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펄라이트를 이용한 방음벽의 흡음소재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und Absorption Material Using Perlite for Noise Barrier Wall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0 no.5, 2008년, pp.653 - 660  

조영국 (청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양주경 (청운대학교 철도행정토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펄라이트를 이용한 흡음재료의 흡음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최적배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합재로서 폴리머 시멘트 슬러리와 무기질 결합재를 사용하여 흡음재료를 각종 배합조건에 따라 제작하여, 강도, 동결 융해 저항성, 그리고 흡음성능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관내법에 의한 흠음재의 흠음계수는 배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폴리머 디스퍼션을 결합재로 사용한 경우 흡음재의 감음계수 (NRC)는 $0.48{\sim}0.51$로 시멘트만 결합재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방음벽의 환경부 고시 기준에서의 흡음재로서 감음계수 0.70에 비하면 낮은 수치이다. 그러나 잔향실법에 의한 흡음용 패널의 저주파수 영역($250\;Hz{\sim}500\;Hz$)에서 흡음계수가 $0.84{\sim}1.00$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고주파 영역에서도 $0.57{\sim}0.77$ 정도로 비교적 높은 흡음률을 나타내 감음계수가 0.77로 높게 나타났다. 폴리머 디스퍼션을 결합재로 사용한 흡음재는 압축강도, 휨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 등에서 방음벽 재료로서 적당한 성능을 발휘하였으며, 성능과 가격면에서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배합을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timal mix design of the sound absorption material that is made from perlite and various binder systems for noise barrier wall. The polymer cement slurry which is made from two types of polymer dispersions, and silicone type inorganic material are used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흡음률 측정 시 간이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관내법은 시험편 크기가 작아 제작 시 어려움이 많아 실제 흡음률이 낮게 나올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결합재인 PCS 양을 적게 하여 펄라이트의 표면만 접착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공극을 확보하기 위한 배합을 조정하였다. 본 배합은 흡음패널 크기 480 mm × 480 mm × 5 mm (두께)를 기준으로 1개 만들 수 있는 양이다.
  • 5) 다른 재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무기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펄라이트의 이러한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도로의 방음벽과 실내 건축음향재료로서의 흡음재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펄라이트의 미세조직을 관찰하기 위하여 먼저 절건 상태의 펄라이트를 진공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금증착기로 표면을 증착시킨 후,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Fig.
  • 본 연구는 건설재료중 무기질인 펄라이트의 기공성을 이용한다면 흡음재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펄라이트에 각종 결합재를 사용하여 흡음소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수한 흡음성능을 보유하고, 여기에 적정한 강도 및 동결융해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합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건설재료중 무기질인 펄라이트의 기공성을 이용한다면 흡음재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펄라이트에 각종 결합재를 사용하여 흡음소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수한 흡음성능을 보유하고, 여기에 적정한 강도 및 동결융해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합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펄라이트의 기초적 물성을 살펴보고, 결합재에 따른 각종 배합을 설정하여 방음벽에 사용될 수 있는 흡음재의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흡음재에 대한 흡음시험은 관내법을 사용하였으며, 관내법에서 성능이 우수한 최적배합을 잔향실법을 이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설치되는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연구한 펄라이트를 이용한 방음벽의 흡음소재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결과는? 1) 펄라이트를 이용한 흡음재의 단위용적중량은 0.3 ~ 0.65 g/cm3범위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ALC의 0.53 g/cm3와 비슷하고 초경량 재료인 셀스톤의 0.23 g/cm3보다는 약간 컸으며, 폴리머 시멘트비가 클수록 단위용적중량이 작게 나타났다. 2) 폴리머 디스퍼션을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슬러리를 결합재로 한 각종 배합조건에서 흡음재로서 적당한 압축강도, 휨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얻을 수 있었다. 3) 관내법에 의한 흠음재의 감음계수는 폴리머 디스퍼션을 결합재로 사용한 경우 0.48 ~ 0.51, 무기질 결합재를 사용한 경우 0.72를 나타냈다. 4) 잔향실법에 의한 흡음용 패널의 흡음계수는 저주파수 영역 (250 Hz ~ 500 Hz)에서 0.84 ~ 1.00, 고주파수 영역에서 0.57 ~ 0.77로 비교적 높은 흡음률을 나타냈으며, 감음계수도 0.77로 방음벽의 환경부 고시기준인 0.7에 비해 높게 나타나 직접 현장에서 방음벽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배합조건으로 평가되었다. 5) 본 연구 결과, 잔향실법에 의해 평가해 볼 때 폴리머 시멘트 슬러리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제작한 펄라이트 흡음패널은 적절한 역학적 성질을 보유하면서 흡음성능이 우수하여 폴리머 종류 PA, 폴리머 시멘트비 20%, 물시멘트비 48%, 319 kN/m2의 가압조건, 28일간 기중양생의 최적배합 및 제작 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다.
흡음재란? 건축구조물에 다기능성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실내재료의 흡음 및 차음 성능은 당연히 요구되는 부분이다. 소리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를 흡음재라 하며, 소리를 차단하여 투과음을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를 차음재라 한다. 또한 방음벽은 음파를 넓은 벽으로 막아 뒤쪽으로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소음을 차단할 목적으로 소음의 전달 경로 사이에 설치한 차단벽이다.
방음벽은 무엇이며, 어떤 목적으로 설치하는가? 소리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를 흡음재라 하며, 소리를 차단하여 투과음을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를 차음재라 한다. 또한 방음벽은 음파를 넓은 벽으로 막아 뒤쪽으로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소음을 차단할 목적으로 소음의 전달 경로 사이에 설치한 차단벽이다. 방음벽에 사용되는 흡음재료는 실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적절한 강도와 동결융해 저항성능, 내후성 등에 있어서 실내 흡음재에 비해 성능에서 뛰어나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오양기, 주문기, 한명호, "친환경 다중 건식 벽체의 차 음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 권, 3호, 2008, pp. 257-264. 

  2. 이원열, 김하근, 오양기, 주문기, "방음터널 단면 형상 에 따른 소음 저감특성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 획계), 20권, 2호, 2004, pp. 193-200. 

  3. 김선우, 신홍철, 정환욱, 기노갑, 송민정, "천정구조와 바닥마감재의 조합에 따른 경량충격음 차음특성 및 저 감량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8 호, 2002, pp. 177-184. 

  4. 이태강, 정진연, 김선우, "석고판 경량 벽체의 구성방법 에 따른 차음성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 획계), 21권, 2호, 2005, pp. 189-196. 

  5. 이평직, 전진용, "공동주택 입면 및 발코니 형상변화를 통한 도로교통 소음 저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 문집 (계획계), 22권, 8호, 2006, pp. 217-224. 

  6. 김재수, 양만우, 건축음향설계방법론, 도서출판 서우, 2001. 

  7. 방음벽의 성능 설치기준, 환경부고시 2002-184호, 2002, pp. 157-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