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세균열이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에 미치는 영향 III; 배합조건 특성에 따른 미세균열의 특성
Characteristic of Microcracks with Mixing Proportional Properties of Concrete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0 no.4, 2008년, pp.469 - 475  

윤인석 (인덕대학 건설정보과) ,  김영근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방수보수보강센터) ,  박기봉 (강원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균열은 염소이온의 빠른 침투를 유도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저자는 지난 연구에서 표면에서부터, 임계균열폭에 대응한 균열길이가 내구성 설계에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현 시점에서 균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콘크리트의 배합특성이 균열부를 통한 염소이온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의 굵은골재 최대치수,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강섬유 보강 등의 다양한 배합특성이 균열을 통한 염소이온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작은 골재를 함유한 콘크리트는 많은 미세균열이 발생하지만, 염소이온 침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콘크리트의 경우, 골재 표면을 통해 균열이 발전하여 서로 연결되기 쉽고 이는 빠른 염소이온 침투를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강도콘크리트는 균열이 없는 조건에서는 염소이온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이 대단히 우수하였으나, 균열이 존재하면 보통콘크리트와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염소이온이 침투되므로 균열의 발생시, 내구성능이 매우 취약해짐을 알 수 있었다. 강섬유의 보강은 인장 응력 발생시 균열의 진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균열길이가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obvious that chloride penetration through cracks can threaten the durability of concrete substantiall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of author. It was proposed that crack depth corrseponded with critical crack width from the surface is a crucial factor in view of durability design of co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819 × 10-3에서 균열을 통한 염소이온의 침투는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2,3) 본 논문은 콘크리트내 미세균열이 염소이온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후속 연구이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균열폭과 균열길이 등을 변수로 하여 임계균열폭의 도출을 의도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목적을 기초로, 균열크기 외, 콘크리트의 배합조건이 균열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 2,3) 본 논문은 콘크리트내 미세균열이 염소이온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후속 연구이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균열폭과 균열길이 등을 변수로 하여 임계균열폭의 도출을 의도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목적을 기초로, 균열크기 외, 콘크리트의 배합조건이 균열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 첫째, 굵은골재 최대치수를 변수로 하여 제작된 다양한 미세균열 패턴이 염소이온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즉, 굵은골재와 시멘트페이스트 사이의 미세경계 영역 (ITZ, interfacial transition zone)에 발생한 미세균열이 염소이온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균열은 어떠한 요인인가?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균열은 염소이온의 빠른 침투를 유도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저자는 지난 연구에서 표면에서부터, 임계균열폭에 대응한 균열길이가 내구성 설계에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콘크리트가 고강도화됨에 따라 증가하는 취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려하는 것은? 셋째, 강섬유 보강된 고강도콘크리트에서 균열을 통한 염소이온의 침투를 고찰한다. 콘크리트가 고강도화됨에 따라 증가하는 취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강섬유보강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균열 특성에 따른 염소이온 침투를 다룬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미세균열의 가장 큰 원인중 하나는 건조수축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교량 바닥판과 같이 부재의 단면이 작을 때, 특히 심각한 문제이다.
건조수축으로 인한 미세균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려되고 있는 방법들은 무엇이 있나? 일반적으로, 미세균열의 가장 큰 원인중 하나는 건조수축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교량 바닥판과 같이 부재의 단면이 작을 때, 특히 심각한 문제이다.5) 이러한 미세균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a) 과다보강 설계, (b) 콘크리트의 재료적 성능 개선, (c) 강섬유로 보강 등의 방법이 고려되고 있는데 이중 세번째 강섬유 보강 방법은 배합적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다. 현재, 유럽 및 북미에서는 교량 상판의 신설 초기에 강섬유를 함유한 고강도콘크리트의 활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는 내하력이 저하될 경우에도 추가로 타설하여 보강효과를 얻는 등,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윤인석, "미세균열이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에 미치는 영향 I; 현상학적 모델의 제안,"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9권, 1호, 2007, pp. 57-65 

  2. 윤인석, "미세균열이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에 미치는 영향 II; 임계 균열폭의 고찰,"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9권, 6호, 2007, pp. 707-715 

  3. Yoon, I. S., Schlangen, E., Rooij M. de., and Breugel, K. van, "The Effect of Crack on Chloride Penetration into Concrete," Key Engineering Materials, Vol. 348-349, Trans Tech Publication, 2007, pp. 769-772 

  4. TRB-AHD45, The Effect of Cracking in High Performance Concretes on Reinforcement Corrosion and Structural Durability, Transport Research Board, RPS-AHD45-2005-01, 2005 

  5. Berke, N. S., Li, L., Rieder, K. A., and Bentur, A., "Concrete Mix Design for Durability: Integration of Technologies," Structure Magazine, 2006, pp. 23-26 

  6. NT Build 492, Concrete, Mortar and Cement-Based Repair Materials: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 Fin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