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보드와 마우스 사용시 착용식 손목 지지대 효과
The Effect of Wearable Wrist Rest During Keyboard and Mouse Us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7 no.3, 2008년, pp.33 - 41  

박경수 (KAIST 산업공학과) ,  박강효 (KAIST 산업공학과) ,  홍기범 (KAIST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rist posture, muscular loads and perceived comfort among wearable wrist rest (WR), general wrist rest(GR), no wrist rest(NR) during keyboard and mouse use. Thirteen subjects performed text editing task in three test conditions: wearable wrist rest(WR), gene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alibratione 피실험자별로 실시하였으며, 측정을 위해 피실험자는 의자에 앉은 편안한 상태에서 팔꿈치를 90도로 유지하고, 손바닥은 펴서 작업대 표면 위에 올려 놓으며, 손목 굴곡/신장 및 요측/척측 편차가 0도인 중립적인 자세를 취하였으며, 이를 영점(Greene and Heckman, 1994; Cook et al., 2004)으로 조정하였다. 그 후 손목을 위로, 우로 각각 20도 만큼 꺾은 상태의 값들을 scaling하였다.
  • EMG(EMG100C, MP100A; BIOPAC Systems, Inc.) 를 통해 오른쪽 팔 부위 승모근(UT: upper trapezius), 전방 심각근(AD: anterior deltoid), 지신근(ED: extensor digitorum), 척추수근신근(ECU: extensor carpi ulnaris) 총 4 곳의 근육부하를 측정하였다.
  • , 1994; Gustafsson and Hagberg, 2003). [그림 2]와 [그림 3] 과같이 dual monitor를 활용하여 왼쪽 모니터에는 수정을 하여야 할 문제지를 제시하고 오른쪽 모니터에는 모범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 그 후 실험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실험에 사용할 착용식 손목 지지대의 착용 및 사용법을 들으며 충분한 연습시간을 가진 후 실험에 임하게 하였다. [그림 4] 와 같이 피실험자는 모니터와 키보드의 위치 및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고 나서 표면전극을 오른팔과 어깨에 부착을 하여 MVC와 RVC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오른쪽 손목 위에 elctrogoniometer를 부착한 후 영점조정을 하였다.
  • , 2004)으로 조정하였다. 그 후 손목을 위로, 우로 각각 20도 만큼 꺾은 상태의 값들을 scaling하였다. Sampling rate는 16Hz이고, data는 측정 시스템에서 PC(Pentium 4-1, 8G, 512RAM)로 옮겨진 후 Acqknowledge 3.
  • Task를 진행하는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손목이 꺾여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획득된 신호를 8Hz의 low pass filter를 거친 후 8개 sample 씩 averageg한 RMS (Root Mean Square) 값을 구한다. 그 후 전체 구간의 넓이(적분값)를 시간으로 나누어 작업간 손목 움직임을 구하였다.
  • [그림 4] 와 같이 피실험자는 모니터와 키보드의 위치 및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고 나서 표면전극을 오른팔과 어깨에 부착을 하여 MVC와 RVC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오른쪽 손목 위에 elctrogoniometer를 부착한 후 영점조정을 하였다.
  • 근육부하를 측정하기 위해 sampling ratee 1024Hz로 설정하였으며, 얻어진 data를 20~500Hz의 band pass filter 를 거쳐 100개 sample씩 average된 RMS를 구한 후 전체구간 넓이(적분값)를 시간으로 나누어 'EMG amplitude'# 구한다. 이렇게 구해진 amplitude는 피실험자의 나이, 성별, 근육 단면적의 크기, 피부두께 등등의 피실험자 개별성에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피실험자간의 EMG amplitude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정규화(normalize)과정이 필수적이다.
