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계수 처리로 가수분해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from wood biomass hydrolysate with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3 no.6, 2008년, pp.494 - 498  

서현범 (충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한재건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최원석 (충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이오규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이수민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최석환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이현용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정경환 (충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임계수 처리를 통하여 얻어진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수분해 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은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배지의 탄소원으로 사용되었다. 농축된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3)을 사용하여 효모를 배양하였을 때, 다른 두 가지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1, SCW2) 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효모의 성장속도가 늦었다. 그리고 모든 경우에 0.51에서 0.56 (%, w/v)의 바이오 에탄올이 생산되었다. 그래서 농축된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3)을 활성탄수산화 칼슘으로 전처리하여 페놀류 독성물질을 제거하였다. 활성탄 전처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94.6%의 페놀류 화합물을 제거하였고, 바이오 에탄올도 0.96 (%, w/v) 생산 할 수 있게 하였고, 환원당을 기준으로 한 바이오에탄올 수율도 0.5에 이르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bioethanol production using wood biomass hydrolysate which obtained from the supercritical water (SCW) treatment. SCW-treated hydrolysate was used C-source of culture medium in shaking flask culture for bioethanol production. When the concentrated SCW-treated hydrolysate (SCW3)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현상도 독성물질의 농축으로 추론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두 가지의 보고된 phenol류의 제거 방법을 시도하여 바이오 에탄올 생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Miyafuji 등(14)의 연구 결과에서는 activated charcaol을 처리 하였을 경우 furan계 물질과 phenol계 물질이 감소되었고, Nakata 등(15)의 calcium hydroxide 처리로 유기산류가 많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고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CW1, SCW2, SCW3 모두 확인 되지 않은 가수분해물이 TLC 결과 확인 되었고, 효모 배양이 멈춘 후에도 DNS 방법에 의해서 많은 환원력이 있는 물질이 측정되었다. 그래서 DNS 방법에 의한 환원당 측정은 환원당을 직접적으로 의미하지는 않는다.
  • 1 Mpa) 이상의 상태에 존재하는 물이며, 상온에서의 일반적인 물과 매우 달라서, 유전상수 (dielectric constant)는 감소하고 이온강도는 증가한 상태이기 때문에, SCW와 lignocellulose 사이에 가수분해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5). 본 연구에서는 약산 (0.05% hydrochloric acid) 조건에서 SCW처리로 가수분해한 wood biomass로 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는 과정과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Lignocellulose의 산을 이용한 가수분해는 손쉬운 방법이지만, 효모성장에 해로운 부산물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 초임계수 처리를 통하여 얻어진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초임계수처리 가수분해물은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배지의 탄소원으로 사용되었다.
  • 특히 furfural, 5-hydroxy methylfurfural, levulinic acid 그리고 phenolic compounds 등의 물질이 주로 hemicellulose와 lignin으로부터 만들어 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특히 activated charcoal(8)과 calcium hydroxide(9)를 처리하는 방법이 바이오 에탄올 생산과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당류를 얻는 전통적인 방법인 산 가수분해와 효소 가수분해가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관심의 대상이 되는 wood biomass의 또 다른 용도는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을 위한 단당류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이러한 단당류를 얻는 전통적인 방법은 산 가수분해와 효소 가수분해가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산 가수분해의 경우 산이 가수분해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아서, 가수분해 반응기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산을 재활용하기 위한 회수공정도간단한 공정이 아니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2). 효소 가수분해의 경우 긴 반응시간과 낮은 효율성이 산업화에 주요 장애 요인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공정상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초임계수 처리법 (supercritical water (SCW) treatment)이 이미 cellulose(3)와 lignocellulose(4)의 가수분해에 적용되었다.
현재 관심의 대상이 되는 wood biomass의 또 다른 용도는 무엇인가? 이제까지 wood biomass의 일반적인 용도는 화목으로 가정집 보일러나 화력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되는 것이었다(1). 현재 관심의 대상이 되는 wood biomass의 또 다른 용도는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을 위한 단당류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이러한 단당류를 얻는 전통적인 방법은 산 가수분해와 효소 가수분해가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산 가수분해의 경우 산이 가수분해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아서, 가수분해 반응기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산을 재활용하기 위한 회수공정도간단한 공정이 아니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2).
이제까지 wood biomass의 일반적인 용도는 무엇이었나? ) Wood biomass는 식량자원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바이오 에너지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제까지 wood biomass의 일반적인 용도는 화목으로 가정집 보일러나 화력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되는 것이었다(1). 현재 관심의 대상이 되는 wood biomass의 또 다른 용도는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을 위한 단당류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이러한 단당류를 얻는 전통적인 방법은 산 가수분해와 효소 가수분해가 일반적인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andburg, T. and K, Bernotat (2004), Potential for small-scale bio-fueled district heating and CHPs in Sweden in Bioenergy-Realizing the potential, S. Silveira, Eds., p113, Elsevise, Amsterdam 

