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일부 청소년의 골질량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Content Among Adolescents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2, 2008년, pp.156 - 164  

신상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홍경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최현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노지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소년기의 골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계측치와 사회경제적 요인, 출생 당시의 모체의 건강상태 및 모유수유, 대상자의 건강상태, 생활습관 및 식습관 요인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14.2세, 신장 162.7 cm, 체중 57.3 kg이었고, 비만 및 과체중 유별률은 27.3%였다 우측 종골골밀도는 0.518% $g/cm^2$, 골질량은 2.241 g이었다. 2) 월 3만원 이상 용돈을 사용하는 남학생의 골질량이 3만원 이하 용돈을 사용하는 남학생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형제가 없는 남학생의 경우 골질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출생시 어머니의 나이가 30세 이전인 학생들의 골질량이 유의하지는 않지만 높은 경향이 있었다. 3) 골절 경험이 있는 남학생의 골질량이 골절 경험이 없는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2차 성징이 늦은 남학생의 골질량이 높았다. 영양제를 섭취하지 않은 남학생의 골질량이 높았고, 활동적인 신체 활동과 규칙적인 운동, 야외활동을 많이 하는 학생들의 골질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4)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남학생의 골질량이 유의하게 높았고, 충분한 물을 섭취할 때 남학생과 여학생의 골질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밥 위주의 전통식을 하루 두끼 이상 섭취하는 여학생의 골질량이 유의하게 낮았다. 치즈, 생선류, 시금치 및 무청나물의 섭취가 대상자들의 골질량에 관련성이 있었다. 5) 다중회귀분석 모델에서 신장, BMI, 운동 횟수, 시금치 또는 무청나물의 섭취횟수의 골질량 설명력은 64.9%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청소년기 골질량 향상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과 신체활동으로 체지방률을 낮추고, 칼슘 급원 식품과 더불어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골질량 향상을 위해 신체 활동 증가를 통한 생활 습관 교육 프로그램과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식사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contents (BMC) at os calcis of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604 students (327 boys and 277 girls) between 7th and 9th grade in Seoul, Korea. The mean age was 14.2 ${\pm}$ 0.9 year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최대 골질량 형성 시기에 있는 14~16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골질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키, 몸무게, 체성분 등의 신체 계측치, 부모들의 사회경제적 요인, 출생 시 체중과 모유 수유 등 출생 초기 노출 요인, 건강상태와 생활습관 및 식습관 요인에 따른 골 밀도와 골 질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골 건강에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아동 및 청소년의 골 건강 개선과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사업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WHO study group. WHO Technical Report series: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1994. p.843 

  2.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2003 

  3. Lee WS, Park HM, Bae DH,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n women. J Korean Society of Menopause 2003; 9(4): 339- 346 

  4. WHO/FAO joint committee. Vitamin and mineral requirement in human nutrition. 2nd ed. Rome: WHO publication; 2004 

  5. Choi H. Nutrition, 2nd Ed. Seoul: Kyomunsa; 2003 

  6. Ott SM. Attainment of peak bone mass [Editorial]. J Clin Endoclinol Metab 1990; 71: 1082, 1990 

  7. Hansen MA, Overgaarf K, Riis BJ, Christiansen C. Role of peak bone mass and bone loss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12 year study. Br Med J 1991; 303: 961-964 

  8. Turner CH, Robling AG. Exercises for improving bone strength. Br J Sports Med 2005; 39: 188-189 

  9. Kohrt WM, Bloomfield SA, Little KD, et al.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physical activity and bone health. Med Sci Sports Exerc 2004; 36: 1985-1996 

  10. Strong WB, Malina RM, Blimkie CJR, et al. Evidence based physical activity for school-age youth. J Pediatr 2005; 146: 732-737 

  11. Greer FR, Krebs NF. Committee on Nutritio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Optimizing bone health and calcium intakes of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2006; 117: 578- 585 

  12. Manzoni P, Brambilla P, Pietrobelli A. Influence of body composition on bone mineral cont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ts. Am J Clin Nutr 1996; 64: 603-607 

  13. Goulding A, Taylor RW, Jones IE, et al.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have low bone mass and area for their weigh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 24: 627-632 

  14. Lanou AJ, Berkow SE, Barnard ND. Calcium, dairy products and bone health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a reevaluation of the evidence. Pediatrics 2005; 115: 736-743 

  15. Dawson-Hughes B, Harris SS, Krall EA, Dallal GE. Effect of withdrawal of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s on bone mass in elderly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2000; 72: 745-750 

