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과 해일고 증가 경향
Rising Tendencies of both Tidal Elevation and Surge Level at the Southwestern Coast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0 no.1, 2008년, pp.14 - 24  

강주환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  박선중 (목포대학교 건설환경협동과정) ,  박민원 (목포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포와 제주를 위시한 서남해안에서 최근 예측 고조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조화분석을 통한 자료분석 결과 서남해안 전반에 걸쳐 평균해수면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반면 반일주조의 진폭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태양연주조(Sa분조)의 진폭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절기의 고조위가 더욱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1세기 들어 RUSA와 MAEMI등 대형 태풍의 발생이 잦아지고 있어 1990년대에 비해 서남해안에서의 최대해일고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은 7월${\sim}$9월에 집중되고 있어 하절기 고조위 상승과 함께 이상고조위 발생 가능성을 더욱 우려스럽게 하고 있다. 특히 목포해역은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이후 이상고조 발생 가능성이 현격히 높아진 해역이므로 더욱 그러한 실정이며, 평균해수면 상승경향이 매우 뚜렷한 제주해역 역시 향후 이상고조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rising tendency of high water level is detected at southwestern coast. The result of harmonic analysis shows increasing trend of mean sea level, decreasing trend of the amplitudes of semi-diurnal tidal constituents, and increase of Sa tidal constituent, therefore, additional increase of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남해안에 위치한 목포, 완도, 여수, 문도, 추자도, 제주, 서귀포 등 7곳의 기준 검조소를 대상으로 1990년 이후의 조위 자료 분석을 통해 고조위 및 조 위 편차의 연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강주환 등, 2006)에서 사용된 사후추정법을 이용하여 조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 특히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에 따라 향후 해안범람의 위험이 크게 늘 것이며 연안에 미치는 영향은 심대할 것이다(Nicholls, 2002).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주로 서남해안에 위치한 기준검조소 자료를 대상으로 1990년 이후의 조위 자료 분석을 통해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변화 경향을 고극조위에 주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 제주의 경우에도 상위 26위까지의 예측 고조 위가 전부 2000년대 이후이며 27위에 비로소 1990 년대 자료가 랭크되고 있는 등 목포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서남해안에서 목포와 제주를 중심으로 2000년대 이후 예측 고조 위가 크게 상승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본 고에서는 이러한 상승 결과가 단지 지구온난화에 의한 평균해수면 상승에만 기인하는지 여부를 먼저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6). 조석/해일 환경변화를 감안한 고극조위 빈도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1B), 99-106 

  2. 강주환, 문승록, 오남선 (2005).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2B), 151-157 

  3. 문승록, 박선중, 강주환, 박민원 (2007). 태풍 이동경로에 따른 서남해안의 해일고 추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 문승록, 박선중, 강주환, 윤종태 (2006). MIKE21 모형을 이용한 목포해역 해일/범람 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8(4), 348-359 

  5. Byun, D.S., Wang, X.H. and Holloway, P.E. (2004). Tidal characteristic adjustment due to dyke and seawall construction in the Mokpo coastal zone,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9, 185-196 

  6. Choi, B.H., Roh, S.J., Lee, J.H. and Fang, G. (1999). An analysis on the mean sea level change of the seas adjacent to Korea. Acta Oceanologica Sinica, 18(3), 337-353 

  7. Dronkers, J.J. (1964). Tidal Computations in Rivers and Coastal Waters. North- Holland publishing company 

  8. Kang, J.W. (1999).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in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8(4), 429-438 

  9. Kang, Y.Q. and Lee, B.D. (1985). On the annual variation of mean sea level along the coast of Kor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y Society of Korea, 20(1), 22-30 

  10. Morton, R.A., Ward, G.H. and White, W.A. (2000). Rates of sediment supply and sea-level rise in a large coastal lagoon. Marine Geology, 167, 261-284 

  11. Murray, M.T. (1964). Pol/PSMSL Tidal Analysis Software Kit(TASK Package). Proudman Oceanographic Laboratory 

  12. Nicholls, R.J. (2002). Analysis of global impacts of sea-level rise: a case study of flooding.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27, 1455-1466 

  13. Oh, I.S., Rabinovich, A.B., Park, M.S. and Mansurov, R.N. (1993). Seasonal sea level oscillations in the East S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y Society of Korea, 28(1), 1211-1220 

  14. Pang, I.-C. and Oh, I.-S. (1994). Long-period sea level variations around Korea, Japan, and Russia. Bull. Korean Fish. Soc., 27(6), 733-753 

  15. Pugh, D. (1987). Tides, Surges and Mean Sea-Level. John Wiley & Sons, 107-109 

  16. Pugh, D. (2004). Changing Sea Levels. Cambridge, 180-2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