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Based Concrete Using Lightweight Aggregate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0 no.3, 2008년, pp.405 - 412  

양근혁 (목포대학교 건축공학) ,  오승진 (목포대학교 건축공학) ,  송진규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의 의미와 한계를 파악하기 위해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 6배합이 실험되었다. 무시멘트 친환경 결합재를 생산하기 위해 고로슬래그와 분말형 규산나트륨이 각각 모재와 활성화제로 이용되었다. 최대직경 13 mm의 경량골재가 굵은골재로 이용되었으며, 최대직경 5 mm의 경량골재가 천연모래의 용적비로 0, 15, 30, 50, 75 및 100% 치환되었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른 슬럼프 변화가 측정되었으며, 굳은 콘크리트에서는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속도, 할렬인장강도, 파괴계수, 탄성계수, 응력-변형률 관계, 부착강도 및 건조수축 변형률이 측정되었다. 실험된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경량 잔골재 치환율이 30% 이상일 때 급격히 감소하였다. 특히 사용된 경량골재의 불연속 입도분포는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들을 나쁘게 만들었다.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들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경량콘크리트를 위해 제시된 ACI 318-05 및 EC 2 설계기준 또는 Slate 등의 제안모델들과 비교되었다. 또한 측정된 응력-변형률 관계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경량콘크리트의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제시된 Tasnimi의 모델과 비교되었다. 실험 결과와 각 제안 모델들과의 비교는 잘 일치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x alkali-activated (AA) concrete mixes were test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developing an environmental friendly concrete.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and powder typed sodium silicate were selected as source material and an alkaline activator, respectively. The ma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콘크리트의 개발에 대한 특성 및 한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한 고로슬래그 기반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 6배합을 실험하였다. 굵은골재로서 최대직경 13 mm인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하였고, 잔골재로서 최대직경 5 mm인 천연모래 및 인공경량골재를 혼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가 비교적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난 이유는? 본 연구에서 실험된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는 비교적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이의 한 원인으로서 사용된 경량골재가 비교적 강도가 낮고 입도분포가 불연속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측정된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들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경량콘크리트를 위한 기준 및 제안 모델과 차이를 보였다.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란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밀도의 함수로 나타낸다. 밀도가 1,440 kg/m3 이상인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Ec)에 대해 ACI 318-05는 #로 제시하고 있는 반면 Slate 등은 다음 식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실험된 콘크리트들의 파괴면은 골재를 관통한 이유는? 한편, 실험된 콘크리트들의 파괴면은 골재를 관통하였다. 이는 경량골재의 강도가 페이스트 강도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RLF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량골재 입자들 사이의 공극크기 및 경량골재와 페이스트 경계면에서의 미세균열 수와 경량골재의 낮은 강도가 콘크리트 압축강도 저하의 주요 원인이라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acheco-Torgal, F., Castro-Gomes, J., and Jalali, S., "Alkali-Activated Binders: A Review. Part 2. About Materials and Binder Manufactur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March 2007, Vol. 22, No. 7, 2008, pp. 1305-1314 

  2. Palomo, A., Grutzeck, M. W., and Blanco, M. T., "Alkali-Activated Fly Ashes: A Cement for the Fu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9, 1999, pp. 1323-1329 

  3. Wang, S. D., Pu, X, C., Scrivener, K. L., and Pratt, P. L., "Alkali-Activated Slag Cement and Concrete: A Review of Properties and Problems," Advanced Cement Research, Vol. 27, 1995, pp. 93-102 

  4. Wang, S. D., Scrivener, K. L., and Pratt, P. L., "Factors Affecting the Strength of Alkali-Activated Sla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4, 1994, pp. 1033-1043 

  5. Yang, K. H., Song, J. K., Ashour, A. F., and Lee, E. T., "Properties of Cementless Mortar Activated by Sodium Silica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July 2007, Vol. 22, No. 8, 2008, pp. 1981-1989 

  6. Neville, A. M., Properties of Concrete, Longman, 1995 

  7. Zhang, M. H. and Gjorv, O. E.,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Aggregates for High-Strength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 88, 1991, pp. 150-158 

  8. Almusallam, T. H., and Alsayed, S. H.,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Normal, High-Strength and Lightweight Concrete,"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47, 1995, pp. 39-44 

  9. Kim, Y. J., and Harmon, T. G., "Analytical Model for Confin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Vol. 103, 2006, pp. 263-270 

  10. Mitchell, D. W. and Marzouk, H., "Bond Characteristics of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Vol. 104, 2007, pp. 22-29 

  11. Slate, F. O., Nilson, A. H., and Martinez, S.,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ACI Journal, Vol. 83, 1986, pp. 606-613 

  12. Tasnimi, A. A., "Mathematical Model for Complete Stress-Strain Curve Prediction of Normal, Light-weight and High-Strength Concrete,"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56, 2004, pp. 23-34 

  13. ACI Committee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05) and Commentary (ACI 318R-05),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05 

  14. The European Standard EN 1992-1-1:2004,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2004 

  15. 한국공업표준협회, KS 규준안, 한국공업표준협회, 2006 

  16. 정헌수, 양근혁, 김현호, "순환골재 품질과 치환율이 콘크리트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6호, 2006, pp. 71-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