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osiglitazone약물을 함유한 PLGA 나노입자 제조 및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osiglitazone-loaded PLGA Nanoparticles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3 no.5, 2008년, pp.408 - 412  

신고은 (충주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  허강무 (충남대학교 바이오응용화학부 고분자공학) ,  이용규 (충주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치료제인 로시글리타존약물를 생분해성 PLGA 나노입자에 봉입시킴으로서 위장흡수율과 물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나노제제 개발에 기반을 두고 있다. 특히 제조조건에 따라 형태 및 크기가 조절가능한 나노입자를 제조하고자 하였고, 실험결과 Emulsion-evaporation방법을 사용하여 100-150 nm 크기의 고른 입자분포를 가진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약물 존재하에서 나노입자를 제조함으로서 1%까지의 약물이 80% 이상의 봉입율로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나노입자의 크기는 PVA양을 조절하면서 크기분포를 제어하였다. 36시간 동안의 용출실험 결과 초기 약간의 Burst effect가 있었으나 36시간동안 일정하게 약물이 용출되어 나옴을 확인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고효율의 경구제제용 당뇨병치료제 운반체 개발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siglitazone loaded poly (lactide-co-glycolide) (PLGA) nanoparticles (NPs) were prepared by the emulsion-evaporation method and optimized for particle size and entrapment efficiency. The optimized particles were 140-180 nm in size with narrow size distribution and 80% entrapment efficiency at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치료제인 로시글리타존약물를 생분해성 PLGA 나노입자에 봉입시킴으로서 위장흡수율과 물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나노제제 개발에 기반을 두고 있다. 특히 제조조건에 따라 형태 및 크기가 조절가능한 나노입자를 제조하고자 하였고, 실험결과 Emulsion-evaporation방법을 사용하여 100-150 nm 크기의 고른 입자분포를 가진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 내에서는 고분자 농도가 CMC 이하로 떨어질 경우, 고분자마이셀의 우려되는 점은? 이러한 고분자마이셀은 저분자 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in vitro에서 높은 안정성과 약물과의 강한 응집력으로 높은 봉입율을 가지고 있으며 생체 내에서 long-circulation 효과와 우수한 생체적합성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는 고분자 농도가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하로 떨어질 경우, 고분자구조가 분산되어 약물들의 전달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우려되고 있다.
친수성블록과 소수성블록이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양쪽성 블록고분자가 이중 또는 삼중으로 결합되어 자가응집형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고분자마이셀의 장점은? 고분자마이셀은 친수성블록과 소수성블록이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양쪽성 블록고분자가 이중 또는 삼중으로 결합되어 자가응집형 나노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고분자마이셀은 저분자 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in vitro에서 높은 안정성과 약물과의 강한 응집력으로 높은 봉입율을 가지고 있으며 생체 내에서 long-circulation 효과와 우수한 생체적합성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는 고분자 농도가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하로 떨어질 경우, 고분자구조가 분산되어 약물들의 전달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우려되고 있다.
약물전달 및 경구투여용으로 많이 쓰이는 천연고분자 재료는 무엇인가? 천연 고분자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나노입자 제조에 있어서는 고분자마이셀에 비해 높은 물리적 안정성을 보인다. 많이 쓰이는 천연고분자 재료로는 키토산, 헤파린 같은 다당류이며 약물전달 및 경구투여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합성고분자의 경우에는 공중합체인 Poly (lactide-co-glycolide) (PLGA)가 수 십 년 동안 약물의 서방성 제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장점으로는 높은 생체적합성, 조절 가능한 생분해능력 이외에도 구성하는 모노머인 lactide와 glycolide의 조성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생분해 메커니즘이 가능하고, 최종적으로 분해되어 무독성의 저분자로 전환되어 대사작용에 의해 생체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R. Jalil and J. R. Nixon (1990), J. Microencapsul. 7, 297 

  2. R. A. Jain (2000), Biomaterials 21, 2475 

  3. S. Freiberg and X. Zhu (2004), Int. J. Pharm. 282, 1 

  4. C. Berkland, M. King, A. Cox, K. Kim, and D. W. Pack (2002), J. Control. Release 82, 137 

  5. W. Jiang, R. K. Gupta, M. C. Deshpande, and S. P. Schwendeman (2005), Adv. Drug Deliv. Rev. 57, 391 

  6. S.-H. Lee and H. Shin (2007), Adv. Drug Deliv. Rev. 59, 339 

  7. H. Hirabayashi and J. Fujisaki (2003), Clin Pharmacokinet 42, 1319 

  8. P. Masarachia, M. Weinreb, R. Balena, and G. A. Rodan (1996), Bone 19, 281 

  9. H. Uludag and J. Yang (2002), Biotechnol. Prog. 18, 604 

  10. R. Niemi, J. Vepsalainen, H. Taipale, and T. Jarvinen (1999), J. Med. Chem. 2, 5053 

  11. A. Ezra, A. Hoffman, E. Breuer, I. S. Alferiev, J. Monkkonen, and N. El Hanany-Rozen (2000), J. Med. Chem. 43, 3641 

  12. K. Ogawa, T. Mukai, Y. Inoue, M. Ono, and H. Saji (2006), J. Nucl. Med. 47, 2042 

  13. T. Musumeci, L. Vicari, C. A. Ventura, M. Gulisano, R. Pignatello, and G. Puglisi (2006), J. Nanosci Nanotechnol. 6, 31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