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자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 구강안면동통클리닉에 내원한 외래환자중 BMS환자 59명과 대조군으로는 저자의 클리닉에 내원한 치과신환 94명과 일반시민 92명을 대상으로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MS환자군, 치과신환군, 일반시민군은 정상범위내에 있었다. 2. BMS환자군은 HOS척도, PHOB척도에서 낮은 척도를 보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PAR척도, PSY척도에서 가장 낮은 척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3. BMS환자군의 남성에서는 HOS척도에서, 여성에서는 PHOB척도에서 가장 낮았다. 4. BMS환자군의 여성척도군에서 SOM척도, O-C척도, DEP척도, ANX척도, PSY척도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5. BMS환자군의 급성군과 만성군으로 비교하였을때 별다른 점이 관찰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BMS patients were alalyzed psychologically by using the SCL-90-R. 59 BMS patient were subjected at Orofacial pain clinic, Department Of Or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2006 to 2007. The control group were subjected at dental c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BMS환자에 관한 원인과 치료방법에 관해서 아직까지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지금껏 제시된 다양한 요인들 중에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BMS환자의 특이성을 알아 보고자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 임상에서 손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비교적 정확한 심리평가를 할 수 있는 SCL-90-R을 이용하여36) BMS환자에 있어서 심리학적 특이성을 살펴보고 이를 임상에 활용하여 합리적인 치료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저자는 임상에서 손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비교적 정확한 심리평가를 할 수 있는 SCL-90-R을 이용하여36) BMS환자에 있어서 심리학적 특이성을 살펴보고 이를 임상에 활용하여 합리적인 치료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 작열감 증후군은 무엇인가? 구강 작열감 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 BMS)이란 육안적으로 명확히 관찰되는 임상적 징후 없이 혀, 구강 점막 및 입술을 침범하는 작열성 동통이나 찌르는 듯한 동통 등을 호소하는 질환이다.1-3) Ziskin4)에 의해 특발성 구설통(Idiopathic orolingual pain)으로 연구된 이래 설열감, 설통, 구강통, 구강열감 등으로 명명되며 연구되어 왔다.
정서적 심리적 긴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정서적 심리적 긴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방법에는 주관적인 구두형의 임상면접법과 객관적으로 표준화된 설문 또는 인벤토리형의 검사방법이 있으며, 특히 한국인 및 한국적 문화상황에 맞춰 수정, 표준화된 필답형 검사로는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 Inventory, MMPI),31)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 90-Revision, SCL-90-R)32) 및 사회적 재적응 평정척도(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SRRS)33)등이 있다.
구강 작열감 증후군은 어떻게 정의되고, 어떤 대상에게 호발하는가? 이 질환은 ‘어떠한 임상적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 구강내 통증장애’로 정의되며 주로 50대 이상 폐경기 여성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6-12) Grushka6)에 의하면 남성일 경우 여성에서 보다 낮은 연령층에서 발현된다고 하였고 Lewis5)는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7:1정도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Joseph ADA, Peter GF. The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Topics in oral diagnosis II 1993;1:37 

  2. Rogers RS. Dermatologic clinics. 1987, WB Saunders company, pp.641-647 

  3. 김종렬, 염미정. 구강 작열감 증후군 (BMS)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5;20:39-52 

  4. Ziskin DE, Moulton R. Glossodynia : a study of idiopathic orolingual pain. J Am Dent Assoc 1946;33:1422-1432 

  5. Lewis MAO, Lamey PJ. Clinical oral medicine. 1993, Butterworth-Heinemann Ltd, pp.99-102 

  6. Grushka M. Clinical features of burning mouth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7;63:30-36 

  7. Mott AE, Grushka M, and Sessle BJ.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aste disorders and burning mouth syndrome. Dent Clin North Am 1993;37(1):33-71 

  8. 최재갑, 허윤경.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의 미각역치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4;29:127-133 

  9. Basker RM, Sturdee DW, Davenport JC. Patients with burning mouths : A clinical investigation of causative factors, including the climacteric and diabetes. Br Dent J 1978;145:9-16 

  10. Gorsky DMD, Silverman S Jr, Chinn H. Burning mouth syndrome : A review of 98 cases. J Oral Med 1987;42:7 

  11. Lamey PJ, Lamb AB. Prospective study of etiological factors in burning mouth syndrome. Br Med J 1988;296:1243-1246 

  12. 이승우, 김종렬 외. 구강진단학. 제4판, 서울, 1990, 고문사. pp.221-255 

  13. Bengel W, Veltman G, Loevy H. T, Taschini P. Differential diagnosis of disease of the oral mucosa. 1989,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pp.75-121 

  14. Samaranayake LP, Lamb AB, Lamey PJ et al. Oral carriage of Candida species and coliforms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J Oral Pathol Med 1989;18:233-235 

  15. Koblenzer CS. Psychosomatic concepts in dermatology. Arch Dermatol 1983;119:501-502 

  16. Lamey PJ, Lamb AB. The usefulness of the HAD scale in assessing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9;67:390-392 

  17. Wardrop RW, Hailes J, Burger H et al. Oral discomfort at menopau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9;67:535-540 

  18. Ali A, Bates JF, Reynolds AJ et al. The burning mouth sensation related to the wearing of acrylic dentures : an investigation. Br Dent J 1986;161:444-447 

  19. Van Joost Th, van Ulsen J, van Loon LAJ. Contact allergy to denture materials in the burning mouth syndrome. Contact Dermatitis 1988;18:97-99 

