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사고에 관한 예비 과학교사의 개념 정교화 과정
The Process of Elaboration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cientific Think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8, 2008년, pp.937 - 954  

이선경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적 사고의 신장'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과학교사가 과학적 사고를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명의 예비 중등 과학교사가 과학적 사고를 어떻게 정의하고, 토론에서 동료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적 개념을 어떻게 정교해 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과학적 사고에 대한 개인적 개념 스펙트럼을 제시하고 둘째, 소집단 및 전체 토론을 통해 가장 논쟁이 활발했던 세 가지 논제에 대하여 개념의 구성과 정교화 과정을 조명하였다. 과학적 사고와 관련된 세 가지 논제는 일상적 대 과학적 사고, 과학지식과 과학적 사고의 관계, 논리적 체계와 증거의 관계를 다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과학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is one of the significant goals in science education in schools,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how science teachers conceptualize scientific thinking. This study explored how four pre-service secondary-level science teachers conceptualized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의 목표로 사람들이 꼽는 것 중 하나는 무엇인가? 과학교육의 목표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꼽는 것 중의 하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를 길러주는 것’이다. 과학적 사고의 신장은 현재 세계적으로 과학교육의 목표로 자리 잡고 있는 과학적 소양의 핵심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더한다.
개념의 정교화 및 공유 과정을 통한 과학적 사고는 어떤 예로 작용 가능한가? 연구참여 학생들이 서로의 주장에서 근거를 추구하고 보다 타당한 설명을 만들어내려고 하는 과정은 일상적이면서 과학적 사고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과학교육과정의 목표가 되는 ‘과학적 사고’가 토론이나 글쓰기를 통해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연구참여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에 대한 개념을 개인적 차원에 제한하지 않고 토론을 통해 공론화함으로써 의견의 상호교환과 합의 과정을 거쳐 개념을 정교화 및 공유하는 과정을 경험한 것이다.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해 어떤 점을 기른다고 보는가? 최근 개정 교육과정은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 등의 함양을 위하여 교사는 학습 내용 지도와 관련하여 적절한 시기에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하여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통찰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게 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순민 (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징. 한국교원대학교박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 수학, 과학, 기술가정. 한솔사: 광주광역시 

  3. 김기우, 김용재 (역)(1992). 서사론 사전. 민지사 

  4. 김만희 (2003). 폴라니의 인시론에 근거한 과학교수의 내러티브적 성격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익균, 박승재 (1992). 대립개념의 증거적 비판논의와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물리 개념변화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77-89 

  6. 박승재, 장병기 (1994). 광학 현상 증거 해석의 인과적 추론 방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23-132 

  7. 양일호 (2003). 과학적 지식 생성 과정에서 사전지식과 과학적 사고의 역할. 초등교과교육연구, 4, 51-65 

  8. 오필석 (2007).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적 살명: 논리적 형식과 담화적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37-49 

  9. 이선경 (2006).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대한화학회지, 50(1), 79-88 

  10. 조희형 (1992).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61-73 

  11. 한승희 (2005). 과학적 사고와 서사적 사고의 교육적 의미: 과학적 사고와 서사적 사고에서 추론과 정서. 교육과정연구, 23(2), 39-64 

  12. Ahn, W. & Kalish, C. (2000). The role of mechanism beliefs in causal reasoning. In F. C. Keil & R. A. Wilson (Eds.), Explanation and Cognition (pp. 199- 226). Cambridge, MA: MIT Press 

  13. Baram-Tsabari, A. & Yarden, A. (2005). Text genre as a factor in the formation of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4), 403-428 

  14. Brewer, W. F., Chinn, C. A., & Samarapungavan, A. (2000). Explanation in scientists and children. In F. Keil & R. Wilson (Eds.), Explanation and Cognition. Cambridge, MA: The MIT Press 

  15. Bruner, J. S. (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Harvard University Press 

  16. Crawford, B. A. (2007). Learning to teach science as inquiry in the rough and tumble of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4), 613-642 

  17. Dawson, C. & Rowell, J. (1987). The use of data in problem solving: The whys, whens and wherefor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7, 1-10 

