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한 논산 북부 지역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오염 예측
Predic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the Northern Nonsan area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3 no.5, 2008년, pp.57 - 73  

김은영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고동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고경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여인욱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논산 북부지역의 천부 및 암반 지하수는 질산성 질소 농도가 최고 49 mg/L이고, 22%의 시료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해 질산성 질소 오염이 심각함을 보여 주었다. 토지 이용 별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농도 차이를 보여 토지 이용이 이 지역 질산성 질소 오염에 대한 주요 지배 요인임을 지시하였다. 이 지역의 질산성 질소 오염을 예측하기 위해 토양 특성, 지형 구배, 토지 이용 등의 지표 수리지질 인자, 관정의 심도와 고도 등의 관정 제원 인자와 현장수질(T, pH, DO, EC)을 변수로 하며, 천부 지하수와 암반 지하수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리지질 인자는 관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버퍼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구하여 변수로 결정하였다. 회귀 분석은 가능한 모든 변수 조합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수정 결정 계수 기준으로 최적 모형을 선정하였다. 수리지 질 인자를 이용한 회귀 분석에서 버퍼 반경에 따라 천부지하수는 50 m, 암반지하수는 300 m에서 가장 높은 결정 계수가 나타났다. 천부 지하수는 암반 지하수보다 높은 결정계수를 보여 지표 수리지질 인자에 더 민감함을 보여 주었다. 천부 지하수에서는 토지 이용, 암반 지하수에서는 토양 특성이 주요 변수였고, 토지 이용 중 주거 지역은 두 그룹에서 모두 중요 변수였다. 수리지질 인자와 현장 수질 항목을 사용한 회귀 분석에서는 천부지하수에서는 EC, 논지역, pH 등이, 암반 지하수에서는 DO, EC, 자연지역 등이 주요 변수였다. 현장 수질 항목이 수리지질 인자보다 월등히 강한 설명력을 보여 일상적으로 측정되는 현장 수질 항목이 질산성 질소 오염 평가에서 개별 관정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번 연구에서 결정된 최적 버퍼 반경은 관정으로의 오염 물질 유입 시간 추정에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at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p to 49 mg/L (as $NO_3$-N) and 22% of the samples exceeded drinking water standard in shallow and bedrock groundwater of the northern Nonsan area. Nitrate concentr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and use groups. To predict nitrate concen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산 북부지역의 천부 및 암반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농도는 어떠한가? 논산 북부지역의 천부 및 암반 지하수는 질산성 질소 농도가 최고 49 mg/L이고, 22%의 시료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해 질산성 질소 오염이 심각함을 보여 주었다. 토지 이용 별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농도 차이를 보여 토지 이용이 이 지역 질산성 질소 오염에 대한 주요 지배 요인임을 지시하였다.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는 아질산성 질소로 환원되어 아질산염이 된다. 이 아질산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1982; Canter,1997). 또한, 아질산염의 섭취는 몇몇 유행병학적 연구에 따르면 질산염의 노출과 암 위험성 사이에는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었다(Tannenbaum and Green,1985; Kleinjans et al., 1991).
이 지역의 질산성 질소 오염을 예측하기 위해 어떻게 하였는가? 토지 이용 별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농도 차이를 보여 토지 이용이 이 지역 질산성 질소 오염에 대한 주요 지배 요인임을 지시하였다. 이 지역의 질산성 질소 오염을 예측하기 위해 토양 특성, 지형 구배, 토지 이용 등의 지표 수리지질 인자, 관정의 심도와 고도 등의 관정 제원 인자와 현장수질(T, pH, DO, EC)을 변수로 하며, 천부 지하수와 암반 지하수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리지질 인자는 관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버퍼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구하여 변수로 결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경호, 윤성택, 채기탁, 최병영, 김순오, 김강주, 김형수, 이철우, 2002, 금강 권역 충적층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 질산성 질소의 기원과 거동 고찰 및 안전한 용수 공급을 위한 제언, 지질공학회지, 12, 471-484 

  2. 김계훈, 김길용, 김정규, 사동민, 서장선, 손보균, 양재의, 엄기철, 이상은, 정광용, 정덕영, 정연태, 정종배, 현해남, 2006, 토양학, 향문사, 58-59 

  3. 김연태, 우남칠, 2003, 축사가 밀집된 농촌지역 천부지하수의 질산염 오염특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8, 57-67 

  4. 논산시, 2007, 제47회 논산통계연보 

  5. 문상기, 우남칠, 2002, 수리지질학적 변수들의 지하수 함양률에 대한 기여도 평가, 자원환경지질, 35, 479-490 

  6. 오종철, 김현철, 2004, 통계분석을 위한 SAS 통계 패키지, 민영사, p. 355 

  7. 우남칠, 김형돈, 이광식, 박원배, 고기원, 문영석, 2001, 지하수의 수질 관측에 의한 제주도 대정수역의 지하수계 및 오염특성 분석, 자원환경지질, 34, 485-498 

  8. 이사로, 김윤종, 1996, Drastic system이용한 지하수 오염 가능성 및 위험 분석 연구, 한국 GIS 학회지, 4, 1-11 

  9. 이인호, 조병욱, 이병대, 성익환, 임용수, 2002, 광주광역시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7, 115-132 

