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교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복식미의 연구 - 불교.도교.유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ast Asian Costume Beauty, Affected by Religion - Focusing on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2, 2008년, pp.93 - 106  

서봉하 (용인송담대학 스타일리스트과) ,  김민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ia Folk Costumes are certainly different from the Western Costumes. This distinction is based upon the effect of environment, technology, and social structure, and especially, which was generated by religion, ideology, and philosophy. The ideas of fundamental ground of this eastern features are re...

주제어

참고문헌 (58)

  1. 이준오 (1990). 아르뛰르 랭보의 詩. 영혼의 언어와 침묵-동양의 형이상학과 미학. 서울: 숭실대학교 출판부, p. 239 

  2. Malcolm Barnard (1996). The Function of Fashion and Clothing. Fashion as Communication. Oxford: Resources, p. 67 

  3. Paul Tillich (1948). The Protestant Era.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7 

  4. Max Weber (1993). The Sociology of Religion. (Trans.) Ephraim Fischoff. Boston: Beacon Press, pp. 27-28 

  5. 김민자 (2004a). 복식미학 강의 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 18 

  6.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pp. 26- -34 

  7. 1998 Britannica Book of the Year. p. 314 

  8. Max Weber (1968). The Religion of China. Glencoe: The Free Press, p. 329 

  9. 배국원 (2000). 현대 종교철학의 이해: 종교에 대한 후기 근대적 접근. 서울: 동연, pp. 181-182 

  10. 윤재근 (2006). 東洋의 本來美學. 서울: 나들목, p. 67 

  11. 류무상 (2005). 성서적 입장에서 본 유교, 불교 그리고 서양철학. 서울: 심산, p. 294 

  12. 이훈구 (2000). 비교종교학. 서울: 은혜출판사, p. 228 

  13. 송흥국 (2005). 세계종교와 기독교. 서울: 한국문서선교회, pp. 219-22 

  14. 김종서 (2005). 종교사회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243 

  15. Smart, Ninian (2000). 종교와 세계관. 김윤성(역). 서울: 이학사, pp. 88-89 

  16. 임영자 (1990). 韓國 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 문화사, p. 48 

  17. 라미라 편 (1991). 민속복식. 서울: 주식회사 라미라, p. 201 

  18. 조효순 (1989). 복식. 서울: 주식회사 대원사, p. 65 

  19. 井筒雅風 (2004). 日本女性服飾史. 서울: 도서출판 경춘사, p. 97 

  20. 윤재근 (1993).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 71 

  21. 서봉하, 김민자 (2007). 不二 사상에 영향을 받은 전통복식의 조형미. 복식, 57(3), p. 174 

  22. 조요한 (1999). 韓國美의 照明. 서울: 열화당, p. 95 

  23.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71-78 

  24.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443-444 

  25.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39-43 

  26. 임영자, (1990). 韓國 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 문화사, p. 196 

  27.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pp. 167-169 

  28.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323 

  29. 자료검색일 2007. 9. 27, 자료출처 www.japanesekimono.com 

  30. 吳哲夫 總編輯 (1986). 中華五千年文物集刊: 服飾篇 下. 臺北: 中華五千年文物集刊 編輯委員會, p. 357 

  31.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 4 

  32. 경운회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서울: 경운박물관, p. 61 

  33.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 85 

  34. 今道友信 (2005). 동양의 미학. 조선미(역). 서울: 다할미디어, p. 148 

  35. 今道友信 (2005). 동양의 미학. 조선미(역). 서울: 다할미디어, p. 143 

  36. 구문회 (2003). 우리옷의 발자취를 통해 본 사회상. 생활 속에 담긴 우리 옷의 발자취.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92 

  37.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中).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38 

  38. Garrett, Valery M. (1994). Chinese Clothing, An Illustrated Guide.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76 

  39.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19 

  40. 자료검색일 2007. 9. 27, 자료출처 www.iz2.or.jp 

  41.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157-159 

  42. 임영자 (1990). 韓國 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 문화사, pp. 35-37 

  43. 박석준 (2005). 陰陽, 이동철.최진식.신정근(엮음), 21세기의 동양철학. 서울: 을유문화사, p. 188 

  44.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pp. 62-65 

  45. 이종철 (2000). 국립민속박물관 자료총서: 胸背.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39 

  46. 임영자 (1990). 韓國 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 문화사, p. 36 

  47. 韋榮慧 (1992). 中華民族服飾文化.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64 

  48.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영원한 삶. 저승 빔, p. 32 

  49. 자료검색일 2007. 5. 22, 자료출처www.bridalsalon.co.jp/image 

  50.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 68 

  51. Garrett, Valery M (1994). Chinese Clothing, An Illustrated Guide.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130 

  52. 자료검색일 2007. 9. 12, 자료출처www.general-museum.fks.ed.jp 

  5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巫具. 서울: 민속원, p. 148 

  54.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206-207 

  55. 홍윤식 (1986). 韓國의 佛敎美術. 서울: 대원정사, p. 21 

  56. 김민자 (2004b). 복식미학 강의 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p. 159-160 

  57. 김용덕 (2002). 불교와 민속과 환경의 생태론적 연구. 민속과 환경. 서울: 민속원, p. 152 

  58. 김민자(2004a). 복식미학 강의 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 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