  • 글자 입력은 키보드로 입력을 하며 그 외의 작업들인 이동 텍스트 강조, 글자 굵게, 기울기, 밑줄, 단락 위치, 글자 크기 및 그래프 수정은 마우스를 활용하여 수정을 하도록 하였다. 수정할 부분에는 번호를 부여하여 찾기 쉽게 하였으며, 수정순서는 랜덤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하도록 하였다.
  • 모든 실험이 끝난 후 피실험자가 각각의 부위에 대해서 얼마나 편안함을 느꼈는지 Bipolar scale로 -4(very poor comfort)에서 +4(extrem이y comfort)까지 점수를 부여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결과는 표 11과 같다.
  • 방법 모두 어떤 기준값을 정하고 그 값의 몇 %에 해당하는지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MVC는 피실험자가 해당 근육에 최대등척성 수축을 가했을 때의 RMS 값을 기준으로 삼는 반면, RVC는 특정 동작을 취했을 때의 RMS 값을 기준으로 삼는다. 보통 힘이 많이 들어가는 동작인 경우는 MVC로 정규화하고, 힘이 적게 들어가는 동작인 경우 민감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RVC 방법이 선호되는데 본 실험에서는 승모근(UT)와 전방 삼각근(AD)의 경우 RVC 를, 지신 근(ED) 와 척추수근신근(ECU)의 경우는 MVC를 측정하여 normalize에 이용하여 %MVC(%RVC)로 나타내었다. 승모근(UT)의 RVC의 경우 2.
  • 수정할 부분에는 번호를 부여하여 찾기 쉽게 하였으며, 수정순서는 랜덤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하도록 하였다. 단, 수정 작업은 동일하나 수정될 내용을 다르게 구성하여 학습 효과를 배제하도록 하였다.
  • 보통 힘이 많이 들어가는 동작인 경우는 MVC로 정규화하고, 힘이 적게 들어가는 동작인 경우 민감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RVC 방법이 선호되는데 본 실험에서는 승모근(UT)와 전방 삼각근(AD)의 경우 RVC 를, 지신 근(ED) 와 척추수근신근(ECU)의 경우는 MVC를 측정하여 normalize에 이용하여 %MVC(%RVC)로 나타내었다. 승모근(UT)의 RVC의 경우 2.0kg의 아령을 팔꿈치를 편 채 어깨 굴곡 90°의 각도로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손목은 중립의 자세에서 10초씩 2회 측정하였다. 전방 삼각근 (AD)의 RVC의 경우는 같은 무게의 아령을 팔꿈치를 편 채 어깨 외전 90°의 각도로 손목을 90도 외전시킨 자세로 10초씩 2회 측정하였다(김정룡, 1999; 안대진, 2004).
  • 실험간 피실험자들은 balanced된 random 순서로 착용식 손목 지지대, 일반 손목 지지대, 손목 지지대가 없는 경우에 대하여 준비된 4개 task set 중 random하게 선택된 3개의 set에 대하여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간에 최소 10분 이상의 시간차이를 두어 혹시 있을지 모르는 after effect를 제거하였다.
  • 실험을 모두 진행한 후에 피실험자들은 설문지를 통하여목, 어깨, 상박, 하박, 손목, 손 손가락, 총체적 편안함까지 총 8부분에 대하여 착용식 손목 지지대, 일반 손목 지지대, 손목 지지대 없는 경우에 대해 얼마나 편안함을 느꼈는지 점수를 부여하였다. Bipolar scale로 점수 범위는 -4 (very poor comfort)에서부터 +4 (extremely comfort)까지 부여하였다(Karlqvist et al.
  • 0kg의 아령을 팔꿈치를 편 채 어깨 굴곡 90°의 각도로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손목은 중립의 자세에서 10초씩 2회 측정하였다. 전방 삼각근 (AD)의 RVC의 경우는 같은 무게의 아령을 팔꿈치를 편 채 어깨 외전 90°의 각도로 손목을 90도 외전시킨 자세로 10초씩 2회 측정하였다(김정룡, 1999; 안대진, 2004). 그리고 지신근(ED)와 척추수근신근(ECU)의 경우 각각 손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손의 왼쪽에서 오른쪽 바깥으로 5초간 2회씩 힘을 주어 MVC 값을 구하였다(Gustafsson and Hagberg, 2003).
  •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text editing task 를 하는 동안 손목 지지대가 있을 때와 없을 때 근육 부하와 손목 움직임이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착용식 손목 지지대의 효과를 일반 손목 지지대와 손목 지지대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피실험자는 실험실에 도착하게 되면 먼저 기초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그 후 실험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실험에 사용할 착용식 손목 지지대의 착용 및 사용법을 들으며 충분한 연습시간을 가진 후 실험에 임하게 하였다.

