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방수염하늘소의 살충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Adults (Coleoptera: Cerambyc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2 no.3, 2008년, pp.262 - 269  

한주환 (충청북도산림환경 연구소) ,  유종현 (충청북도산림환경 연구소) ,  김은희 (충청북도산림환경 연구소) ,  양정오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노두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윤창만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길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하고 있는 39종의 살충제에 대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성충에 대한 약제 감수성,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두가지 검정법(충체분무와 가지침지)으로 성충에 대해 100% 살충율를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dinotefuran, actamiprid, clothianidin, thiacloprid, thiamethoxam, esfenvalerate+fenitrothion, fipronil 등 11종이었으며, 방제효과가 좋은 11종에 대해 2000배, 4000 배액으로 희석된 약액을 성충에 처리한 결과 처리농도에 상관없이 모두 100% 살충효과를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이고 2000 배액에서만 100% 살충율를 보인 약제는 phenthoate, thiacloprid, thiamethoxam, fipronil 등 4종이었다. 뿌리 침투이행성 효과는 phosphamidon, clothianidin, thiamethoxam이 100%, thiacloprid는 77.7%의 침투이행 효과를 나타냈다. 잔효성에서는 fenitrothion, thiamethoxam은 15일째까지 80%이상, fenthion, phosphamidon, clothianidin은 10일째까지 80%이상, fenitrothion, thiamethoxam, fipronil은 처리 후 7일까지, thiacloprid는 처리 후 3일까지, fenthion, phenthoate은 처리 후 1일째까지 100% 살충율을 보였다. 방제효과에서는 11약제중 6약제(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fipronil, esfenvalerate+fenitrothion)가 처리 1일째에 그리고 3일째에는 시험약제 모두 100%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39 registered insecticides to the susceptibility, systemic effect, and residual effect and control effect against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saltuarius. Eleven kinds of chemicals such as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d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 초점을 맞춘 방제방법으로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약제 실험은 처리약제나 처리방법 등에 대한 연구(Kishi, 1995) 와 fEnitrithion고} cypermethrin, carbaryl 의 약효 잔류기간을 조사한 연구(Moon 등, 1995), 7종의 살충제를 이용한 실내검정과 지상방제, 항공방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Lee 등, 2003), 북방수염하늘소에 대한 방제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등록된 39종의 살충제를 북방수염하늘소 성충에 약제 감수성을 조사하여 살충활성이 높은 살충제를 선발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괴를 통하여 이 해충의 방제약제 선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Evans, H. F., D. G. McNamara, H. Braash, J. Chadoeuf and C. Magnusson (1996) Pest risk analysis (PRA) for the territories of the European Union (as PRA area) on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its vectors in the genus Monochamus. OEPP/EPPO Bull. 26:199-249 

  2. Hanks, L. M. (1999) Influence of the larval host plant reproductive strategies of cerambycid beetles. Annu. Rev. Entomol. 44: 483-505 

  3. Kim, G. H., J. S. Yoo, S. G. Lee and J. D. Park (2000) Susceptibility of oak longicorn beetle, Moechotypa diphysis Pascoe (Coleoptera: Cerambycidae), infesting the oak mushroom bed logs to commercial insecticides. Korean J. Appl. Entomol. 39:207-209 

  4. Kim, D. S., S. M. Lee, Y. J. Jung, G. S. Choi, I. S. Moon and J. G. Park (2003) Emergence ecolog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A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ilus. Korea J. Appl. Entomol. 42:307-313 

  5. Kishi, Y. (1975) Comparison of toxicity between organophosphorus toxicants and ethylen dibromide, alone and in combination to Monochamus alternatus Hope (Coleoptera: Cerambycidae) (1) The oral and the contact toxicity to the adults. J. Jpn. For. Soc. 57:334-338 

  6. Kishi, Y. (1995) The pine wood nematode and the Japanese pine sawyer. Thomas Company Limited, Tokyo, Japan. pp. 302 

  7. Kobayashi, H., A. Yamane and R. Iwata (2003) Mating behavior of the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Appl. Entomol. Zool. 38:141-148 

  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7) Annual report of monitoring for forest insect pests and diseases in Korea (in Korean). 23-26pp.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9.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08) Agrochemicals User's Guide Book 

  10. Lee, S. M., Y. J. Chung, S. G. Lee, D. W. Lee, H. Y. Choo, and C. G. Park (2003) Toxic effect of some insecticides on the japaness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Jour. Korean For. Soc. 92(4):305-312 

  11. Linit, M. J. (1988) Nematode-vector relationships in the pine wilt disease system. J. Nematol. 20:227-235 

  12. Makihara, H. (1988) Kinds and life history of vector insects; History of and current research on pinewood nematode. pp. 44-64 

  13. Mamiya, Y. and N. Enda (1972) Transmission of Bursaphelenchus lignicolus (Nematoda: Aphelenchoidae) by Monochamus alternatus (Coleptera: Cerambycidae). Nematologica 18:159-162 

  14. Mamiya, Y. (1984) The pine wood nematode. In: Plant and Insect Nematodes. Ed. by Nickle, W.R. New York. Marcel Dekker, pp. 589-626 

  15. Moon, Y. S., S. M. Lee, J. D. Park and W. H. Yeo (1995) Distribution and Control of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its Vector Japanese Pine Sawer, Monochamus alternatus. FRI. J. For. Sci 51:119-126 

  16. Mota, M. M. (2002) Occurrence of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Portugal and in Europe. Nematol. 1:727-734 

  17. Sin, J. H., C. S. Chung, H. R. Han, S. H. Koh, J. Y. Chung and S.C. Shin (2007) Characteristics and control strategies of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at Pinus koraiensis. 12pp. KFRI. Seoul 

  18. SAS institute (1991) SAS/STAT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6.04. pp. 125-154. SAS Institute, Cary, N. C., U.S.A 

  19. Sato, H., T. Sakuyama and M. Kobayashi (1987) Transmiss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et Buhrer) Nickle (Nematode, Aphelenchoididae) by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Coleoptera, Cerambycidae). J. Jpn. For. Soc. 69: 492-496 (in Japanses with English Summary) 

  20. Takizawa, Y. and T. Shoji (1982) Distribution of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and its possible transmission of pinewood nematodes in Iwate prefecture. Forest Pests 31:4-6 

  21. Yoo, J. S., G. H. Kim, S. G. Lee and J. D. Park (2001) Control effects of benfuracarb and $\lambda$ -cyhalothrin to oak longicorn beetle, Moechotypa diphysis, infesting the oak mushroom bed logs. Pestic. Sci 5:47-49 

  22. Yi, C. K., B. H. Byun, J. D. Park, S. I. Yang and K. H. Chang (1989) First finding of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mer et Buhrer) Nickle and its insect vector in Korea. Res. Rep. For. Res. Inst. 38:141-149 (in Korean) 

  23. 會田重光 (1983) In vitro 檢定法, pp. 232-271. 最新農藥生物檢定法(細?豊二編). 全國農村敎育協會. 東京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