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기 조건에 따른 화재거동 연구
On the Fire Behavior Due to the Ventilation Condition in the Fire Compartment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2 no.5 = no.272, 2008년, pp.367 - 373  

김성찬 (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ies of fire experiments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fire structure of under-ventilated compartment fires. A comprehensiv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gaseous species from the fire was made in the upper layer of fire in a 40 % reduced scale ISO 9705 fire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화재실 내부의 환기조건에 따른 연소가스 생성에 관한 물리적 이해를 도모하고 환기부족 화재에 대한 기준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모형 실험을 통해 화재실내부의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 81 m 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 출입구 폭을 절반으로 줄인 0.24 m 인 경우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환기 부족화재의 경우 화재실내부 온도가 최고 1000 ℃이상 유지되기 때문에 화재실을 지지하고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강철 프레임을 제작하였으며 프레임 내부는 내화재료인 마그네슘 보드와 마리나이트(marinate) 보드를 혼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 공간 내에서 당량비에 따른 연소가스의 생성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여 환기부족 화재에 대한 화재거동을 이해하고 환기적정화재와 환기부족화재를 구분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측정된 실험결과를 통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관련분야의 응용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축소 모형실험은 환기특성에 따른 제한된 공간 내에서 연소생성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실제규모의 실험과의 비교검증을 통하여 상사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환기조건에 따른 화재 특성을 이해하고 수치 해석이나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 공간 내에서 당량비에 따른 연소가스의 생성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여 환기부족 화재에 대한 화재거동을 이해하고 환기적정화재와 환기부족화재를 구분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측정된 실험결과를 통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관련분야의 응용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축소 모형실험은 환기특성에 따른 제한된 공간 내에서 연소생성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실제규모의 실험과의 비교검증을 통하여 상사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환기조건에 따른 화재 특성을 이해하고 수치 해석이나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실 내부의 가연 연료가스의 존재는 어떤 문제를 야기시키는가? 이러한 화재실 내부의 가연 가스 연료의 존재는 최성기 화재(flashover), 역화(backdraft), 화재폭발(fireball) 등과 같은 화염으로 인한 열적피해뿐만 아니라 불완전 연소과정 중에 발생하는 유독가스인 일산화탄소(CO), 염화수소(HCl), 시안화수소(HCN)등으로 인한 질식이나 다량의 매연(soot)으로 인하여 거주자들의 가시거리 감소를 유발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유독가스(toxic gases)에 대한 예측은 화재 위험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주요 변수로 인식되고 있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화재 인명피해가 이러한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과 관련이 있다.
화재 공간 내부의 화재거동은 무엇에 크게 영향을 받는가? 화재공간 내부의 화재거동은 주변 외기의 환기 상태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화원특성에 관계 없이 개구부의 기하학 적인 형상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무엇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화재공간 내부의 화재거동은 주변 외기의 환기 상태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화원특성에 관계 없이 개구부의 기하학 적인 형상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ull, T. R., Quinn, R. E, Areri I. G. and Purser D. A. 2002., “Combustion Toxicity of Fire Retarded EVA,”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77. No. 2, pp. 235-242 

  2. Purser, D. A., 2002, “Toxicity Assessment of Combustion Product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ion 

  3. Hull, T. R., Lebek, K., Pezzani, M. and Messa, S., 2007. “Comparison of Toxic Product Yields of Burning Cables in Bench and Large-scale Experiments,” Fire Safety Journal, In Press 

  4. Hull, T. R. and Paul, K. T., 2007. “Bench-scale Assessment of Combustion Toxicity . A Critical Analysis of Current Protocols,” Fire Safety Journal, Vol. 42, No. 5. pp. 340-365 

  5. ISO TS 19706, 2004,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Fire Threat to People 

  6. Pitts, W. M., 1995, “The Global Equivalence Ratio Concept and Formation Mechanisms of Carbon Monoxide in Enclosure Fires,”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Vol. 21, No. 3, pp. 197-237 

  7. Kim, S. C., Hamins, A., Bundy, M., Johnsson, E. R., and Ko, G. H., 2007, “Analysis of Thermocouple Behavior in Compartment Fire,” Proceeding of 7th Aisa-Oceania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AOSFST, Vol. 1 

  8. Bryant, R. A., Ohlemiller, T. J., Johnsson, E. L., Hamins, A., Grove, B. S., Guthrie W. F., Maranghides, A. and Mulholland, G., 2003, “NIST 3Megawatt Quantitative Heat Release Rate Facility,” NIST, SP 1007, Gaithersburg, MD 

  9. Parker, W. J., 1984, “Calculations of the Heat Release Rate by Oxygen Consumption for Various Applications,” Journal of Fire Science, Vol. 2, No. 5, pp. 380-395 

  10. Bundy, Matthew, Maranghides, A., Johnsson, R., Kim, S. C. and DeLauter, L., 2007, “Heat Release Uncertainty in the NIST Large Fire Facility,” NIST Annual Fire Conference, Gaithersburg, MD 

  11. Drysdale, D., 1998, “An Introduction to Fire Dynamics,” 2nd Edition, Wiley, UK 

  12. Gottuk, D. T. and Lattimer, B. Y., “Effect of Combustion Conditions on Species Production,”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ion 

  13. Andersson, P., Rossel, L., Simonson, M, and Emanuelsson, V., 2004, “Small and Large Scale Fire Experiments with Electric Cables Under Wellventilated and Vitiated Conditions,” Fire Technology, Vol. 40, pp. 247-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