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이 지역주민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justed Water Fluorid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4 no.4 = no.103, 2008년, pp.261 - 270  

한윤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환경연구소) ,  민진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환경연구소) ,  한동헌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  김현덕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  백도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justed water fluoridation has been disputed because of its various effects on human health.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y (BMD) between water fluoridated (WF) and none water fluoridated (NWF) distric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는 수돗물 불소화 사업의 사업 목적에 의도하지 않은 2차적인 건강영향 중 골밀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난 1999년 이후 사업이 시행되어 진행중인 안산 지역을 실험군으로, 그와 지리적, 사회적, 환경적 여건이 유사한 시화 지역을 대조군으로 하여 두 지역 간 골밀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따른 건강영향 중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첫째,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지역과 비 사업 지역의 만 20세 이상 주민의 골밀도를 비교하였으며, 둘째,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지역주민의 혈청불소농도가 실제 골밀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조사하였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지역과 비 사업지역의 보정된 골밀도 평균을 비교한 결과 남, 여 모두 사업지역인 안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따른 건강 영향 중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과 비사업지역 거주민의 골밀도를 비교하였으며, 수돗물불소농도사업지역 주민의 혈청불소농도가 골밀도와 연관성을 갖는지 함께 조사하였다.
  •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안산지역의 거주자의 골밀도와 혈청불소농도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안산 수불사업지역의 만 20세 이상 거주자 여성 225명, 남성 1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연령은 각각 4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은 어디서 처음 시작되었는가? 8 ppm으로 상향조정하여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은 지난 1981년 경남 진해시를 시작으로 1982년 충북 청주시 그리고 1994년 과천시로 확대되어왔다. 구강보건사업지원단의 2005년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평가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약 380만 명(전체국민의 약 8%)이 불소가 첨가된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다.
사람들이 먹고 마시는 물에 포함된 불소의 양으로 적당한 양은 어느 정도인가? 5 ppm 미만부터 많게는 수 pp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다. 적당한 양(0.8~1.2 ppm)의 불소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서 치아우식증(충치)의 발생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면서 정부는 ‘좋은 물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일반적으로 수돗물에 결핍되어 있는 불소 이온을 적정한 수준으로 만들어 주는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현재 불소농도가 낮거나 결핍되어 있는 일부 지역의 수돗물 불소 이온 농도를 0.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은 어떠한 사업인가? 8~1.2 ppm)의 불소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서 치아우식증(충치)의 발생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면서 정부는 ‘좋은 물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일반적으로 수돗물에 결핍되어 있는 불소 이온을 적정한 수준으로 만들어 주는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현재 불소농도가 낮거나 결핍되어 있는 일부 지역의 수돗물 불소 이온 농도를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I . K. and Kim, J. G. : A survey on the contents of fluoride, calcium, and magnesium of reservoir water on a stream in the Jeon-buk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29(2), 38-44, 2003 

  2. Kroger, H., Alhava, E., Honkanen, R., Tuppurainen, M. and Saarikoski, S. : The effect of fluoridated drinking water on axial bone mineral density--a population- based study. Bone and Mineral, 27(1), 33-41, 1994 

  3. Arno ld, C. M ., B ailey, D . A., Faulkner, R. A ., McKay, H. A. and McCulloch, R. G. : The effect of water fluoridation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young women.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88(6), 388-391, 1997 

  4. Sowers, M., Whitford, G. M., Clark, M. K. and Jannausch, M. L. : Elevated serum fluoride concentrations in women are not related to fractures and bone mineral density. The Journal of Nutrition, 135(9), 2247-2252, 2005 

  5. Cauley, J. A., Murphy, P. A., Riley, T. J. and Buhari, A. M. : Effects of fluoridated drinking water on bone mass and fractures: The study of osteoporotic fracture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0(7), 1076-1086, 1995 

  6. Phipps, K. R., Orwoll, E. S., Mason, J. D. and Cauley, J. A. :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s: Prospective study of effects in older women. British Medical Journal, 321(7265), 860-864, 2000 

