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 중 알데히드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로 인한 건강위해성 평가
Health Risk Assessment of Occupants in the Small-Scale Public Facilites for Aldehydes and VOCs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7 no.1, 2008년, pp.45 - 56  

양지연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  김호현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  신동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윤신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  손종렬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  임준환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  임영욱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ifetime cancer and non-cancer risk of exposure of worker and user at public facilities in Korea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two aldehydes and five VOCs in indoor air at 424 public buildings that 8 kinds of public facilities (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대상 시설이 아닌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전국적인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이용시설에서 우려되는 포름알데히드 및 톨루엔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 pounds, VOCs)로 인한 건강 유해 영향의 추정을 통해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우려되는 우선 물질 및 시설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현재의 법 제하에 있지 않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평생 동안의 노출농도를 모니터링 할 수는 없으므로 위해성 평가 방법론에서는 노출에 대한 가정, 즉 평균농도로 평생 동안 노출된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이며, 실측자료가 많은 평균값일수록 그 가정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연구에서 전국단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나, 모든 시설에 대한 전수조사 및 노출조건에 대한 각각의 조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위해성평가 방법론을 이용한 영화관 등 미적용 다중이용시설 및 PC방 등 소규모시설의 이용자(손님) 및 근무자의 위해도를 산출하고자 한다.
  • 2 m'/hr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시설의 이용 특성을 고려하였다. 영화관, 학원, PC방의 경우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ones A. P., 1999,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Atmospheric Env., 9, 4535-4564 

  2. 환경부, 2001, 실내공기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 지침서 

  3. 심상효, 김윤신, 양원호, 2006, 실내공기질 모델을 이용한 신축공동주택의 VOCs 및 HCHO 배출량 추 정, 한국환경과학회지, 15(10), 929-933 

  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9),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I,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Office of emergency and remedial reponse, EPA/540/1-89/002 

  5. 국립환경과학원, 2005,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권고기준 설정 연구II 

  6. U.S. EPA., 1997, NCEA(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Exposure Factors Handbook I 

  7. Michael K., Christin V., 2005, Health determinants in Europe for indoor and outdoor pollutions from a public health and social medicine view, Experimental and Toxicological Pathology, 57, 9-17 

  8. Juexin X., Xingming W., Guoying S., Xinhui B., Jiamo F., Determination of tobacco smoking influence on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stituent by indoor tobacco smoking simualtion experiment, Atmospheric Env., 37, 3365-3374 

  9. KATS, 2004, Korean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10. Kerns W. D., Pavkov K. L., Donofrio D. J., 1983, Carcinogenicity of formaldehyde in rats and mice after long-term inhalation exposure, Cancer Res., 43, 4382-4392 

  11. Woutersen R., Appelman A., 1984, Lifespan inhalation carcinogenicity study of acetaldehyde in rats. III. Recovery after 52 weeks of exposure. Report No. V84.288/190172. CIVO-Institutes TNO, The Netherlands 

  12.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penhagen, Denmark, 2000, Air Quality Guidelines-Second Edition 

  13. Foo S. C., Phoon W. O., Khoo N. Y., 1988, Toluene in blood after exposure to toluene,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49, 255-258 

  14. Hardin B. D., Bond G. P., Sikov M. R., Andrew, F. D., Beliles R. P., Niemeier R. W., 1981, Testing of selected workplace chemicals for teratogenic potential, Scand. J. Work Environ. Health., 7, 66-75 

  15. Korsak Z., Wisniewska-Knypl J., Swiercz R., 1994, Toxic effects of subchronic combined exposure to n-butyl alcohol and m-xylene in rats,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7, 155-166 

  16. Mutti A., Mazzucchi A., Rustichelli P., Frigeri G., Arfini G., Franchini I., 1984, Exposure-effect and exposure- response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xposure to styrene and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Am. J. Ind. Med., 5, 275-286 

  17. 정 용, 황만식, 양지연, 조성준, 1999, 납의 다경로 노출에 의한 건강위해성평가 : 우리나라 일부 지역 성인들을 대상으로, 환경독성학회지, 14, 203-216 

  18. U.S. EPA, 1987, Assessment of Health Risk to Garment Workers and Certain Home Residents from Exposure to Formaldehyde., Office of Toxic Substances, Washington, DC 

  19. Imbus J. R., Tochilin S. J., 1988, Acute effect upon pulmonary function of low level exposure to phenol- formaldehyde-resin-coated wood,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49, 434-4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