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험방법에 따른 국내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평가
Evaluation of Alkali-Silica Reactivity for Aggregates in Korea according to Test Method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0 no.6, 2008년, pp.689 - 696  

윤경구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성권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홍승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연구팀) ,  한승환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국내산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암석에 대해 화학적 방법인 KS F 2545와 최근 국제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촉진모르타르 봉 실험 방법 (AMBT)인 ASTM C 1260으로 동일한 골재에 대해 비교 실험을 수행하여 시험법에 따른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평가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화학적 방법인 KS F 2545에 의하여 화성암안산암, 휘록암, 화강반암, 섬록반암, 석영반암, 백운모화강암 그리고 섬록암, 퇴적암의 모든 골재, 변성암점판암 A, 점판암 B, 화강편마암, 규암, 각석암 및 유리질 응회암, 광물에서는 석영이 잠재유해 이상의 평가를 받았다. 촉진모르타르 봉 실험 방법 (AMBT)인 ASTM C 1260에 의하여 화성암 중 복운모 화강암 그리고 규장암, 퇴적암 중 장석사암, 적색사암 그리고 셰일, 변성암 중 점판암과 우백질 편마암 그리고 유리질 응회암, 광물 중 석영이 반응성으로 평가되었다. KS F 2545와 ASTM C 1260에 대한 시험법별 알칼리-골재 반응성 평가 결과 동일한 골재에 대해 서로 상이한 결과를 도출한 골재들이 나타남으로서 두 시험법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골재의 알칼리-골재 반응성 판별에 최근 국제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촉진모르타르 봉 실험 방법 (AMBT)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lkali-silica reactivity for aggregates in Korea according to test methods: accelerated mortar bar test (AMBT) by ASTM C 1260; chemical test by KS F 2545 (ASTM C 289).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MBT (ASTM C 1260) results showed that two (2) igneo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모르타르 봉 제작은 몰드에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23℃가 유지되는 항온 항습기에서 몰드 상태로 24시간 동안 양생하였다. 1일 양생된 모르타르는 몰드에서 시편을 분리하여 모르타르의 길이를 버니어캘리퍼스로 0.001 mm까지 측정하였다. 모르타르 봉의 양 끝단에 설치된 스터드까지의 길이를 Fig.
  • 초기 측정이 완료된 시편은 폴리프로필렌 밀폐 용기에 시편이 완전히 잠기도록 물을 채워 밀폐시킨 후 80℃가 유지되는 항온기에서 24시간 수중양생을 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영점 길이 변화 측정을 위하여 밀폐 용기에서 꺼낸 후 즉시 (15초 내 측정 완료) 물기를 제거하고 초기 길이 변화를 측정하였다. 초기 길이 변화가 측정된 모르타르 봉 시편은 1 N NaOH 용액이 담겨 있는 밀폐 용기에 넣어 80℃가 유지되는 항온기에서 길이 변화를 유도하였다.
  • 국내 암석 종류 별 알칼리-실리카 반응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화학적 방법인 KS F 2545 (골재의 알칼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와 촉진모르타르 봉 실험 방법인 ASTM C 1260 (Standard Test Method for Potential Alkali Reactivity of Aggregate)을 수행하여 시험 방법에 의한 반응 특징을 분석하여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을 비교평가 하고자 하였다.
  • 상기와 같이 동일한 골재에 대해 시험 방법에 따라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판별 결과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한 고찰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산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암석에 대해 화학적 방법인 KS F 2545와 촉진모르타르 봉 실험 방법 (AMBT)인 ASTM C 1260으로 알칼리-실리카 반응 실험을 수행하여 시험법에 따른 알칼리-실리카 반응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001 mm까지 측정하였다. 모르타르 봉의 양 끝단에 설치된 스터드까지의 길이를 Fig. 1과 같이 다이얼게이지가 설치된 변화 측정기로 습윤양생 전 길이를 측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산 암석에 대해 KS F 2545와 ASTM C 1260으로 알칼리-실리카 반응 실험을 수행하여 시험법에 따른 알칼리-실리카 반응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초기 길이 변화가 측정된 모르타르 봉 시편은 1 N NaOH 용액이 담겨 있는 밀폐 용기에 넣어 80℃가 유지되는 항온기에서 길이 변화를 유도하였다. 영점 길이 변화 측정 후 시편의 길이 변화는 7일, 14일, 21일 및 28일까지 측정하였으며, 측정일 별로 모르타르 봉의 변화 상태 및 균열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국내 H사의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시멘트의 화학성분은 Table 1과 같으며, 시멘트의 등가 알칼리 함량은 0.
  • 국내 연구에서 다양한 시험법을 통하여 잠재적인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이 도출된 골재는 안산암, 장석 반암, 현무암, 천매암, 섬장암, 산성 맥암, 화강 섬록암, 화강암, 편마암 등으로 본 연구에는 골재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사용된 골재는 Table 2와 같이 화성암 11종, 퇴적암 5종, 변성암 11종 및 광물 2종을 사용하였다.
  • 모르타르 봉은 25.4 × 25.4 × 295 mm 규격으로 3개/조로 제작하였다.
  • 본 시험 방법은 골재를 Table 3과 같이 분쇄하여 사용한다. 시험에 사용되는 모르타르 봉의 배합은 시멘트 440 g, 혼합골재 990 g 및 물 206.8 g이다. 배합에 사용된 물-시멘트 비는 0.