  16. Children and adolescents: evidence for varying effects of sexual maturation and physical activity. J Pediatr 1994; 125: 201-207 

  17. Kasperk CH, Wakley GK, Hierl T, Ziegler R. Gonadal and adrenal androgens are potent regulators of human bone cell metabolism in vitro. J Bone Miner Res 1997; 12: 464-471 

  18. Loud KJ, Gordon CM. Adolescence: bone disease. In: Walker WA, Watkins JB, Duggan C, eds. Nutrition in Pediatrics. 3rd ed. Hamilton, Ontario: BC Decker; 2003. p.883-896 

  19. Ahn HS, Kim SH, Lee SS.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olesc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lifestyl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 Nutr 2005; 38(3): 242-250 

  20. Song YJ, Paik HY. Effect of dietary factors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2002; 35(4): 464-472 

  21. Yu CH, Lee YS, Lee JS. Some factors affection bone density of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1998; 31(1): 36-45 

  22. Jones G, Riley M, Dwyer T. Breastfeeding in early life and bone mass in prepubertal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steoporos Int 2000; 11(2): 146-152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 Seoul; 2006 

  24. Jeon KY, Choi YS. The Occurr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between Two Groups with Different Socioeconomic Conditions. Korean J Medicine 1996; 50(4): 855-530 

  25. Elliot JR, Gilchrist NL, Wells JE.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bone density in a male caucasian population. Bone 1996; 18(4): 371-373 

  26. Park JN, Kim KH, Lee SS.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 Antropometric measurements, socioeconomic factors, family history,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 Nutr 2004: 37(1): 52-60 

  27. Barker DJP. Mothers, babies and health in later life, 2nd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98 

  28. Barker DJP. Fetal origins of coronary heart disease. BMJ 1995; 311: 171-174 

  29. Cooper C, Eriksson JG, Forsen T, Osmond C, Tuomilehto J, Barker DJ. Maternal height, childhood growth and risk of hip fracture in later life: a longitudinal study. Osteoporos Int 2001; 12: 623-629 

  30. Jones G, Rilet M, Dwyer T. Breastfeeding in Early Life and Bone Mass in Prepubertal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steoporos Int 2000; 11(2): 146-152 

  31. Ma DQ, Jones G. Clinical risk factors but not bone density are associated with prevalent fractures in prepubertal children. J Paediatr Child Health 2002; 38: 497-500 

  32. You MH, Son BS, Park JA, Yang WH, Kim JO, Jang BK. Pattern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its causal factors among Korean adult women. Korean J Sanitation 2006; 21(2): 47-52 

  33. Lee EJ, Son SM. Dietary risk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4; 9(5): 644-653 

  34. Winzenberg T, Shaw K, Fryer J, Jones G. Effects of calcium supplementation on bone density in healthy children: meta-analysis of radomised controlled trials. Br Med J 2006; 333: 775-778 

  35. Lloyd T, Petit MA, Lin HM, Beck TJ. Lifestyle factors and the development of bone mass and bone strength in young women. J Pediatric 2004; 144: 776-782 

  36. Ward KA, Roberts SA, Adams JE, Mughal MZ. Bone geometry and density in the skeleton of pre-pubertal gymnasts and school children. Bone 2005; 36: 1012-1018 

  37. Valdimarsson O, Linden C, Johnell O, Gardsell P, karlsson MK. Daily physical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in prepubertal girls during 1 year is followed by an increase in bone mineral accrual and bone width-Data from the Prospective Controlled Malmo Pediatric Osteoporosis Prevention Study. Calcif Tissue Int 2006; 78: 65-71 

  38. Park SJ, Ahn Y, Kim HM, Joo SE, Oh KS, Park C.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A cohort of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3): 352-360 

  39. Kim MS, Koo J.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with different age among adult women in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5): 559-568 

  40. Bae YJ, Kim EY, Cho HK, Kim MH, Choi MK, Sung MK, Sung CJ. Relation among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normal and obese elementar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6; 11(1): 14-24 

  41. Choi YJ, Im R, La SH, Choi MK. Correlation between nutrient intake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arpu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Dietetic Assoc 2006; 12(1): 10-17 

  42. Choi SN, Chung NY, Song CH, Kim SR. Bone density and nutrient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007; 22(6): 841-847 

  43. Song YJ, Paik HY, Yu CH.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by dietary pattern group for some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2006; 39(5): 460-4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