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골에 발생한 골아세포종의 치험례
OSTEOBLASTOMA OF THE MANDIBLE : A CASE REPORT 원문보기

大韓口腔顎顔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v.34 no.6, 2008년, pp.649 - 652  

정세헌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윤현중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이상화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구강악안면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teoblastoma is a relatively rare benign bone tumor representing less than 1% of all bone tumors. The tumor usually involves the spine and sacrum of young individuals, less than 10% being localized to the skull, and nearly half of these affect the mandible, especially the posterior segments. In c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교정치료를 받은 15세 여자 환자의 하악소구치 부위에 특이한 임상증상 없이 발견된 골아세포종에 대하여 보존적으로 접근하여 외과적 절제를 시행한 보고이다.
  • 본원에서는 동통 등의 임상증상을 호소하지 않고, 방사선 검사 시 우연히 발견되어 내원한 교정치료를 받은 15세 여성환자에서 발생한 골아세포종을 치료하였기에 이에 대한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개골의 골아세포종이 하악골에 나타나는 비율은? 골아세포종은 전체 발생하는 골성 종양 중 1%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1-5), 두개골에서는 10% 미만으로 발생하는데, 이 중 5% 정도가 하악골에 나타나며, 특히 하악 후방부에 이환된다6). 임상적 관찰 상 통증, 종창과 피질골의 팽융을 보이며2-4), 방사선 관찰 상 광화도의 정도에 따라 방사선 투과상과 불투 과상의 혼재가 관찰되며, 골막 반응은 나타나지 않는다.
골아세포종의 일차적인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 조직 학적으로 골 형성 병소의 특성을 나타내며, 골육종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므로 오진 시에 과치료의 위험성이 있다7,8). 골아세포종의 일차적인 치료는 주변 구조물들을 잘 보존하면서 외과적으로 완전한 절제를 시행하는 것이다9).
골아세포종음 임상적으로 무엇이 관찰되는가? 골아세포종은 전체 발생하는 골성 종양 중 1%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1-5), 두개골에서는 10% 미만으로 발생하는데, 이 중 5% 정도가 하악골에 나타나며, 특히 하악 후방부에 이환된다6). 임상적 관찰 상 통증, 종창과 피질골의 팽융을 보이며2-4), 방사선 관찰 상 광화도의 정도에 따라 방사선 투과상과 불투 과상의 혼재가 관찰되며, 골막 반응은 나타나지 않는다. 조직 학적으로 골 형성 병소의 특성을 나타내며, 골육종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므로 오진 시에 과치료의 위험성이 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ichtestein L, Sawyer WR. Benign osteoblastoma: further observations and report of twenty additional cases. J Bone Joint Surg Am 1964; 46: 755-765 

  2. Regezi JA, Sciubba JJ. Oral pathology: clinical-pathologic correlations.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93. 404-406 

  3. Ahmed MS, Nwoku AL. Benign osteoblastoma of the mandibular ramu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case. J Oral Maxillofac Surg 2000; 58: 1310-1317 

  4. Gordon SC, MacIntosh RB. Wesley RKO. A review of osteoblastoma and case report of metachronous osteoblastoma and unicystic ameloblast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1; 91: 570-575 

  5. Haug RH, Huaer C, De Camillo AJ, Araneta M. Benign osteoblastoma of the mandible: report of a case. J Oral Maxillofac Surg 1990; 48: 743-748 

  6. Mirra JM, Picci P, Gold RH. Bone tumors.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correlations. Philadelphia: Lea & Febiger; 1989. 389-430 

  7. Berotoni FD, Unni KK, Lucas DR, Osteosarcoma resembling osteoblastoma. Cancer 55:416-426,1985 

  8. Berotoni F, Bacchhini P, Donati D, Maetini A, Picci P, Campanacci M. Osteoblastoma-like osteosarcoma. Modern Pathol 6:707-716, 1993 

  9. I Van der Waal, RB Greebe and EA Elias. Benign osteoblastoma or osteoid osteoma of the maxilla: report of a case. Int J Oral Surg 12 (1983), 355-358 

  10. Lichtenstein L. Benign osteoblastoma: a category of osteoid and bone-forming tumors other than classical osteoid osteoma, which may be mistaken for giant-cell tumor or osteogenic sarcoma. Cancer 1956; 9: 1044-1052 

  11. El-Mofty S, Refai H. Benign osteoblastoma of the maxilla. J Oral Maxillofac Surg 1989; 47: 60-64 

  12. Strand-Pettinen I, Lukinmaa PL, Holmtrom T, Lindqvist C, Hietanen J. Benign osteoblastoma of the mandible. Br J Oral Maxillofac Surg 1990; 28: 311-316 

  13. Asada Y, Suzuki I, Suzuki M, Fukushima M. Atypical multiple benign osteoblastomas accompanied by simple bone cysts. J Craniomaxillofac Surg 1991; 19: 166-171 

  14. Capodiferro S, Maiorano E, Giardina C, Lacaita MG, Lo Muzio L, Favia G. Osteoblastoma of the mandible: clinicopathologic study of four cases and literature review. Head Neck. 2005 Jul;27(7):616-21. Review 

  15. R.A. Smith, L.S. Hansen, D. Resnick and W. Chan. Comparison of the osteoblastoma in gnathic and extragnathic sites,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54 (1982), 285 

  16. S. Weinberg, N. Katsikeris and M. Pharoah. Osteoblast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case,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45 (1987), 350 

  17. Regezi JA, Sciubba JJ. Oral pathology: clinical-pathologic correlations.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89:322,375 

  18. Nevill et al , Saunders :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nd edition 2002, 568-570 

  19. A.G. Huvos. Bone Tumors.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Saunders, Philadelphia & London (1979), 33-46 

  20. Ribera MJ. Osteoblastoma in the anterior maxilla mimicking periapical pathosis of odontogenic origin. J Endodont 1996; 22: 142-146 

  21. 이성근, 정인교, 박혜련. 하악골에서 발생한 골아세포종을 닮은 골육종의 치험1례.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Vol.22, No.3, 2000 

  22. Borrelo ED, Sedano HO. Giant osteoid osteoma of the maxilla.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23 (1967), 563-566 

  23. Remagen W, Prein J: Benign osteoblastoma.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39 (1975), 279-283 

  24. HS Kramer. Benign osteoblastoma of the mandible: report of a c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4 (1967), 842-851 

  25. Alvares Capelozza, Giao Dezotti. Osteoblastoma of mandible: system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case. Dentomaxillofacial Radiology (2005)34, 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