  10. 장태우, 황재하, 1980, 지질도폭 설명서, 1:50,000, 논산도폭 

  11. 정정화, 장승표, 김호일, 정연태, 허기술, 박호, 1995, 유출율 추정을 위한 토양 수문군의 분류, 한국농공학회지, 37, 12-33 

  12. 정찬호, 황정, 박충화, 1998, 공주시 유구읍 명곡리지역 천부 및 심부지하수의 지화학적 수질특성과 오염, 자원환경지질, 31, 485-498 

  13. 함세영, 정재열, 김무진, 김인수, 황한석, 2004, DRASTIC과 지하수 수질에 의한 창원시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자원환경지질, 37, 631-645 

  14. 함형범, 2007, SAS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분석, 연학사, p. 328 

  15. 환경부, 2006, 전국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16. Aller, L., Bennett, T., Lehr, J.H., Petty, R.J., and Hackkett, G., 1987, Drastic: A standard system for evaluating groud water pollution potential using hydrogeologic setting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p. 455 

  17. Barringer, T.H., Dunn, D., Battaglin, W.A., and Vowinkel, E.F., 1990, Problem and methods involved in relating land use to ground-water quality, Water Resources Bulletin, 26, 1-9 

  18. Bauder, J.W., Sinclair, K.N., and Lund R.E., 1993, Physiograohic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nitrate-nitrogen in montana groundwater,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2, 255-262 

  19. Benefield, L.D., Judikins, J.F., and Weand, B.L., 1982, Process Chemistry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rentice Hall Inc, Englewood Cliff, New Jersey, p. 449 

  20. Canter, L.W., 1997, Nitrates in Groundwater, Lewis Publishers, Boca Raton, USA, 15-18 

  21. Chae, G.-T., Kim, K., Yun, S.-T., Kim, K.-H., Kim, S.-O., Choi, B.-Y., Kim, H.-S., and Rhee, C.W., 2004. Hydrogeochemistry of alluvial groundwaters in an agricultural area: An implication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susceptibility, Chemosphere 55(3), 369-378 

  22. Eckhardt, D.A.V. and Stackelberg, P.E., 1995, Relation of groud-water quality to land use on Long Island New York, Ground water, 33, 1019-1033 

  23. Gardner, K.K. and Vogel, R.M., 2005, Predicting Ground Water Nitrate Concentration from Land use, Ground Water, 43, 343-352 

  24. Hallberg, G.R. and Keeney, D.R., 1993, Nitrate. In: Alley WM (ed.), Regional Groundwater Quality,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p. 297-322 

  25. Helsel, D.R. and Hirsch, R.M., 2002, Statistical Methods in Water Resources. USGS, TWRI-4-A3, p. 310 

  26. Kleinbaum, D.G., Kupper, L.L., Muller, K.E., and Nizam, A., 1998,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ble Method, third edition, Duxbury Press, p. 111-135 

  27. Kleinjans, J.C.S., Albering, H.J., Marx, A., van Maanen, J.M.S., van Agen, B., ten Hoor, F., Swaen, G.M.H., and Mertens, P.L.J., 1991, Nitrate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Evaluation of Genotoxic risk in human population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94, 189-193 

  28. Kloiber, S.M., 2006, Estim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the twin cities metropolotan area using landscape variable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72, 313-335 

  29. Kolpin, D.W., 1997, Agricultural chemicals in groudwater of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relations to land use,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6, 1025-1037 

  30. McLay, C.D.A., Dragten, R., Sparling, G., and Selvarajah, N., 2001, Predicting groundwater nitrate concentrations in a region of mixed agricultural land use: a comparison of three approaches, Environmental Pollution, 115, 191-204 

  31. Medison, R.J. and Brunett, J.O., 1985, Overview of the occurrences of nitrate in groundwater of the united state. U.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2275, 93-105 

  32. Min, J.-H., Yun, S.-T., Kim, K., Kim, H.-S., and Kim, D.-J., 2003. Geologic controls on the chemical behaviour of nitrate in riverside alluvial aquifers, Korea, Hydrological Processes, 17(6), 1197-1211 

  33. Panagopoulos, G.P., Antonakos, A.K., and Lambrakis, N.J., 2005, Optimization of the DRASTIC method for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via the use of simple statistical method and GIS, Hydrogeology Journal, 14, 894-911 

  34. Roy, S., Speed, C., Bennie, J., Swift, R., and Wallace, P., 2007, Identifying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emporal and spatial trends in nitrate concentrations in the dorset and hampshire basin chalk aquifer of southern england,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and Hydrogeology, 40, 377-392 

  35. Shapiro, S.D., LeBlanc, D., Schlosser, P., and Ludin, A., 1999, Characterizing a sewage plume using the $^3H-^3{He}$ dating technique, Ground Water, 37, 861-878 

  36. Tannenbaum, S.R. and Green, L.C., 1985, Selected abstracts on role of dietary nitrate and nitrite in human carcinogenesis, International cancer research data bank program, National Cancer Institute, Washington, D.C 

  37. Todd, D.K. and Mays, L.W., 2005, Groundwater Hydrology, Wiley, p. 37-39 

  38. Trojan, M.D., Maloney, J.S., Stockinger, J.M., Eid, E.P., and Lahtinen, M.J., 2003, Effects of land use on grounwater quality in the Anoka sand plain aquifer of Minnesota, Ground Water, 41, 482-492 

  3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4, Groudwater and wellhead protection,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fice of water, EPA, 625-R-94-001, EPA, Washington DC 

  40. Worrall, F., Besien, T., and Kolpin, D.W., 2002, Groundwater vulnerability : interaction of chemical and site properti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99, 131-1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