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CS 자료 및 GIS를 이용한 한국의 통행패턴 분석
Travel Pattern Analysis Using TCS Data and GIS in Korea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6 no.3 = no.102, 2008년, pp.75 - 84  

김재헌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정진혁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최민환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장훈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2년에 한국에 도입된 주 5일 근무제는 사람들의 주중 통행 및 주말 통행 패턴을 바꾸어 왔다. 이러한 변화가 교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이 연구들은 공간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통행 패턴 변화에만 초점이 맞추어졌다. 즉, 개인 통행 패턴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이러한 변화에 대한 공간적 분석 기법의 부재로 인해 통행 패턴의 변화를 정확하게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주 5일 근무제가 도입된 뒤의 통행변화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통행 벡터 지표처럼 통행 패턴의 변화를 정량적인 관점만이 아닌 공간적인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이용하는데. 이 새로운 지표는 GIS 기술과 한국 고속도로의 TCS 자료를 이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속도로 TCS 자료에 적용된 이 지표가 주 5일 근무제가 통행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따라서 통행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02, the 5-day workweek policy was effective in Korea. As we have expected, the 5-day workweek policy has changed people's travel behavior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Several studies have been done to understand these changes and impacts on transportation systems. However, these studies hav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행패턴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었는데 그 중 김형진, 정진혁 외 1명 (2004)은 2002년 서울 및 수도권 통행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 구조 방정식을 개발한 뒤, 이를 이용하여 주 5일 근무자와 주 6일 근무자의 통행 패턴을 비교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의 목적은 비공간적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두 형태의 근무자들 간의 통행행태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었고, 따라서 공간적인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통행패턴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지금까지 통행패턴의 변화를 주중과 주말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편이다.
  • 본 연구는 통행 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그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VKT, global dissimilarity index, local dissimilarity index와 같은 지표들을 고찰하였다. 이 결과로 개발되는 지표는 통행 패턴의 변화를 통행량의 변화에서 만이 아니라 공간적 분포의 측면에서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 본 연구는 통행의 변화를 양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는 GIS 기반의 통행분석지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는 주 5일 근무제가 실시된 이후의 통행 패턴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을 위해 우리나라 고속도로 TCS (Toll Collection System) 자료에 적용되었다.
  • 이러한 변화와 교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행해졌으나, 이 연구들은 공간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통행 패턴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 분포 지표 및 통행 벡터와 같은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 지표는 한국 고속도로 통행 자료에 적용되어 통행 패턴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 이러한 변화는 고속도로 시스템의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여기서 필수불가결한 것이 통행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통행의 공간적 분포까지 분석할 수 있는 적합한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행 패턴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은 중요한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통행패턴의 변화를 주중과 주말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편이다. 통행 패턴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은 중요한데 그것은 그 지표가 통행패턴의 변화를 통행량의 양적 측면만이 아닌 공간적 분포 측면에서도 확인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TCS에서 수집되는 정보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국도로공사는 TCS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들로부터 요금만이 아니라 고속도로 상에서의 통행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TCS에서 수집되는 정보로는 차종, 출발 톨게이트 번호와 출발 시간, 그리고 도착 톨게이트 번호 및 시간이 있다. 따라서 TCS 자료는 우리나라 고속도로의 통행패턴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된다.
local spatial dissimilarity index란 어떤 지표인가? Feitosa 외 4명 (2007)은 위에서 설명한 generalized spatial dissimilarity index와 함께 local spatial dissimilarity index를 개발하였다. 전자가 전체지역의 인구 분포를 측정하는 지표라면, 후자는 전체 지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서 각각의 지역에서의 인구분포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지표는 각각의 지역들이 어떻게 전체 도시지역의 인구분포에 기여하는지를 보여주며, 식(6)으로 표현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백승걸.황부연.이기영(2003), "고속도로 TCS OD를 이용한 영업소 통행량간 상호관련성 분석", 한국도로공사 

  2. 김재진(2001), "TCS 데이터를 이용한 고속도로 구간 교통량 추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순환(2004), "커널형 확률밀도함수의 추정(Kerne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estimation)과 그 사례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수학통계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Hyung Jin Kim, Dea Hoon Kim, and Jin-Hyuk Chung(2004), "Weekend Activity and Travel Behavior in a Developing Countr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894, TRB, pp.99-108 

  5. F. F. Feitosa, G. Camara, A. M. V. Monteiro, T. Koschitzki, and M. P. S. Silva(2007), "Global and local spatial indices of urban segre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21, No.3, Taylor & Francis, pp.299-323 

  6. Silverman, B.W.(1986),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175 (London: Chapman & Hall) 

  7. Grace Corpuz, Michelle McCabe, and Kamila Ryszawa(2006), "The Development of a Sydney VKT Regression Model". Transport and Population Data Centre(TPDC) New South Wales Department of Planning, Australia, 29th Australasian Transport Research For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