  2. Faaij, A. P. C. (2006), Bio-energy in Europe:Changing technology choices, Energy Policy, 34, 322-342 

  3. Ishikawa, T. and S. Saka (2001), Chemical conversion of cellulose as treated in supercritical methanol, Cellulose, 8, 189-195 

  4. Miyafuji, H. and S, Saka (2007), Bioethanol production from lignocellulosics using supercritical water, ACS Sym. Ser. 954, 422-433 

  5. Fang, Z., T, Sato, R. L. Smith Jr., H. Inomata, K. Arai, and J. A. Kozimski (2008), Reaction chemistry and phase behavior of lignin in high-temperature and supercritical water, Bioresour. Technol. 99, 3424-3430 

  6. Gray, K. A., Zhao, L., and Emptage, M. (2006), Bioethanol. Curr. Opin. Chem. Biol. 10, 1-6 

  7. Larsson, S., Palmqvist, E., Hahn-Hagerdal, B., Tengborg, C., Stenberg, K., and Zacchi, G. (1999), The generation of fermentation inhibitors during dilute acid hydrolysis of softwood, Enzyme Microb. Technol. 24, 151-159 

  8. Carvalheiro, F., L. C. Duarte, S. Lopes, J. C. Parajo, H. Pereira, and F. M. Girio (2005), Evaluation of the detoxification of brewery's spent grain hydrolysate for xylitol production by Debaryomyces hansenii CCMI 941, Process Biochem. 40, 1215-1223 

  9. Martinez, A., M. E. Rodriguez, S. W. York, J. F. Preston, and L. O. Ingram (2000), Effects of $Ca(OH)_2$ Treatments ("overliming") on the composition and toxicity of bagasse hemicellulose hydrolysates, Biotechnol. Bioeng. 69, 526-536 

  10. Choi, J.-W., H.-J. Lim, K.-S. Han, and D.-H. Choi (2006),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poplar wood (Populus alba X glandulosa) to momoneric sugars by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Mokchae Konghak 34, 44-50 

  11. Koo, B.-W., J.-W. Lee, J.-W. Choi, D.-H. Choi, and I.-G. Choi (2006), Supercritical water hydrolysis of waste logs after oak mushroom production, Mokchae Konghak 34, 81-95 

  12. Chaplin, M. F. and J. F. Kennedy (1986), Carbohydrat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p3, IRL Press, Oxford 

  13. McDonald, S., P. D. Prenzler, M. Antolovich, and K. Robards (2001),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live extracts, Food Chem. 73, 73-84 

  14. Miyafuji, H., T. Nakata, K. Ehara, and S. Saka (2005), Fermentability of water-soluble portion to ethanol obtained by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of lignocellulosics, Appl. Biochem. Biotechnol. 212-124, 963-971 

  15. Nakata, T., H. Miyafuji, and S. Saka (2006), Bioethanol from cellulose with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followed by enzymatic hydrolysis, Appl. Biochem. Biotechnol. 129-132, 476-4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