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계천의 수질과 부착조류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nd Periphyton in the Cheonggyecheon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1 no.1, 2008년, pp.1 - 10  

신명선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범철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재구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박미숙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정성민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장창원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신윤근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  배연재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계천의 하도복원사업 이후 부착조류의 증식 실태와 영양염류 농도 등의 종적변이와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복구된 직후인 2005년 12월부터 2007년 4월까지였으며, 영양염류와 부착조류 현존량, 물리적 요인 등이 조사되었다. 유속은 0.63m $sec^{-1}$에서 1.07m $sec^{-1}$의 변위를 보였으며, 부착조류의 현존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질소$(2.34{\pm}0.45mgN\;L^{-1})$는 계절이나 지점에 상관없이 농도의 변동이 없었으며, 총인$(10\sim90{\mu}gP\;L^{-1})$은 중랑천 합류 전 지점이 계절에 상관없이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중 상류 두 지점은 겨울에, 하류 두 지점은 여름에 높았다. 총인 농도 가운데 입자성유기인은 6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중랑천 합류전 지점을 제외하고 용존무기인(DIP)은 10% 이내의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부착조류의 현존량은 $0.3\sim48.6{\mu}gChl\;{\alpha}cm^{-2}$의 범위를 보였는데, 이는 타 연구 보고에 의하면 무척추동물의 생체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정도의 높은 밀도이다. 부착조류 군집의 우점종은 대부분 남조류로서 부영양한 수역에서 나타나는 종들이 출현하였다. 청계천은 부착조류 종조성과 현존량으로 볼 때 부영양한 하천인 것으로 판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nd periphyton were investigated in an artificial stream (the Cheonggyecheon Stream) flowing through the Seoul City. TP showed a longitudinal gradient: 10 to $59{\mu}gP\;L^{-1}$ in the upper stream sites, and 15 to $90{\mu}gP\;L^{-1}$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청계천이 완성되기 전부터 부영양화의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준공 이후에는 시민들이 부착조류의 과잉 증식으로 인한 미관상 불쾌함을 문제시하고있어 부착 조류의 증식 실태 파악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이 준공된 후 부착 조류의 증식 실태와 영양염류 농도 등의 환경 요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국립환경과학원. 2003. 낙동강수계 수중생태계 수질모델인자 조사. p. 24-27 

  2. 국립환경과학원. 2004. 낙동강수계 수중생태계 수질모델인자 조사(II). p. 31-37 

  3. 국립환경과학원. 2006. 금강수계 수중생태계 수질모델인자 조사. p. 28-29 

  4. 김명진. 2007. 생태하천 복원 방안. 환경영양평가지 16(1): 59- 68 

  5. 김백호, 한명수. 2005. 청계천 생태기능 복원의 가치와 부착조류에 의한 수질관리 및 생태계관리. 원광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13: 37-42 

  6. 김용재. 2004. 한탄강의 돌 부착조류 군집의 시, 공간 동태 Algae 19(1): 15-22 

  7. 김정수, 구태희. 2005. 양재천에서 생태적 복원구간과 비복원 구간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비교.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4): 1-11 

  8. 김혜주. 2004. 청계천 수질 및 생태모니터링. 청계천 유역물순환 해석국제심포지움, 서울프레스센터 

  9. 박명환, 황순진, 서미연, 김용재, 김백호. 2007. 조류성장잠재력 조사를 이용한 청계천 복원 이후 수질 평가. 육수지 40(2): 234-243 

  10. 배경석, 서미연, 신진호, 길혜경, 신재영. 1999. 양재천의 수환경과 수서동물군집 특성.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5(4): 107- 117 

  11. 신재기, 조경재. 1998. 대청천 부착조류의 1차 생산성. 육수지 31: 294-302 

  12. 이삼희, 최정권. 2007. 안양천 도시하천 복원의 실행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보건녹화기술학회지 10(1): 1-8 

  13. 이재연, 김자현, 배대열, 안광국. 2005. 양재천의 생태계 복원 구간 및 비복원 구간에서의 어류에 의거한 생물학적 특성 평가.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4. 이진환. 2004. 강원도 동강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Algae 19(3): 217-226 

  15. 최두형, 양재하, 전성천, 현윤정, 이강근, 김윤영. 2004. 청계천 유역의 지하수기초조사. 청계천 유역물순환 해석국제심포지움, 서울프레스센터 

  16. 최민규, 김백호, 최환석, 이경보, 이덕배, 정연태. 1997. 섬진강 수계의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Wonkwang J. Environ. Sci. 6: 1-27 

  17. 최철만, 박연규, 문성기. 2004. 인공기질 부착조류에 의한 대천의 수질평가. Korean J. Environ. Biol. 22(1): 242-245 

  18. ??弘幸, 山岸高旺. 1977. 日本淡水藻圖鑑, 內田老鶴圃. 933p. 

