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보카도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와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s from Avocado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3, 2008년, pp.269 - 275  

이성규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  유미희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  이인선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아보카도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보카도의 과육, 씨, 껍질을 각각 분리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각각의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였고, 인간유래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주를 사용하여 항암활성을 살펴보았다. 아보카도 과육과 씨 및 껍질의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아보카도 과육과 씨 및 껍질 추출물이 각각 13.89, 137.2, $223.45{\mu}g/mg$으로 아보카도 껍질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각각 4.03, 5.69, $13.6{\mu}g/mg$으로 폴리페놀 함량보다는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껍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시료의 DPPH 소거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아보카도 껍질 추출물이 $5{\mu}g/mL$에서 60.4%로 껍질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였다. 또한 $ABTS{\cdot}^+$ 소거활성을 trolox, BHA,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아보카도 껍질 추출물은 $10{\mu}g/mL$에서 60.4%의 소거활성을 보였고, DPPH 소거활성과 동일하게 껍질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소거활성능을 보였다. 아보카도 씨, 껍질 추출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지를 관찰한 결과 씨, 껍질 추출물 모두 caspase-3, PARP 단백질들의 발현을 유도하였고, 이들은 모두 $200{\mu}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NA 분절 현상을 관찰한 결과 씨 추출물에서는 100, $200{\mu}g/mL$ 농도에서, 껍질 추출물에서 10, 50, 100, $200{\mu}g/mL$의 농도에서 DNA 분절화 현상이 일어난 것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보카도 씨와 껍질 추출물은 apoptosis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caspas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순차적으로 DNA 분절을 활성화시켜 호르몬 비의존성 유방암 MDAMB-231 세포주의 apoptosis의 유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vocado is a widely grown and consumed fruit that is high in nutrients and low in calories, sodium, and fats.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seed and peel of avocado were investigated in vitro.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보카도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보카도의 과육, 씨, 껍질을 각각 분리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각각의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였고, 인간유래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주를 사용하여 항암활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아보카도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보카도의 과육, 씨, 껍질을 각각 분리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각각의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였고, 인간유래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주를 사용하여 항암활성을 살펴보았다. 아보카도 과육과 씨 및 껍질의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아보카도 과육과 씨 및 껍질 추출물이 각각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보카도는 식물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한편 아보카도(Persea americana Mill.)는 식물학적으로 Lauraceae과에 속하는 과수로서,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일대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아보카도의 품종은 약 50여개로 알려져 있으며, 모두가 Persea americana Mill.
아보카도의 지질 중 가장 우수한 지방산은 무엇인가? 아보카도는 유질(油質)의 과일이며(17), 이 중 식용되는 부분의 지질함량이 25%정도이며(18), 아보카도의 지질 중가장 우수한 지방산은 단일불포화지방산이다(19). 이와 같은 단일불포화지방산은 혈청지질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에 이익을 주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20-22).
아보카도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보카도의 과육, 씨, 껍질을 각각 분리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각각의 항산화 효과를 연구한 결과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아보카도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보카도의 과육, 씨, 껍질을 각각 분리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각각의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였고, 인간유래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주를 사용하여 항암활성을 살펴보았다. 아보카도 과육과 씨 및 껍질의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아보카도 과육과 씨 및 껍질 추출물이 각각 13.89, 137.2, 223.45 μg/mg으로 아보카도 껍질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각각 4.03, 5.69, 13.6 μg/mg으로 폴리페놀 함량보다는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껍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시료의 DPPH 소거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아보카도 껍질 추출물이 5 μg/ mL에서 60.4%로 껍질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능을보였다. 또한 ABTSㆍ+ 소거활성을 trolox, BHA,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아보카도 껍질 추출물은 10μg/mL에서 60.4%의 소거활성을 보였고, DPPH 소거활성과동일하게 껍질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소거활성능을 보였다. 아보카도 씨, 껍질 추출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지를 관찰한 결과 씨, 껍질 추출물 모두 caspase-3, PARP 단백질 들의 발현을 유도하였고, 이들은 모두 200 μ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NA 분절 현상을 관찰한 결과 씨 추출물에서는 100, 200 μg/mL 농도에서, 껍질 추출물에서 10, 50, 100, 200 μg/mL의 농도에서 DNA 분절화 현상이 일어난 것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보카도 씨와 껍질 추출물은 apoptosis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caspas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순차적으로 DNA 분절을 활성화시켜 호르몬 비의존성 유방암 MDAMB-231 세포주의 apoptosis의 유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Cadenas E, Davies KJA. 2000. Mitochondrial free radical generation, oxidative stress, and aging. Free Radical Biol Med 29: 222-230 

  2. Marnett L. 2000. Oxyradicals and DNA damage. Carcinogenesis 21: 361-370 

  3. Uchida K. 2000. Role of reactive aldehyde in cardiovascular diseases. Free Radical Biol Med 28: 1685-1696 

  4. Visioli F, Kearey JF, Halliwell B. 2000. Antioxidant and cardiovascular diseases: panaceas or tonics for tired sheep. Cardiovasc Res 47: 409 

  5. Liu F, Ng TB. 2000.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elected medicinal herbs. Life Sci 66: 725-735 

  6. Aischer RG, Hess JL. 1993. Antioxidants in higher plants. CRC Press, Boca Raton, USA. p 1-17 

  7. Ames BN, Saul R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nn Inter Med 107: 536-539 

  8. Kim JH. 1998.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armaco-constituents of Houttuyniae herba. M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9. Shin UY. 1998.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Spargnanium erectum. PhD Dissertation. Dongduk Woman's University 

