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착음과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보인선천성 후두개 낭종(vallecular cyst) 1예
A case of congenital vallecular cyst associated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presenting with stridor, feeding cyanosis, and failure to thriv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1 no.7, 2008년, pp.775 - 779  

양미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강민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홍지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신승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상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이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한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최중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권택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김인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후두개 낭종은 신생아 및 영아에서 협착음을 일으킬 수 있는 드문 질환이지만, 이 질환에 이환된 환아는 갑작스런 기도 협착을 일으켜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협착음을 보이는 환아에서 후두개 낭종을 감별해 냄으로써 갑작스런 기도 협착으로 인한 사망을 방지할 수 있다. 후두개 낭종은 협착음, 쉰목소리, 흉골 함몰, 무호흡,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이 질환이 의심되면 굴곡성 후두경으로 진단해야 한다. 이 질환의 치료는 $CO_2$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미세수술이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자들은 협착음, 쉰목소리, 흉골 함몰,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주소로 전원된 1개월 남아에서 굴곡성 후두경을 통해 후두개 낭종을 진단하였고, $CO_2$ 레이저를 통한 후두미세수술 후 증상이 호전된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llecular cyst is an uncommon but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 causing stridor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sudden airway obstruction resulting in death due to its anatomical location in neonates. It may also present with various degrees of feeding problems resulting in failure to thrive. When a...

주제어

참고문헌 (21)

  1.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Yao 68 1459 2004 10.1016/j.ijporl.2004.06.004 

  2. Pediatr pulmonol Gutierrez 27 282 1999 10.1002/(SICI)1099-0496(199904)27:4<282::AID-PPUL10>3.0.CO;2-G 

  3. Otolaryngol Head Neck Surg Wong 113 621 1995 10.1177/019459989511300516 

  4. Eur J Pediatr Hsieh 159 79 2000 10.1007/PL00013809 

  5.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Tuncer 65 133 2002 10.1016/S0165-5876(02)00078-2 

  6. Br J Clin Pract Oluwole 50 170 1996 10.1111/j.1742-1241.1996.tb09515.x 

  7. Ear Nose Throat J Myer 67 122 1988 

  8. Otolaryngol Head Neck Surg LaBagnara 101 108 1989 10.1177/019459988910100119 

  9. Arch Dis Child Harari 62 1173 1987 10.1136/adc.62.11.1173 

  10. Laryngoscope DeSanto 80 145 1970 10.1288/00005537-197001000-00013 

  11. Korean J Otolaryngol Chung 47 157 2004 

  12. Am J Clin Pathol Newman 81 715 1984 10.1093/ajcp/81.6.715 

  13. Clin Pediatr (Phila) Birgit 43 287 2004 10.1177/000992280404300312 

  14. J Laryngol Otol Gluckman 106 448 1992 10.1017/S0022215100119796 

  15. J Otolaryngol Santiago 14 261 1985 

  16.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Maddern 16 77 1988 10.1016/0165-5876(88)90103-6 

  17. J Laryngol Otol Mitchell 101 833 1987 10.1017/S0022215100102828 

  18. J Pediatr Surg Wang 28 995 1993 10.1016/0022-3468(93)90500-K 

  19. Ann Otol Rhiol Laryngol Holinger 89 397 1980 10.1177/000348948008900502 

  20. Pediatr Clin North Am Wood 31 785 1984 10.1016/S0031-3955(16)34645-4 

  21. Laryngoscope Abramson 94 1580 1984 10.1288/00005537-198412000-00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