대상 데이터

  • 13명의 건강한 남자 대학원생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성별에 따른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 피실험자를 남자로만 국한시켰으며, 오른손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사용하는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 성별에 따른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 피실험자를 남자로만 국한시켰으며, 오른손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사용하는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피실험자 세부사항은 표 1과 같다.

데이터처리

  • 1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처리되었다. Task를 진행하는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손목이 꺾여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획득된 신호를 8Hz의 low pass filter를 거친 후 8개 sample 씩 averageg한 RMS (Root Mean Square) 값을 구한다. 그 후 전체 구간의 넓이(적분값)를 시간으로 나누어 작업간 손목 움직임을 구하였다.
  • 114가 나왔다. 따라서 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9와 같이 나왔다.
  • 유의한 결과가 나올 경우에는 어떤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ukey test을 사용하여 쌍을 이루는 모든 데이터의 수준 평균간 차이에 대한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만약 일원 분산분석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 분석 프로그램으로 minitab을 활용하였으며 3 종류의 지지대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한 결과가 나올 경우에는 어떤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ukey test을 사용하여 쌍을 이루는 모든 데이터의 수준 평균간 차이에 대한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 손목 위아래 꺾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표 3과 같다.
  •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한 결과가 나올 경우에는 어떤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ukey test을 사용하여 쌍을 이루는 모든 데이터의 수준 평균간 차이에 대한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만약 일원 분산분석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 일원 분산분석 결과 刀 =0.541이 나왔으며 이에 따라 paired t-test 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10과 같다.
  • 일원분산분석 결과 刀-value가 0.000이 나왔으며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Tukey test를 실시하였다.
  • 일원분산분석 결과 刀-value가 0.656이 나와서 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표 2와 같다.
  •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p-value가 0.006이 나왔으며 어떤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Tukey test 하였으며 결과는 표 6과 같다.

이론/모형

  • 과제는 text editing을 활용하였다(Karqvist et al., 1994; Gustafsson and Hagberg, 2003). [그림 2]와 [그림 3] 과같이 dual monitor를 활용하여 왼쪽 모니터에는 수정을 하여야 할 문제지를 제시하고 오른쪽 모니터에는 모범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 오른 손목의 요측/척측 편차와 굴곡/신장을 측정하기 위해 Twin axis electrogoniometer오牛 data logger(DA100C, MP100A; BIOPAC Systems, Inc.)가 사용되었다. 부착 위치는 참고선(Bucholz and Wellman, 1997)을 활용하여 telescopic endblocke 손등 위에 fixed end blocke。卜랫팔 위에 올린 후 수술용 양면테이프로 부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bin, T., "Effect of wrist rest use and keyboard tilt on wrist angle while keying", Proceeding of the 13th Trienni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Ergonomics Association, 1997 

  2. Amell, T. and Kumar, S.,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nd keyboarding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5(1), 69-78, 2000 

  3. Basmajian, J. V. and Blusmenstein, R., Electrode placement in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In J.V. Basmajian (Ed), Biofeedback,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linicians, pp. 363-378, Williams & Wilkins, 1983 

  4. Basmajian, J. V. and De Luca, C. J., Muscles Alive. Their functions Revealed by Electromyography, 5th ed., Williams & Wilkins, 1985 

  5. Bendix, T. and Jessen, F., Wrist support during typing-a controlled, electromyographics study, Applied Ergonomics, 17(3), 162-168, 1986 

  6. Bernard, B.,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Retrieved 8.9.01, 2001, 1997 

  7. Bucholz, B. and Wellman, H., Practical operation of a biaxial goniometer at the wrist joint, Human Factors, 39(1), 119-130, 1997 

  8. Chaffin, D. B. and Anderson, G. B. J., Occupational biomechanics, 2nd ed., Wiley Interscience, 1991 

  9. Cook, C., Burgess-Limerick, R. and Papalia, S., The effect of wrist rests and forearm support during keyboard and mouse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3(5), 463-472, 2004 

