 다섯 번에 걸친 연속 세척실험을 실시하였다.
  • 그러나 최근에는 토양 내 우라늄이 강우나 지하수의 중탄산이온이나 탄산이온과 결합하는 경우, 또는 토양 유기물인 휴믹산과 결합하는 경우, 수용성의 킬레이트화합물로 변하게 되어 지표수나 지하수에 용해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Raskin and Ensley, 2000). 본 연구는 우라늄 함량이 높은 국내 토양으로부터의 우라늄 용출능을 규명함으로써 주변 수계로의 우라늄 용출량을 예측하여 위해성 및 오염 확산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8개의 토양 시료 중 우라늄 함량이 높은 2개의 토양 시료(S2와 S6)를 대상으로 인공강우 용출실험(SPLP: Synthetic Precipitation Leaching Procedure)과 독성물질 용출실험 (TCLP: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을 실시하여 실제 주변 수계로의 우라늄 용출량을 측정하였으며, Tessier et al.
  • 본 연구는 크게 방사능핵종의 주요 물질인 우라늄 함량이 높은 연구지역 토양의 오염 특성 및 확산 가능성을 평가하기위한 다양한 용출 실험과, 우라늄 함량이 높은 토양으로부터 우라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토양 세척 실내실험으로 이루어져 있다.
  • 본 연구의 목표는 토양 및 암석의 우라늄 함량이 매우 높은 지역인 충북 괴산군 덕평리 일대의 토양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토양학적, 지질학적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연구 지역 토양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고, 연구 지역의 토양을 복원하기위하여 여러 가지 세척액을 이용한 토양 세척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최대 토양 복원 효율을 나타내는 세척액의 종류 및 세척 공정 조건을 실내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라늄을 함유한 국내 대표적 광상에는 어디가 있는가? 5%에 속하는 옥천대(연장 170 km, 폭 20~30 cm, 총 면적 5,100 km2 )내 흑색셰일(또는 점판암) 분포지의 암석, 토양, 하상퇴적물에 대한 우라늄 함량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결과 괴산, 보은지역, 금산지역 등에서 지표방사능과 우라늄 함량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김종환, 1982; 전효택과정명채, 1991; 국립환경연구원, 2001). 특히 우라늄을 함유한 국내 대표적 광상들은 충청북도 옥동광상(페그마타 이트 광상), 경기도 가평과 충청남도 공주지역 광상(변성광상), 김화-철원-화천일대 광상(화성광상), 옥천누층군 흑색 셰일(또는 점판암)이 분포하는 광상(퇴적광상)등이며, 광상들의 U3O8 평균품위는 0.03-0.
채취한 오염토양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입도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채취한 오염토양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체거름법과 피펫분석법을 이용하여 토양 입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입도분석 결과를 모래(sand), 실트(silt), 점토(clay)의 함량 비로 나타내어 토성(soil texture)을 분류하였다. 토양 시료의 pH는 토양공정시험법에서 제시한 1 : 5 용출법(건조토양시료와 증류수 1 : 5 비율)을 이용하여 pH 측정기(Istek 회사제품)로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본 실내 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무엇인가? (1) 과거 우라늄 노천 채굴 광산 주변 연구 대상 지역의 토양을 채취하여 우라늄을 분석한 결과 토양의 우라늄 농도는 약산추출법의 경우 최대 35.8 mg/kg, 강산추출법은 157.6 mg/kg 으로 나타나 우라늄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강우 용출실험 결과 우라늄 용출 농도가 56.8 µg/L로 USEPA 음용수 기준치인 30 µg/L 이상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수계로의 오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우라늄 함량이 높은 S2 토양 내 존재하는 우라늄의존재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속추출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절반 정도가 안정된 광물격자 내에 존재하였으나, 산성 강우에 의해 용출이 일어날 수 있는 1-3단계 형태로도 약 40%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우에 의한 주변으로의 우라늄 용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토양세척 실험결과 강산인 pH 1 용액에서만 우라늄 제거율이 80%를 나타내었으며, pH 2 이상의 용액에서는 우라늄 제거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우라늄 제거 효과가 매우 낮았다. 토양 : 세척액 비가 증가할수록 세척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적절한 세척비는 약 1:3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세척액을 사용하여 세척 실험을 실시한 결과 토양 : 세척액 비가 1:1인 경우 우라늄 제거에 효과적인 세척액의 농도는 염산 0.1 M, 황산 0.05 M, 구연산 0.5 M 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아세트산과 EDTA 용액은 제거효율이 30% 이하를 나타내어 토양 세척 효과가 낮았다. (4) 연속세척실험결과 S2 토양의 세척 회 수는 제거효율과 세척량을 고려하면 2회 세척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척 후 토양의 TOC와 CEC가 각각 55%, 66%까지 감소하여 세척한 토양을 작물재배용으로 사용할 경우 적절한 개량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XRD 분석 결과 산세척에 의한 토양의 주요 성분과 광물 구조 변화는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pH 회복을 위한 추가 물 세척 후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국립환경연구원, 2001, 지하수중 방사성물질 함유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최종 보고서 

  2. 김정대, 남궁완, 2005, 토양세척용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폐금속광산 폐기물 내 중금속의 추출특성, 대한자원공학회, 787-798 