이론/모형

  • 시험법이 시험 방법은 동일하며 알칼리-골재 반응성 판정이 약간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KS F 25456)를 적용하였으며, 판정은 JIS A 11457)로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크리트구조물에 발생한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해 최초의 연구는 언제, 어떻게 시작하여는가? 콘크리트구조물에 발생한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최초의 연구는 1940년 Stanton1)이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건설된 콘크리트구조물에서 시공 후 수년 경과 후에 심한 불규칙한 균열이 발생하여, 원인 불명의 균열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미국 전역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골재의 알칼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에 대한 ASTM 규정이 제정되기에 이르렀고, Sidney Diamond2)가 알칼리-실리카 반응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국내에서는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연구를 무슨 방법으로 하였는가? 국내에서도 그동안 일부에서 화학적인 방법 (ASTM C 289)과 모르타르 봉 방법 (ASTM C 227)으로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일부 골재가 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모르타르 봉방 법에서는 대상 골재에서 유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3) 한편, 그동안 국내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피해사례가 거의 보고된 바 없고, 골재의 품질도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Stanton, T. E., 'Expansion of Concrete Through Reaction Between Cement and Aggregate,' Proc., ASCE, Reston, VA, 1940, pp. 1781-1811 

  2. Diamond, Sidney and Barneyback, R. S., 'A Prospective Measure for the Extent of Alkali-Silica Reaction,' Proceedings of Symposium held in London, September 1976, pp. 149-162 

  3. 정지곤, '콘크리트구조물과 알칼리-골재 반응,'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산업, Vol. 6, No. 1, 1993, pp. 7-10 

  4. 홍승호, '국내 콘크리트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대한 조사 및 억제방안,'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5. 홍승호, 한승환, 윤경구,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시멘트콘크리트 포장 파손사례,'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8 권, 3호, 2006, pp. 355-360 

  6. KS F 2545, '골재의 알칼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 (화학적 방법),' 산업표준심의회, 1997 

  7. JIS A 1145, '骨材の アルカリシリカ 性 試驗方法 (化學法),' JIS 土木 II, 土木資材/建設用機械.用具, 日本規 格協會, 2001, pp. 576-580 

  8. ASTM C 1260, 'Standard Test Method for Potentially Alkali Reactivity of Aggregates (Mortar-Bar Method),'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2002, pp. 684-688 

  9. Fournier, Benoit, Marc-Andre Berube, and Chris a. Rogers, 'Propo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Alkali-Silica Reaction in New Concrete Structures,' TRR 1668 Paper No. 99-1176, 1999, pp. 48-49 

  10. Berube, M. A. and Fournier, B., 'Accelerated Test Methods for Alkali-Aggregate Reactivity. Advances in Concrete Technology (Ed. V. M. Malhotra),' CANMET/EMR, Ottawa, 1992, pp. 583-6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