  10. Damann, E. A. and Kroemer, K. H. E., "Wrist posture during computer mouse usage",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1(pp. 625-629), Santa Monica. CA, 1995 

  11. Dennerlein, J. T., Dimarino, M. H., Becker, T. and Johnson, P., "Wrist and shoulder muscle activity changes across computer tasks", Proceedings of the 46th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Annual Meeting, 2002 

  12. Dennerlein, J. T. and Johnson, P. W., Different computer tasks affect the exposure of the upper extremity to biomechanical risk factors, Ergonomics, 49(1), 45-61, 2006 

  13. Fahrbach, P. and Chapman, L., VDT work duration and musculoskeletal discomfort, AAOHN Journal, 28(1), 32-36, 1990 

  14. Gerr, F., Marcus, M., Ensor, C., Kleinbaum, D., Cohen, S., Edwards, A., Gentry, E., Ortiz, D. J. and Monteilh, C., A prospective study of computer users: I. Study design and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1, 221-235, 2002 

  15. Greene, W. B. and Heckman, J. D., The Clinical Measurement of Joint motion.(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Rosemont, IL, 1994 

  16. Gustafsson, E. and Hagberg, M., Computer mouse use in two different hand positions; exposure, comfort, exertion, and productivity, Applied Ergonomics, 34(2), 107-113, 2003 

  17. Hjelm, E., Karlkvist, L., Hagberg, M., RIsberg, E., Isaksson, A. and Toomingas, A., "Working condition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st male and female computer operators", Proceedings of the IEA 2000/HFES 2000 Conference, 2000 

  18. Hedge, A. and Powers, J. R., Wrist postures while keyboarding: effects of a negative slope keyboard system and full motion arm supports, Ergonomics, 38(3), 508-517, 1995 

  19. Hedge, A., Muss, T. and Barrero, M., Comparitive Study of Two Computer Mouse Designs - Department of Design and Environmental Analysi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1999 

  20. Herington, T. N. and Morse, L. (Eds.), Occupational Injuries: Evaluation, Management and Prevention. Mosby, St. Louis USA, 1995 

  21. Karlqvist, L., Hagberg, M. and Selin, K., Variation in upper limb posture and movement during word processing with and without mouse use, Ergonomics, 37(7), 1261-1267, 1994 

  22. Keir, P., Bach, J. and Rempel, D., Effects of finger posture on carpal tunnel pressure during wrist motion, Journal of Hand Surgery, 23A(6), 1004-1009, 1998 

  23. Kilbom, A., Repetitive work of the upper extremity, Part 1, Guideline for the practitioner,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4(1-2), 51-57, 1994 

  24. Parsons, C., "Use of wrist rest by data input VDU operators", Proceedings of the Ergonomics Society. 1991 

  25. Perotto, A., Anatomical Guide for the Electromyographer: The Limbs and Trunk, 3rd ed., Charles C Thomas, 1994 

  26. Rempel, D., Manojilovic, R., Levinsohn, D., Bloom, T. and Gordon, L., The effect of wearing a flexible wrist splint on carpal tunnel pressure during repetitive hand activity, Journal of Hand Surgery, 19A(1), 106-110, 1994 

  27. Rempel, D. and Gordon, L., Effects of forearm pronation/supination on carpal tunnel pressure, Journal of Hand Surgery, 23A(1), 38-42, 1998 

  28. Zipp, P., Recommendations for the standardization of lead positions in surface electromyography,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4, 417-420, 1982 

  29. 박경수, 김효준,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마우스 작업의 손목지지대 개선, 대한인간공학회 2006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6 

  30. 안대진, 한국인의 연령을 고려한 VDT workstation 설계, 한국 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04 

  31. 신종현, 박민용, 김정룡, 작업안정성 향상을 위한 신개념 VDT 작업용 의자의 인간공학적 설계,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25(4), 459-465, 1999 

  32. 홍기범 외, VDT 작업에서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새로운 팔 지지대 제안, 대한인간공학회지, 25(2), 1-9,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