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포화토의 투수계수분석 및 투수계수 방정식의 적용성 평가
The Analysis of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the Evaluation of Equations of Permeability Coefficient for an Unsaturated Soil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4 no.1, 2008년, pp.5 - 13  

임성윤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류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초록

불포화토의 투수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3가지의 시료를 선정하고 흙수분 특성 시험을 선행한 후, 흡인력을 조절하면서 일련의 투수계수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체는 불교란 시료를 사용하여 자연 상태로 제작하였으며, 정수위 투수시험법을 이용하여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흙수분 특성곡선에서 도출된 계수를 이용하여 Brooks and Corey(1964)와 van Genuchten(1980)의 제안식으로 투수계수를 예측하였고, 이를 시험에 의한 투수계수와 비교 및 검토하여 기존 제안식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for a soil can be determined by the direct or the indirect method. The direct method of permeability can be performed either in the laboratory or in the field. The indirect method can be predicted from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In this study, the coeffi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토의 투수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3가지의 시료를 선정하고 흙-수분 특성 시험을 선행한 후, 흡인력을 조절하면서 일련의 투수 계수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체는 불교란 시료를 사용하여 자연 상태로 제작하였으며, 정수위 투수시험법을 이용하여 투수 계수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류지협 (2000), "불포화 풍화토의 투수특성 측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3(1), pp.133-142 

  2. 송창섭 . 김명환 (2003), "불포화토의 흙-수분 특성곡선에 관한 실험적 고찰", 한국농공학회지, 45(1), pp.153-151 

  3. 신은철 . 이학주 . 오영인 (2004), "불포화 준설매립 지반의 흙-수분 특성곡선 및 불포화 투수계수 예측",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0(1), pp.109-120 

  4. 황창수 . 김태형 (2004), "불포화 투수계수함수에 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0(3), pp.47-51 

  5. Brooks, R. H. and A. T. Corey (1964), "Hydraulic Properties of Porous Media", Colorado State University Hydrology Paper, 3, pp.1-27 

  6. Fredlund, D. G. and H. Rahardjo (1993), Soil Mechanics for Unsaturated Soils, John Wiley & Sons, Inc., pp.14-149 

  7. Fredlund, D. G. and A. Xing (1994), "Equation for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31(3), pp. 521-532 

  8. Fredlund, D. G., A. Xing and S. Huang (1994), "Predicting the permeability function for unsaturated soils using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31(3), pp. 533-546 

  9. Klute, A. (1965), "Laboratory Measurement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pp.253-261 

  10. Klute, A. (1972), "The Determination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Diffusivity of Unsaturated Soil", Colorado State University and USDA-ARS-SWCRD, pp.264-276 

  11. van Genuchten, M. TH. (1980), "A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44, pp.982-8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