  1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Korea 

  11. Go BJ, Kim MH, Chang SH, Paik SI. 1998. A clinical review of breast cancer. J Kor Surg Soc 55: 959-972 

  12. Clarke PG, Clarke S. 1995. Historic apoptosis. Nature 378: 230 

  13. Robaye B, Mosselmans R, Fiers W, Dumont JE, Galand P. 1991. Tumor necrosis factor induces 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in normal endothelial cells in vitro. Am J Pathol 138: 447-453 

  14. Brucher H. 1977. Tropische Nutzpflanzen. Springer, Berlin, Germany. p 348-351 

  15. Lahav E, Kadman A. 1980. Avocado Fertilisation. IPI-Bullectin No. 6, Bern 

  16. Rehm S, Espig G. 1984. Die Kulturpflanzen der Tropen und Subtropen. Ulmer, Stuttgart, Germany. p 159-182 

  17. Lewis CE, Morris R, O'Brien K. 1978. The oil content of avocado mesocarp. J Sci Food Agric 29: 943-949 

  18. Hierro MT, Tomas MC, Fernandez-Martin F, Santa-Maria G. 1992. Determination of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avocado oil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 light-scattering detector. J Chromatogr 607: 329-338 

  19. Swhisher HE. 1988. Avocado oil from food use to skin care. J Am Oil Chem Soc 65: 1704-1706 

  20. Alvizouri-Munoz M, Carracza-Madrigal J, Herrera-Abarca JE, Chavez-Carbajal F, Amezcua-Gastelum JL. 1992. Effects of avocado as a source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 levels. Arch Med Res 23: 163-167 

  21. Carranza J, Alvizouri M, Alvarado MR, Chavez F, Gomez M, Herrera JE. 1995. Effects of avocado on the level of blood lipids in patients with phenotype II and IV dyslipidemias. Arch Inst Caridiol Mex 65: 342-348 

  22. Colquhoun DM, Moores D, Somerset SM, Humphries JA. 1992. Comparison of the effects on lipoproteins and apolipoproteins of a diet high in monounsaturated fatty acids, enriched with avocado, and a high carbohydrate diet. Am J Clin Nutr 56: 671-677 

  23. Lassen D, Bacon K, Sutherland J. 1994. Chromatographic investigation of the carotenoid pigments of the avocado. Food Res 9: 427-433 

  24. Slater GG, Shankman S, Shepherd JS, Alfin-Slater RB. 1975. Seasonal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California avocados. J Agric Food Chem 23: 468-474 

  25. Moreno AO, Dorantes L, Galindez J, Guzman RI. 2003. Effect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on fatty acids, volatile compounds, an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vocado (Persea americana Mill.) oil. J Agric Food Chem 51: 2216-2221 

  26. Shaw PE, Wilson III CW, Knight JRJ. 1980.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D-manno-heptulose, perseitol, glucose, and fructose in avocado cultivars. J Agric Food Chem 28: 379-462 

  27. Duester KC. 2001. Avocado fruit is a rich source of beta-sitosterol. J Am Diet Assoc 101: 404-405 

  28. Kim OK, Murakami A, Nakamura Y, Takeda N, Yoshizumi H, Ohigashi H. 2001. Novel nitric oxide and superoxide generation inhibitors, persenone A and B, from avocado fruit. J Agric Food Chem 48: 1557-1563 

  29. Vinson JA, Su X, Zubik L, Bose P. 2000. Phenol antioxidant quantity and quality in foods: fruits. J Agric Food Chem 49: 5315-5321 

  30. Kim OK, Murakami A, Nakamura Y, Ohigashi H. 1998. Screening of edible Japanese plants for nitric oxide generation inhibitory activities in RAW 264.7 cells. Cancer Lett 125: 199-207 

  31. Hashimura H, Ueda C, Kawabata J, Kasai T. 2001. Acetyl-CoA carboxylase inhibitors from avocado (Persea americana Mill.) fruits. Biosci Biotechnol Biochenol Biochem 65: 1656-1658 

  32. Prusky D, Kobiler I, Fishman Y, Sims JJ, Midland SL, Keen NT. 1991. Identification of an antifungal compound in unripe avocado fruits and its possible involvement in the quiescent infections of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J Phytophanthol 132: 319-327 

  33.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34.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3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36. Herrmann M, Larenz HM, Grunke R, Voll M, Woith W, Kalden JR. 1994. A rapid and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of apoptotic DNA fragments. Nucleic Acids Res 22: 5506-5507 

  37. Yu MH, Im HG, Lee HJ, Ji YG,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38.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39.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1 

  40. Bors W, Saran M. 1987. Radical scavenging by flavonoid antioxidants. Free Rad Res Comm 2: 289-294 

  41. Suolinna EM, Buchsbaum RN, Racker E. 1975. The effect of flavonoids on aerobic glycolysis and growth of tumor cells. Cancer Res 35: 1865-1872 

  42. Gerriten ME. 1995. Flavonoids inhibit cytokine-induced endothelial cell adhesion protein gene expression. Am J Pathol 147: 278-292 

  43. Yang SA, Im NK, Lee IS. 2007.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 vitro antithrombot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 J Food Sci Technol 39: 83-87 

  44.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45. Alnemri ES. 1997. Mammalian cell death proteases: a family of highly conserved aspartate specific cysteine proteases. J Cell Biochem 64: 33-42 

  46. Soldani C, Scovassi AI. 2002. Poly(ADP-ribose) polymerase-1 cleavage during apoptosis: an update. Apoptosis 7: 321-328 

  47. White E. 1993. Death-defying acts: A meeting review on apoptosis. Genes Cells 7: 2277-2284 

  48. Lee CH, Chung MC, Lee HJ, Kho YH. 2000. An apoptosis regulator isolated from Petasites japonicum. J Food Sci Technol 32: 448-4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