  20. Gorsky DMD, Silverman S Jr, Chinn H. Clinical characterristics and management out-com in the burning mouth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1;72:192-195 

  21. Zegarelli DJ. Burning mouth : an analysis of 57 pati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4;58:34-38 

  22. Ziskin DE, Moulton R. Glossodynia : a study of idiopathic orolingual pain. JADA 1946;33:1422-1432 

  23. Iuseum R. A cytology study of the cornification of the oral mucosa in women : A preliminary repor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50;3:1516-1520 

  24. Main DMG, Ritchie GM. Cyclic changes in oral smears from young menstruating women. Br J Dermatol 1967;79:20-30 

  25. Wiener R, Karshan M, Tenenbaum B. Ovarian function in periodontosis. J Dent Res 1956;35:875-878 

  26. Ziskin DE, Moulton R. A comparison of oral and varginal epithelial smears. J Clin Endocrinol 1948;8:146-164 

  27. Montgomery PW. A study of exfoliative cytology of normal human oral mucosa. J Dent Res 1951;30:12-18 

  28. Papic M, Glickman I. Keratinization of the human gingiva in the menstrual cycle and menopau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50;3:504-516 

  29. Trott JR. A desquamative cytological study of healthy oral mucosa. J Periodontol 1958;29:213-220 

  30. Trott JR. A desquamative cytological study of healthy oral mucosa. Acta Anatomica 1962;49:289-296 

  31. 정범모, 이정균, 진위교. MMPI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 1965, 코리안 테스팅 센터 

  32.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간이정신진단 검사요강. 초판, 서울, 1984,중앙적성 연구소 

  33. 조대경, 이관용, 김기중. 정신위생. 초판, 서울, 1984, 중앙적성출판부 

  34. 김재환, 김광일. 간이정신검사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II. 정신건강연구 1984;2:278 

  35. 고명연. SCL-90-R을 이용한 TMD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9;24:59-67 

  36. 차정현, 박준상, 고명연, 안용우. SCL-90-R을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6;31:141-146 

  37. 손 인, 고명연.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한 치과외래환자의 정서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5;20:335-345 

  38. 김재환, 김광일, 이해리. 간이정신진단검사의 해석지침-code pattern을 중심으로. 정신건강연구 1985;3:173-217 

  39. Bergdahl M, Bergdahl J. Burning mouth xyndrom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J Oral Pathol Med 1999;28(8):350-354 

  40. Grushka M, Epstein JB, Gorsky M. Burning mouth syndrome. Am Fam Physician 2002;15:615-620 

  41. Cibirka RM, Nelson SK, Lefebvre CA. Burning mouth syndrome: A review of etiologies. J Prosthet Dent 1997;78:93-97 

  42. Yontchev E, Hedegard B, Carlsson GE. Reported symptoms, disease and medications of patients with orofacial discomfort complaint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6;15:35 

  43. Hertz DG, Steiner JE, Zuckerman H et al. Psychological and phychosom symptom formation in menopause. Psychother Psychosom Med Psychol 1971;19:47 

  44. Dutree-Meulenberg ROGH, Kozel MMA, van Joost T. Burning mouth syndrome : A possible etiologic role for local contact hypersensitivity. J Am Acad Dermatol 1992;26:935-940 

  45. Selye H.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and disease of adaptation. J Clin Endocrinol 1946;6:117 

  46. Cannon WB. Bodily changes in pain, hunger, fear and rage: An account of recent research into the function of emotional excitement. 2nd Ed, New York, 1929, Appleton-Century-Crofts. pp.259-265 

  47. 전양현, 홍정표. 스트레스와 구강질환.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 1995;3(1):57-72 

  48. Chun YH, Hong JP. Stress and oral diseases. Kor Stress Res 1995;3:57-72 

  49. Lundstrom IM, Anneroth KG, Berstedt HF. Salivary gland function and changes in patients with oral lichen planus. Scand J Dent Res 1982;90:443-458 

  50. Sreebny LM.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salivary induced conditions. Int Den J 1989;39:197-204 

  51. Grushka M, Sessle BJ. Burning mouth syndrome. Dent Clin North Am 1991;35:171-184 

  52. VanHoudenhove B, Joostens P. Burning mouth syndrome. Successful treatment with combined psychotherapy and psychopharmacotherapy. Gen Hosp Psychiatry 1995;17:385-388 

  53. Lamb AB, Lamey PJ, Reeve PE. burning mouth syndrome: psychological aspects. Br Dent J 1988;165:256-260 

  54. Bergdahl J, Anneroth G, Perris 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resistant burning mouth syndrome. Acta Odontol Scand 1995;53:7-11 

  55. Grushka M, Sessle BJ, Miller R. Pain and personality profiles in burning mouth syndrome. Pain 1987;28:155-167 

  56. 김광일, 원호택, 이정호. 간이정신 진단검사(SCL-90)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 정상인의 반응특성. 신경정신의학 1978;17:449 

  57. 원호택.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의 한국판 표준화연구 II. 한양대학교 논문집 1978;12:457 

  58. Rugh JD, Solberg WK. Psychological implication in temporomandibular pain and dysfunction. Oral Sci Rev 1976;7:3 

  59. Marbach JJ, Dworkin, SF. Chronic MPD group therapy and psychodynamics. JADA 1975;90:827 

  60. Zarb GA, Peck, JE.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 A retrospective study. J Prosthet Dent 1977;38:4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