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자점 레이저 다이오드의 식각 깊이에 따른 접합온도 측정
Junction Temperature of Quantum Dot Laser Diodes Depending on the Mesa Depth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7 no.6, 2008년, pp.555 - 559  

정정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소자연구센터) ,  한일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소자연구센터) ,  이정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소자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순방향 전압-온도 (forward voltage-temperature)법을 이용하여 양자점 레이저 다이오드의 접합온도를 측정하였다. 식각 깊이가 깊은 mesa 구조의 경우 입력전류에 대한 접합온도의 증가율은 0.05 K/mA인 반면, 식각 깊이가 낮은 mesa 구조의 경우 0.07 K/mA로서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깊은 mesa 구조에서의 상대적으로 낮은 접합온도 증가율은 mesa 측면 방향으로의 열확산 효과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nction temperature of quantum dot laser diodes is investigated by utilizing forward voltage-temperature method. In the case of ridge type laser diodes with deep mesa the increasing rate of junction temperature to current is about 0.05 K/mA, while in the case of shallow mesa the increasing rate 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순방향 전압-온도법을 이용하여 양자점을 활성층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접합온도 측정에 관한 결과를 설명한다. 식각 깊이가 깊은 mesa 구조를 가진 ridge 형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 입력 전류에 대한 접합온도의 증가율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방향 전압-온도법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레이저 다이오드의 접합온도 측정법으로 마이크로-라만분광법[1], 문턱전압법 [2], 열저항법 [3], electroluminescence 법 [4], photoluminescence 법 [5] 등이 알려져 왔지만 접합온도의 증가에 따른 발진파장이동법 [6]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측정법이 간단하고 빠르다는 장점 때문에 LED에서 사용되어 오던 순방향 전압-온도법 (forward voltage-temperature)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접합온도 측정에도 이용되고 있다 [7-9].
순방향 전압-온도법은 어떤 특성을 이용하여 양자점 레이저 다이오드의 접합온도를 측정하는가? 제작된 양자점 레이저 다이오드의 접합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순방향 전압-온도법을 이용하였다. 순방향 전압-온도법이란 순방향으로 인가된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에서 다이오드의 온도가 증가하면 전압이 낮아지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Fig.
양자점 에피구조는 어떤 방법으로 성장되었는가? 1은 실험에 사용된 양자점 에피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12]. 에피구조는 독일 Innolume 사로부터 구입한 것으로서 molecular beam epitaxy법으로 2인치 n+-GaAs 기판위에 성장되었다. 기판 위에 두께 500 nm의 n+-GaAs 버퍼층, 두께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 Todoroki, M. Sawai, and K. Aiki, J. Appl. Phys. 58, 1124 (1985) 

  2. H. I. Abdelkader, H. H. Hausien, and J. D. Martin, Rev. Sci. Instrum. 63, 2004 (1992) 

  3. S. Murata and H. Nakada, J. Appl. Phys. 72, 2514 (1992) 

  4. W. Epperlein and G. L. Bona, Appl. Phys. Lett. 62, 3074 (1993) 

  5. D. C. Hall, L. Goldberg, and D. Mehuys, Appl. Phys. Lett. 61, 384 (1992) 

  6. J. S. Manning, J. Appl. Phys. 52, 3179 (1981) 

  7. Y. Xi and E. F. Schubert, Appl. Phys. Lett. 85, 2163 (2004) 

  8. H. Y. Ryu, K. H. Ha, J. H. Chae, O. H. Nam, and Y. J. Park, Appl. Phys. Lett. 87, 093506 (2005) 

  9. J. H. Jeong, K. C. Kim, J. I. Lee, H. J. Kim, and I. K. Han, IEEE Photon. Technol. Lett. 20, 1354 (2008) 

  10. D. L. Huffaker, G. Park, Z. Zou, O. B. Schekin, and D. G. Deppe, IEEE J. Sel. Topics Quantum Electron. 6, 452 (2000) 

  11. H. Saito, K. Nishi, and S. Sugou, Electron. Lett. 37, 1293 (2001) 

  12. 유영채, 한일기, 이정일, 한국진공학회지 16, 353 (2007) 

  13. 유영채, 이정일, 김경찬, 김은규, 김길호, 한일기, 한국진공학회지 15, 493 (2006) 

  14. Y. Xi, J. Q. Xi, T. Gessmann, J. M. Shah, J. K. Kim, E. F. Schubelt, A. J. Fischer, M. H. Crawford, K. H. A. Bogant, and A. A. Alleman, Appl. Phys. Lett. 86, 03190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