  3. 김종환, 1982,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제 15장 우라늄, 연세대 김옥준교수 정년퇴입기념 논문집, 454-458 

  4. 전효택, 정명채, 1991, 함우라늄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유독성원소들의 분산에 관한 지구화학적 연구, 대한광산학회, 24(3), 245-260 

  5. 전효택, 제현국, 2004, 중부 옥천대에서 지질방사능 위해성평가를 위한 광역적 라돈농도 조사,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구시스템학회, p. 3-6 

  6. 정명채, 1994, 토양중의 중금속 연속추출방법과 사례연구, 자원환경지질, 27(5), 469-477 

  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지질정보검색시스템, 괴산 1:50,000 지질도 검색 

  8. 한정희, 박계헌, 1996, 대전 지역 지하수에 함유된 우라늄 및 라돈의 함량, 자원환경지질, 29, 589-595 

  9. Abdelouas, A., Lutze, W., and Nuttall, E., 1998, Chemical reactions of uranium in ground water at a mill tailings site, J. Contamin. Hydrol., 34, 343-361 

  10. Chau, N.D. and Chrusciel, E., 2007, Leaching of technologically enhanced nu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Radiation and Isotopes, 65, 968-974 

  11. Choy, C.C., Korfiatis, G.P., and Meng, X., 2006, Removal of depleted uranium from contaminated soils, J. Hazard. Mater., 136, 53-60 

  12. Dermont, G., Bergeron, M., Mercier, G., and Lafleche, M.R., 2008, Soil washing for metal removal: A review of physical/chemical technologies and field applications, J. Hazard. Mater., 152, 1-31 

  13. Galindo, C., Mougin, L., Fakhi, S., Nourreddine, A., Lamghari, A., and Hannache, H., 2007, Distribution of naturally occurring radionuclides (U,Th) in Timahdit black shale (Morocco), J. Environ. Radio., 92, 41-54 

  14. Jang, M., Hwang, J.S., and Choi, S.I., 2007, Sequential soil washing techniques using hydrochloric acid and sodium hydroxide for remediating arsenic-contaminated soils in abandoned iron-ore mines, Chemosphere, 66, 8-17 

  15. Kantar, C. and Honeyman, B.D., 2006, Citric acid enhanced 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uranium by soil flushing and soil washing, J. Environ. Eng., 132(2), 247-255 

  16. Lee, J.U., Kim, S.M., Kim, K.W., and Kim, I.S., 2005, Microbial removal of uranium in uranium-bearing black shale, Chemosphere, 59, 147-154 

  17. Lee, M., Paik, I.S., Do, W., Kim, I., and Lee, S., 2007, Soil washing of As-contaminated stream sediments in the vicinity of an abandoned mine in Korea,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29, 319-329 

  18. Lenhart, J.J., Cabaniss, S.E., Maccarthy, P., and Honeyman, B.D., 2000, Uranium(VI) complexation with citric, humic and fulvic acids, Radiochim. Acta, 88, 345-353 

  19. Li, X., Coles, B.G., Ramsey, M.H., and Thornton, I., 1994, Sequential extraction of soils for multielement analysis by ICP-AES, Chem. Geol. 124(1-2), 109-123 

  20. Mann, M.J., 1999, Full-scale and pilot-scale soil washing, J. Hazard. Mater., 66, 119-136 

  21. Nishita, H., Wallace, A., and Romney, E. M., 1978, Radionuclide uptake by plants,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UREG/CR0336, UCLA 12-1158 

  22. Moutsatsou, A., Gregou, M., Matsas, D., and Protonotarios, V., 2006, Washing as a remediation technology applicable in soils heavily polluted by mining-metallurgical activities, Chemosphere, 63, 1632-1640 

  23. Raskin, I. and Ensley, B.D., 2000, Phytoremediation of Toxic Metals, John Willey & Sons, Inc. 

  24. Schulz, R.K., 1965, Soil chemistry of radionuclides. Health Phys. 11, 1317-1324 

  25. Seaman, J.C., Meehan, T., and Bertsch, P.M., 2001, Immobilization of cesium-137 and uranium in contaminated sediments using soil amendments, J. Environ. Qual., 30, 1206-1213 

  26. Shanbhag, P.M. and Choppin, G.R., 1981, Binding of Uranyl by humic acid. J. Inorg. Nucl. Chem., 43, 3368-3372 

  27. Tessier, A., Campbell, P.G.C.,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 Chem., 51, 844-851 

  28. U, A.K., Song, K.J., and Kim, T.S., 1979, Uranium levels in soil and plant, and estimation of its intake by the residents at the uranium deposited area, J. Kor. Agricul. Chem. Soc., 22(4) 

  29. USEPA, 1993,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IRIS) on Uranium, Soluble Salt, Environmental Criteria and Assessment Office, Office of Health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Cincinnati, OH 

  30. USEPA, 1994,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and synthetic precipitation leaching procedure, EPA/SW/846/1311-1312 

  31. USEPA, 1996, Citizens guide to soil washing, EPA/542/F62/002 and /018 

  32. Wei, M., Liao, J., Liu, N., Zhang, D., Kang H., Yang, Y., Yang, Y., and Jin, J., 2007, Interaction between uranium and humic acid(I): Adsorption behaviors of U(VI) in soil humic acids, Nuclear Sci. Tech., 18(5), 287-2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