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환원균과 3가철을 이용한 Trichloroethylene의 제거에 관한 연구
Trichloroethylene Removal Using Sulfate Reducing Bacteria and Ferric Iron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3 no.1, 2008년, pp.24 - 31  

황기철 ((주) 도화종합기술공사 환경부) ,  민지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박인선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박재우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혼합균에서 분리 배양한 황환원균에 의해 발생되는 황화수소가 염소계유기오염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의 환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염소계유기오염물질에 대한 환원력이 있다고 알려진 2가철은 황화수소가 존재할 경우 트리클로로에틸렌의 환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환원균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준의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농도에서 황화수소 발생 및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황산염의 환원으로 발생한 황화수소의 농도는 4.38 mM,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농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황환원균에 의해 발생되는 황화수소의 농도가 트리클로로에틸렌을 환원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황화수소의 농도가 위 실험에서 발생된 농도보다 100배 정도 높을 경우(438 mM)에는 트리클로로에틸렌에 대한 환원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산화철인 $Fe_2O_3$(3가철)를 첨가하였을 경우, 황환원균의 생장에 따라 황화수소, 2가철 및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농도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황환원균에 의해서 발생된 황화수소가 산화되면서 3가의 산화철을 2가철로 환원시키고 황화수소에 의하여 환원된 2가철이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하여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농도의 황화수소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의 환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다만, 황화수소에 의해 환원된 2가철이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시키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해수중에서 황환원균과 $Fe_2O_3$가 공존할 경우의 트리클로로에틸렌의 제거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을 한 결과 황환원균이 황화수소를 생성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의 제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반응들은 황환원균 생장에 필수적인 탄소원의 농도가 확보될 때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lfate reducing bacteria (SRB) is universally distributed in the sediment, especially in marine environment. SRB reduce sulfate as electron acceptor to hydrogen sulfide in anaerobic condition. Hydrogen sulfide is reducing agent enhancing the reduction of the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With S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CE의 독성으로 황환원균의 생장에 영향을 미쳐 이에 의한 황화수소의 생성이 저해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500 mL의 배양용기에 배지 500 mL를 주입하고 황환원균을 접종한 후, 각각의 시료에 TCE의 농도가 0, 30 mg/L가 되도록 TCE를 주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CE로 오염된 퇴적토를 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퇴적토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황환원균과 퇴적토에 분포하고 있는 3가철산화물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자연정화가 가능한 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적으로 TCE에 대한 미생물의 독성영향을 평가하고, 황환원균의 대사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농도를 철산화물의 유무에 따라 관찰하고 이에 따른 TCE의 농도변화, 용액상과 고체상의 2가철의 농도변화를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철산화물이 존재하는 자연환경에서 황환원균에 의해 TCE가 제거되는지 그리고 제거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퇴적토에 서식하고 있는 황환원균과 토양의 일반적인 철산화물인 Fe2O3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유기오염물질인 TCE를 환원제거하기 위한 연구이다. 황환원균이 환원시켜 발생하는 황화수소가 직접적으로 TCE에 작용을 하여 TCE를 제거하고 또한 황화수소에 의해 환원된 2가철에 의해서도 TCE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 2에 따르면 황환원균의 생장에 의해 황산염이 환원되어 황화수소가 생성되긴 하지만, 생성된 황화수소에 의해서는 TCE가 환원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황환원균을 접종하지 않은 상태에서 황화수소에 의한 TCE의 환원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의 농도를 변화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황화수소를 4.
  • 황환원균의 생장에 따라 황산염을 환원시켜 황화수소를 생성하는 경향을 파악하고 생성된 황화수소로 TCE가 제거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30 mL의 vial에 실험에 사용된 배지는 질소가스로 치환하고 가압 멸균한 배지를 주입하고 위의 절과 동일한 조건으로 TCE를 첨가하였다.
  • 황환원균의 생장에 의해서 황화수소가 생성되었을 때, 황화수소에 의해서 3가철이 2가철로 환원이 되는지, 또한 환원이 된다면 환원된 2가철에 의해서 TCE가 제거가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30 mL vial에 Fe2O3를 3g씩 넣은 뒤에 위의 실험과 같은 방식으로 배지를 채우고 황환원균과 NaN3를 접종한 뒤 TCE를 30 mg/L를 주입하였다.
  • 황환원균이 Fe2O3와 공존할 때, 실제 해수환경에서도 TCE가 제거됨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해수는 인천 국제공항 인근의 을왕리 해변에서 채취하였고, 사전 분석결과 황산염의 농도는 실험에 사용한 배지의 농도인 1800 mg/L로 나타났지만 황환원균의 탄소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총유기탄소(TOC)는 배지의 농도인 628 mg/L 보다 적은 1.
  • 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유기오염물질인 TCE를 환원제거하기 위한 연구이다. 황환원균이 환원시켜 발생하는 황화수소가 직접적으로 TCE에 작용을 하여 TCE를 제거하고 또한 황화수소에 의해 환원된 2가철에 의해서도 TCE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환원균은 어떠한 물질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여 호흡하는가? 황환원균(Sulfate reducing bacteria, SRB)은 혐기적인 상태를 보이는 퇴적토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해양성 퇴적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황환원균은 절대 혐기 상태에서 살아가며 황산염 (sulfate,SO42−)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하고 당류, 아미노산, 용존 유기물들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여 호흡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화수소(HS−)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Menert et al.
황환원균은 어디에 많이 분포되어있는가? 황환원균(Sulfate reducing bacteria, SRB)은 혐기적인 상태를 보이는 퇴적토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해양성 퇴적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황환원균은 절대 혐기 상태에서 살아가며 황산염 (sulfate,SO42−)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하고 당류, 아미노산, 용존 유기물들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여 호흡한다.
TCE를 제거하기 위해 황환원균을 이용할 시 단점은? 이러한 TCE를 제거하기 위해 황환원균을 이용한 연구도 진행되어 왔다(Drzyzga and Gottschal, 2002). 황환원 균을 이용한 TCE의 제거는 친환경적으로 평가되어지나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조세이, 박재우, 2005, 황화철에 의한 6가크롬의 환원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7(6), 657-662 