  19. Allan, J.D. 1995. Stream Ecology. Chapman & Hall, London, UK. 

  20. APHA, AWWA and WEF. 1998.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21. Bothwell, M.L. 1985. Phosphorus limitation of lotic periphyton growth rates: An intersite comparison using continuous- flow toughs (Thompson River System, British Columbia). Limnol. Oceanogr. 30: 527-542 

  22. Bothwell, M.L. 1988. Growth rate responses of lotic periphytic diatoms of experimental phosphorus enrichment: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light. Can. J. Fish. Aquat. Sci. 46: 1293-301 

  23. Choi, J.S. and J. Chung. 1990.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epilithic diatoms of Namchun water system. Kor. J. Phycol. 5: 173-191 

  24. Fjerdingstad, E. 1964. Pollution of streams estimated by benthal phytomicro organism. 1. A saprobic system on communities of organism and ecological factors. Int. Revue Hydro. Biol. 49: 63 

  25. Freeman, M.C. 1986. The role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development of Cladophora glomerata (L.) Kutzing in the Manuwatu River, New Zealand. Hydrobiologia 31: 23-30 

  26. Harper, D. 1992. Eutrophication of freshwaters: Principles, problems and restoration. Chapman & Hall, London. 327 p. 

  27. Hartley, B. 1986. A cheak-list of fresh water, brackish and marine diatoms of the British Isles and adjoining Coastal Waters. J. Mar. Biol. Ass. U.K. 66: 531-610 

  28. Hilsenhoff, W.L. 1988. Rapid field assessment of organic pollution with a family level biotic index. J. Nor. Amer. Benthol. Soc. 7: 65-68 

  29. Horner, R.R. and E.B. Welch. 1981. Stream periphyton development in relation to current velocity and nutrients. Can J. Fish Aquat. Sci. 38: 449-457 

  30. Horner, R.R., E.B. Welch, M.R. Seeley and J.M. Jacoby 1990. Responses of periphyton to changes in current velocity, suspended sediment and phosphorus concentration. Freshwater Biol. (24): 215-232 

  31. Hynes, H.B.N. 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Univ. of Toronto Press, Toronto, Canada 

  32. Lamberti, G.A. 1993. Grazing experiments in artificial streams. J. N. Am. Benthol. Soc. 12: 337-343 

  33. Nordin, R.N. 1985. Water quality criteria for nutrients and algae (technical appendix). Water Quality Unit, Resources Quality Section, Water Management Branch,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the Environment, Victoria, BC. (Available from: http://www.env.gov.bc.ca or Water Quality Section, BC Environment, PO Box 9340, Station Provincial Government, Victoria, BC V8W 9M1) 

  34. Palmer, C.M. 1969. A composite rating of algae tolerating organic pollution. J. Phycol. 5: 78-82 

  35. Palmer, C.M. 1977. Algae and water pollution. Municipal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incinnati, Ohio. 124 p. 

  36.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S.K. Gross and R.M. Hughes.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444/ 4-89-011, Washington D.C. 

  37. Quinn, J.M. 1991. Guidelines for the control of undesirable biological growths in water. Consultancy Report No. 6213/2. National Institute of Water and Atmospheric Research. Hamilton, New Zealand 

  38. Reynolds, C.S., V. Huszar, C. Kruk, L. Naselli-Flores and S. Melo. 2002.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4(5): 417- 428 

  39. Traaen, T.S. and E.A. Lindstrom, 1983. Influence of current velocity on periphyton distribution, In: Periphyton of Freshwater Ecosystems (Wetzel, R.G., eds.). Developments in Hydrobiology 17: 97-99 

  40. Walton, S.P. 1990. Effects of grazing by Dicosmoecus gilvipes (caddisfly) larvae and phosphorus enrichment on periphyton. MS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41. Watanabe, T. 1977. Water pollution of Kanzaki river on Osaka prefecture and the diatom flora of the bottom mud on the river bed. Nara. Hydrobiol. 6: 27-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