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플러렌 캡슐화 및 라만분광 분석
Encapsulation of Fullerenes in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nd their Characteristic Analysis by Raman Spectroscopy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1 no.2, 2008년, pp.118 - 125  

곽정춘 (세종대학교 나노공학과) ,  이내성 (세종대학교 나노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can be modified to produce a new concept of hybrid materials by introducing atoms or molecules inside their cylindrical empty space. Such an endohedral doping of the SWCNTs is expected to decisively alter their electronic transport and mechanical properti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5 g을 혼합하여 90 ℃ 에서 24시간 동안 고상반응을 시켰다. HDA 와의 반응이 종료된 시료를 에탄올과 tetrahydrofuran(THF) 1:1 혼합용매에서 30분 동안의 초음파 분산과 멤브레인 여과를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미 반응된 HDA를 제거하였다. 건조된 시 료를 thimble filter(Toyo Roshi Kaisha, Ltd.
  • 각 정제과정을 거치면서 생기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SWCNT의 특징인 낮은 진동수영역에서의 radial breathing mode(RBM)를 그림 5 의 삽입 그림에 나타내었다.
  • Hirahara 등은 열처리를 하지 않는 시료의 경우는 플러렌이 도핑되는 수율이 상당히 낮으나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을 잘 조절해 주면 도핑 수율을 100 %까지 올릴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에 의한 방식을 채택하여 420 ℃ 에서 40분 동안 100 seem의 공기를 흘려주면서 열처리하여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SWCNT의 끝을 열어주었다. 열처리된 소량의 SWCNT 필름 (<1 mg)과 플러렌 (MTR Ltd.
  • 먼저 합성 중에 생성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고 순도 정제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정제된 SWCNT 내에 Cai을 진공 열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도입시켰다.
  • 여기서 3는 RBM 피크 위치(cnfi), a는 상수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SWCNT 시료는 다발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a 값에 246을 대입하여 직경을 계산하였다[231 우선 Gaussian 피크 분리를 통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4개의 RBM 피크에 대해 직경을 계산하였다. 정제한 SWCNT 의 경우 피크 위치 to가 163.
  • 이들은 비정질 탄소가 큰 표면적과 높은 반응성을 가지고 있어 SWCNT 나 다른 탄소들보다 쉽게 산화된다고 예상하였다. 연구에서는 묽은 질산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비정질 탄소만 산화시키고 연속적으로 기능화를 시킴으로써 나노미터 크기의 비정질 탄소 입자만을 용해시켜 제거함으로써 고 순도의 SWCNT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질산처리, 기능화 및 추출, 열처리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 단순한 공정으로 SWCNT 에 거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높은 수율로 정제를 하였다. 본 정제 공정은 특히 AP-SWCNT에 포함된 다량의 불순물인 비정질 탄소 입자들을 제거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플러렌 도입 량을 늘리는 방안으로 플러렌이 출입하기에 적합한 직경을 포함하고 있는 아크 방전법으로 합성된 SWCNT를 선택하였다. 먼저 합성 중에 생성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고 순도 정제법을 개발하였다.
  • 48 시간 동안 환류시키며 시료를 세척하였다. 세척된 시료를 다시 THF 용매 100 ml에 넣고 초음파로 충분히 분산시킨 후 PVDF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SWCNT 필름을 수득하였다.
  • 세척된 시료는 250 ml의 초순수에서 교반시키며 분산한 후 수용성 탄소 불순물을 15,000 rpm으로 1 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 용액을 제거하였다. 시료는 100 笆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 플러렌의 양은 100, 200, 300 mg으로 변화시키며, 500 ℃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4700, Hitachi, Japan)과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H- 9000NA, Hitachi, Japan), Raman 분광기 (Raman spectroscopy, Renishaw System 3000, Renishaw PLC, UK), 열중량 분석기 (thermogravimetry analyser, Sinco STA-1500, Korea) 등을 이용하여 정제된 SWCNT와 플러렌이 도입된 (Cso)n@ SWCNT의 형상, 미세구조 및 결정성 등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사용된 as-produced(AP)-SWCNT (ILJIN, ASA-100F)는 아크 방전법으로 합성된 것으로 그림 1에서와 같이 CNT 뿐만 아니라 비정질 탄소 입자, 촉매 금속, 다층 구조를 갖는 소량의 흑연 입자 등의 불순물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AP-SWCNT에는 그림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입자들은 비정질 탄소로서 내부에 촉매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Hu 등은 질산의 농도와 처리시간에 따른 SWCNT 의 손상 정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14].

이론/모형

  • 이렇게 정제된 SWCNT 내에 Cai을 진공 열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도입시켰다. SWCNT 내에의 플러렌 존재 유무와 플러렌 도입 실험조건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정성적인 분석법으로 투과전자 현미경과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였다.
  • 두 번째 과정은 Haddon 등이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SWCNT를 기능화하였다[10]. 질산 처리된 시료 250 mg과 hexadecylamine(HDA)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 M. Ajayan and S. Iijima, 'Capillarityinduced filling of carbon nanotubes', Nature, Vol. 361, p. 333, 1993 

  2. E. Dujardin, T. W. Ebbesen, H. Hiura, and K. Tanigaki, 'Capillarity and wetting of carbon nanotubes', Science, Vol. 265, p. 1850, 1994 

  3. B. W. Smith, M. Monthioux, and D. E. Luzzi, 'Encapsulated $C_{60}$ in carbon nanotubes', Nature, Vol. 396, p. 323, 1998 

  4. D. E. Luzzi and B. W. Smith, 'Carbon cage structures in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a new class of materials', Carbon, Vol. 38, p. 1751, 2000 