  2. Bak, F., Scheff, G., and Jansen, K.H, 1991, A rapid and sensitive ion chromatographic technique for the determination of sulfate and sulfate reduction rates in freshwater lake sediments, FEMS Microbiology Ecology, 85(1), 23-30 

  3. Butler, E.C. and Hayes, K.F., 1999, Kinetics of the transformation of trichloroethylene and tetrachloroethylene by iron sulfide, Environ. Sci. Technol. 33(12), 2021-2027 

  4. Drzyzga, O. and Gottschal, J.C., 2002, Tetrachloroethene dehalorespiration and growth of Desulfobacterium frappieri TCE in strict dependence on the activity of Desulfovibrio fructosivoran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8(2), 642-649 

  5. Lens, P.N.L., Simpa, J., Hulshoff Pol, L.W., and Lettinga, G., 2000, Effect of nitrate on acetate degradation in a sulfidogenic staged reactor, Water Research, 34(1), 31-42 

  6. Matheson, L.J. and Tratnyek, P.G., 1994, Reductive dehalogenation of chlorinated methanes by iron metal, Environ. Sci. Technol., 28(12), 2045-2053 

  7. Menert, A., Paalme, V., Juhkam, J., and Vilu, R., 2004, Characterization of sulfate-reducing bacteria in yeast industry waste by microcalorimetry and PCR amplification, Thermochimica Acta, 420(1-2), 89-98 

  8. Neal, A.L., Techkarnjanaruk, S., Dohnalkova, A., Mccready, D., Peyton, B.M., and Geese, G.G., 2000, Iron sulfides and sulfur species produced at hematite surfaces in the presence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Geochim. Cosmochim. Acta, 65(2), 223-235 

  9. Pyzik, A.J. and Sommer, S.E., 1981, Sedimentary iron monosulfides: kinetics and mechanism of formation, Geochim. Cosmochim. Acta, 45(5), 687-698 

  10. Shin, H.-Y., Singhal, N., and Park, J.-W., 2007, Regeneration of iron by Shwanella alga BrY for trichloroethylene reduction, Chemosphere, 68(6), 1129-1134 

  11. Traore, A.S., Hatchikian, C.E., Belaich, J.P., and Le Gall, J., 1981, Microcalorimetric studies of the growth of sulfate-reducing bacteria: energetics of Desulfovibrio vulgaris growth, J. Bacteriol., 145(1), 191-1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