  18. De Bono. (1996). de Bono's thinking course. London: BBC Books 

  19. DeLoache, J. S., Miller, K. F., & Pierroutsakos, S. L. (1998).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In D. Kuhn & R. S. Siegl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2): Cognition, perception, and language (pp. 801-850). Wiley: New York 

  20.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21. Flavell, J. H. (1976).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In Resnick, L. B. (ed.), The nature of intelligence. Hillsdale, 13, 199-217 

  22. Gauld, C. (1986). Model, meters and memo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6, 49-54 

  23. Gunstone, R. F. (1994). The importance of specific science content in the enhancement of metacognition. In P. Fensham, R., Gunstone & R. White (Eds.), The content of science: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its teaching and learning(pp. 131-146). Falmer Press: London 

  24. Gunstone, R. F. & Northfield, J. (1992). Conceptual change in teacher education: The centrality of metacogni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25. Hewson, P. W., & Thorley, N. R. (1989). The conditions of conceptual change in th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 541-553 

  26. Hewson P. W., Beeth, M. E., & Thorley, N. R. (1998). Teaching for Conceptual Change. In B. J. Fraser & K. 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 199-218).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27. Kuhn, D. (1992). Thinking as argument. Havard Educational Review, 62(2), 155-178 

  28. Kuhn, D. (1993). Science argument: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tific thinking. Science Education, 77(3), 319-337 

  29. Kuhn, D., Amsel, E., & O'Loughl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0. Kuhn, D., Shaw, V., & Felton, M. (1997). Effects of dyadic interaction on reason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15(3), 287-315 

  31. Kuhn, T. S.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University Press 

  32. Laugksch, R. C. (2000). Scientific literacy: A conceptual overview. Science Education, 84, 71-94 

  33. Lehrer, R., & Schauble, L. (2006). Scientific thinking and scientific literacy: Supporting development in learning contexts. In W. Damon, R. Lerner, K. A. Renninger & I. E. Sigel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6th ed., pp. 153-196). Hoboken, NJ: John Wiley and Sons 

  34. Millar, R. (1987). Towards a role for experiment in the science teaching laboratory.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4, 109-118 

  35. Pritchard, C. L. (2005). Everyday and scientific thinking: How children adjust to contex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36. Rief, F. & Larkin, J. (1991). Cognition in scientific and everyday domains: Comparison and learning implic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733-760 

  37. Rozenblit, L. & Keil, F. (2002). The misunderstood limits of folk science: An illusion of explanatory depth. Cognitive Science, 92, 1-42 

  38. Sadler, T. D. (2004).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513-536 

  39. Scribner, S. (1986). Thinking in action: Som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thought. In R. J. Sternberg & R. Wagner (Eds.), Practical intelligence (pp. 13-30). Cambridge: Cambrideg University Press 

  40. Sebeok, T. A. & Umiker-Sebeok, J. (1983). You know my method: A juxtaposition of Charles C. Peirce and Sherlock Holmes, In U. Eco & T. A. Sebeok (Eds.), The sign of three: Dupin, Holmes, Peirce (pp. 11-54). Bloomington: Indiana Univ. Press 

  41. Toulmin, S. (1958).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Tweney, R. D. (1991). Informal reasoning in science. In J. F. Voss, D. N. Perkins, & J. W. Segal (Eds.), Informal reasoning and education (pp. 3-16). Hillsdale, NJ: Erlbaum 

  43. Wendel, W. B. (2002). Mixed signals: Rational choice theories of social norms and the pragmatics of explanation. Indiana Law Journal, 77(1), 1-62 

  44. White, R. T. & Gunstone, R. F. (1989). Metacognition and conceptual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 577-586 

  45. Wilson, R. A. & Keil, F. C. (2000). The shadows and shallows of explanation. In F. C. Keil & R. A. Wilson (Eds.), Explanation and Cognition (pp. 87-114). Cambridge, MA: MIT Press 

  46. Zimmerman, C. (2000).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skills. Developmental Review, 20, 99-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