  7. Riggs, B. L., Hodgson, S. F., O'Fallon, W. M., Chao, E. Y., Wahner, H. W., Muhs, J. M., Cedel, S. L. and Melton, L. J. 3rd. : Effect of fluoride treatment on the fracture rat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2(12), 802-809, 1990 

  8. Farley, S. M., Wergedal, J. E., Farley, J. R., Javier, G. N ., S chulz, E. E., Talbo t, J . R., Libanati, C . R., Lindegren, L., Bock, M., Goette, M. M., Mohan, S. S., Kimball-Johnson, P., Perkel, V. S., Cruise, R. J. and Baylink, D. J. : Spinal fractures during fluoride therapy for osteoporosis: relationship to spinal bone density. Osteoporosis International, 2(5), 213-218, 1992 

  9. Rubin, C. D., Pak, C. Y., Adams-Huet, B., Genant, H. K., Li, J. and Rao, D. S. : Sustained-release sodium fluoride in the treatment of the elderly with established osteoporosi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1(19), 2325-2333, 2001 

  10. Hedlund, L. R. and Gallagher, J. C. : Increased incidence of hip fracture in osteoporotic women treated with sodium fluoride.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4(2), 223-225, 1989 

  11. Cho, S. H., Kwon, H. J., Ha, M. N., Ha, E. H. and Hong, Y. C. : Medical scientific research on human health effect derived from adjusted water fluoridation. Korean Medical Association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Research Center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1999 

  12. Moon, M. S., Cho, S. H., Ahn, H. S., Kim, J. B. and Sung, J. H. : Research for effect-assessment on adjusted water fluorid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0 

  13. Kang, J. W. : Medical research for human health effect on adjusted water fluoridation. Korean Medical Association Research Report, 2003 

  14. Jones, T. and Davie, M. W. : Bone mineral density at distal forearm can identify patients with osteoporosis at spine or femoral neck. British Journal of Rheumatology, 37(5), 539-543, 1998 

  15. Fordham, J. N., Chinn, D. J. and Kumar, N. : Identification of women with reduced bone density at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using BMD at the os calc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11(9), 797-802, 2000 

  16. Marshall, D., Johnell, O. and Wedel, H. : Meta-analysis of how well measures of bone mineral density predict occurrence of osteoporotic fractures. British Medical Journal, 312(7041), 1254-1259, 1996 

  17. Min, J. Y., Min, K. B., Paek, D. and Cho, S. I. : Side differences in the bone density of the distal radius and calcaneus in Koreans aged 4-86 years. Journal of Clinical Densitometry, 10(2), 184-188, 2007 

  18. Nakamura, K., Tanaka, Y., Saitou, K., Nashimoto, M. and Yamamo to, M. : Age and sex d ifferences i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distal forearm based on health check-up data of 6343 Japanese. Osteoporosis International, 11(9), 772-777, 2000 

  19. Orwoll, E. S., Belknap, J. K. and Klein, R. F. : Gender specificity in the genetic determinants of peak bone mas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6(11), 1962-1971, 2001 

  20.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Osteoporosis, 2nd edition, Seoheong, Seoul, 1, 2000 

  21.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Osteoporosis, 3rd edition, Hanmi Medical, Seoul, 249, 2006 

  22. Lahti, S. M., Uusitalo, U., Feskens, E., Haw, U., Tuo milehto, J. a nd L uo ma, H. : F luo ride a nd s ugar intake among adults and youth in Mauritius: preliminary results. Advances in Dental Research, 9(1), 21-25, 1995 

  23. Chowdhury, N. G., Brown, R. H. and Shepherd, M. G. : Fluoride intake of infants in New Zealand. Journal of Dental Research, 69(12), 1828-1833, 1990 

  24. Lee, J. H. : A study on the fluoride intake from routine diets in fluoridated area & the pollution level of fluoride compounds for water fluoridation. Korean Institute of Oral Health Services, 2004 

  25. Jung, S. H., Ma, D. S., Ryu, J. I., Hwang, J. H. and Kho, Y. L. : Fluoride intake by the duplicate-diet technique and urinary excretion in Korean children aged 3-6 year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31(6), 475-482,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