  5. B. W. Smith and D. E. Luzzi, 'Formation mechanism of fullerene peapods and coaxial tubes: a path to large scale synthesis', Chem. Phys. Lett., Vol. 321, p. 169, 2000 

  6. M. Yudasaka, K. Ajima, K. Suenaga, T. Ichihashi, A. Hashimoto, and S. Iijima, 'Nano-extraction and nano-condensation for $C_{60}$ incorporation into single-wall carbon nanotubes in liquid phases', Chem. Phys. Lett., Vol. 380, p. 42, 2003 

  7. F. Simon, H. Kuzmany, H. Rauf, T. Pichler, J. Bernardi, H. Peterlik, L. Korecz, F. Flp, and A. Jnossy, 'Low temperature fullerene encapsulation in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synthesis of N@C60@SWCNT', Chem. Phys. Lett., Vol. 383, p. 362, 2004 

  8. E. Hernndez, V. Meunier, B. W. Smith, R. Rurali, H. Terrones, M. B. Nardelli, M. Terrones, D. E. Luzzi, and J. -C. Charlier, 'Fullerene coalescence in nanopeapods: a path to novel tubular carbon', Nano Lett. 2003, Vol. 3, p. 1037, 2003 

  9. M. Melle-Franco, H. Kuzmany, and F. Zerbetto, 'Mechanical Interactions in allcarbon peapods', J. Phys. Chem. B, Vol. 107, p. 6986, 2003 

  10. J. Chen, A. M. Rao, S. Lyuksyutov, M. E. Itkis, M. A. Hamon, H. Hu, R. W. Cohn, P. C. Eklund, D. T. Colbert, R. E. Smalley, and R. C. Haddon, 'Dissolution of fulllength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J. Phys. Chem. B, Vol. 105, p. 2525, 2001 

  11. A. G. Rinzler, J. Liu, H. Dai, P. Nikolaev, C. B. Huffman, F. J. Rodrguez-Macas, P. J. Boul, A. H. Lu, D. Heymann, D. T. Colbert, R. S. Lee, J. E. Fischer, A. M. Rao, P. C. Eklund, and R. E. Smalley, 'Large-scale purific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process, product, and characterization', Appl. Phys. A, Vol. 67, p. 2937, 1998 

  12. S. C. Tsang, Y. K. Chen, P. J. F. Harris, and M. L. H. Green, 'A simple chemical method of opening and filling carbon nanotubes', Nature, Vol. 372, p. 159, 1994 

  13. K. Hirahara, K. Suenaga, S. Bandow, H. Kato, T. Okazaki, H. Shinohara, and S. Iijima, 'One-dimensional metallofullerene crystal generated insid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Phys. Rev. Lett., Vol. 85, p. 5384, 2000 

  14. H. Hu, B. Zhao, M. E. Itkis, and R. C. Haddon, 'Nitric acid purific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J. Phys. Chem. B, Vol. 107, p. 13838, 2003 

  15. E. Dujardin, T. W. Ebbesen, A. Krishnan, and M. M. J. Treacy, 'Purification of single-shell nanotubes', Adv. Mater., Vol 10, p. 611, 1998 

  16. J. Liu, A. G. Rinzler, H. Dai, J. H. Hafner, R. K. Bradley, P. J. Boul, A. Lu, T. Iverson, K. Shelimov, C. B. Huffman, F. Rodriguez-Macias, Y. -S. Shon, T. R. Lee, D. T. Colbert, and R. E. Smalley, 'Fullerene pipes', Science, Vol. 280, p. 1253, 1998 

  17. J. Chen, M. A. Hamon, H. Hu, Y. Chen, A. M. Rao, P. C. Eklund, and R. C. Haddon, 'Solution propertie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cience, Vol. 282, p. 95, 1998 

  18. Y. Lian, Y. Maeda, T. Wakahara, T. Akasaka, S. Kazaoui, N. Minami, T. Shimizu, N. Choi, and H. Tokumoto, 'Nondestructive and high-recovery-yield purific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by chemical functionalization', J. Phys. Chem. B, Vol. 108, p. 8848, 2004 

  19. A. Jorio, M. A. Pimenta, A. G. Souza Filho, R. Saito, G. Dresselhaus, and M. S. Dresselhaus, 'Characterizing carbon nanotube samples with resonance raman scattering', New J. Phys., Vol. 5, p. 139.1, 2003 

  20. S. Arepalli, P. Nikolaev, O. Gorelik, V. G. Hadjiev, W. Holmes, B. Files, and L. Yowell, 'Protoco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 material quality', Carbon, Vol. 42, p. 1783, 2004 

  21. S. Bandow, M. Takizawa, K. Hirahara, M. Yudasaka, and S. lijima, 'Raman scattering study of double-wall carbon nanotubes derived from the chains of fullerenes in single-wall carbon nantubes', Chem. Phys. Lett., Vol. 337, p. 48, 2001 

  22. S. Bandow, T. Hiraoka, T. Yumura, K. Hirahara, H. Shinohara, and S. Iijima, 'Raman scattering study on fullerene derived intermediates formed within single-wall carbon nanotube: from peapod to doublewall carbon nanotube', Chem. Phys. Lett., Vol. 384, p. 320, 2004 

  23. L. Henrard, E. Hernandez, P. Bernier, and A. Rubio, 'Van der Waals interaction in nanotube bundles: consequences on vibrational modes', Phys. Rev. B, Vol. 60, p. R8521, 1999 

  24. S. Bandow, M. Takizawa, H. Kato, T. Okazaki, H. Shinohara, and S. Iijima, 'Smallest limit of tube diameters for encasing of particular fullerenes determined by radial breathing mode Raman scattering', Chem. Phys. Lett., Vol. 347, p. 2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