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대학가 활성화 계획과정의 파트너십 연구 - 한양대학교 대학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 및 담장개방녹화사업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tnership for Activating of University Town in Seoul - Focused on Campus Fence Afforestation Project and the District Unit Plan for Renovating Campus Town Streets of Hanyang University - 원문보기

敎育施設 : 韓國敎育施設學會誌 =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15 no.4, 2008년, pp.26 - 37  

박진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학과) ,  목익수 (진흥기업 건축영업팀) ,  강우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the university campuses in Seoul have changed to the urban campus type that the boundary of the campus is close to the urban tissu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societies and universities has got more important than before. Recently, through the suppor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5년 대학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대학가 거리환경 개선사업을 시작하였다. 두 사업은 행정지원부처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주민과 대학의 협력체계를 통하여 실시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한양대 담장개방 녹화사업과 한양대 주변 젊음의 거리 조성사업을 통하여 민・관・학 파트너십이 어떻게 사업결과로 이루어졌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된 대학가 활성화 사업이야말로 현실적 제한을 가진 대학들의 중장기 발전전략이나 혹은 지역사회의 의견반영이 충분치 못하는 행정위주의 관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와 대학의 공생발전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회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서울시 도시재생정책이라는 큰 틀 안에서 지역과 대학이 함께 발전할 기회로 대학가 활성화 사업을 검토분석하고 이 사업의 성공여부로서 사업의 공동주체인 민・관・학 파트너십의 중요성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5년 대학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이 서울시 전체로 확대된 이후, 2008년 처음으로 대학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일환으로 착공한 한양대 젊음의 거리 조성사업과 2007년 한양대 담장개방 녹화사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과정에서 행정지원부처가 주도한 민・관・학 파트너십의 역할과 계획과정 전반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대학가 활성화계획에서 민・관・학 파트너십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된 대학가 활성화 사업이야말로 현실적 제한을 가진 대학들의 중장기 발전전략이나 혹은 지역사회의 의견반영이 충분치 못하는 행정위주의 관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와 대학의 공생발전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회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서울시 도시재생정책이라는 큰 틀 안에서 지역과 대학이 함께 발전할 기회로 대학가 활성화 사업을 검토분석하고 이 사업의 성공여부로서 사업의 공동주체인 민・관・학 파트너십의 중요성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 따라서 서울시 도시재생정책이라는 큰 틀 안에서 지역과 대학이 함께 발전할 기회로 대학가 활성화 사업을 검토분석하고 이 사업의 성공여부로서 사업의 공동주체인 민・관・학 파트너십의 중요성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5년 대학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이 서울시 전체로 확대된 이후, 2008년 처음으로 대학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일환으로 착공한 한양대 젊음의 거리 조성사업과 2007년 한양대 담장개방 녹화사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과정에서 행정지원부처가 주도한 민・관・학 파트너십의 역할과 계획과정 전반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대학가 활성화계획에서 민・관・학 파트너십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에서 대학 캠퍼스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 지역사회에서 대학 캠퍼스는 교육과 정보 제공 등 지역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으로서의 상징적인 공간이자 지역주민들의 휴식과 문화체육공간 제공 등 실용적인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대학은 광의의 범위에서는 여러 인력들을 고용하는 지역의 고용기관이자 향후 지역 경제 활성화의 주체가 될 학생들을 양성하는 경제적 역할 또한 수행하고 있다.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영향관계의 측면에서 볼 때 주변의 도시조직과 영역적으로나 동선적으로 분리되어 지역사회와 교감할 수 있는 대학캠퍼스의 역할을 기대하기가 사실상 어려웠던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영향관계의 측면에서 볼 때, 본격 적인 도시개발 이전에는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캠퍼스 대부분의 경우는 구릉지 혹은 저개발지 (농촌지역)에 입지하였기 때문에 주변의 도시조직과 영역적으로나 동선적으로 분리되어 지역사회와 교감할 수 있는 대학캠퍼스의 역할을 기대하기가 사실상 어려웠다.
도시형 대학캠퍼스와 지역사회간의 공생관계의 밀착도는 대학의 경쟁력과 지역전체의 발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논리에 힘이 실리게 되는데 이는 어떤 측면에서 볼 때 인가? 그러나 이후 캠퍼스의 물리적 확장과 주변 도시조직의 시가화와 함께 현재는 대학의 경계가 도시조직과 맞닿게 되는 도시형 캠퍼스의 모습을 보이면서 대학과 주변지역은 물리적 환경을 공유하게 되고 따라서 대학과 지역 사회간 관계의 중요성에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시형 대학캠퍼스와 지역사회간의 공생관계의 밀착도는 대학의 경쟁력과 지역전체의 발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논리에 힘이 실리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도년. 배웅규. 기성시가지 상업지의 도시 . 건축여건을 고려한 환경개선형 도시설계 기법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권 9호 (통권 167호), pp.61-68, 2003 

  2. 김준수. 이정학. 정기욱. 구영민, 캠퍼스 타운정비 및 경관조성을 위한 전략적 개념제안. 인하대학교 캠퍼스타운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발표대회 논문집, pp.14-23, 2006 

  3. 김충호. 김진균, 미국 대학 캠퍼스의 도시적 성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 25권 제1호(통권 제 49집), pp.563-566, 2005 

  4. 김홍일. 이욱주, 도심형 대학의 캠퍼스 주변 지역사회와 연계된 통합형 프로그 래밍 에 관한 연구 : 동국대학교 필동 캠퍼스 사례 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13권 제3호 (통권 제 56호), pp.17-28, 2006 

  5. 목정훈. 박종현, 지구단위계획 주민참여 제고를 위한 주민약속 활용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7권 제 2호, pp.109-126, 2006 

  6. 박현신. 강준모. 황기연,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대학교 주변지역 활성화방안 연구, 추계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911-918, 2007 

  7. 배웅규. 김도년, 지역경제 활성 화를 위한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시행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권 1호 (통권 196호), pp.163-172, 2005 

  8. 여혜진, 대학-지역사회 간 협력적 파트너쉽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캠퍼스계획 사례비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29-77, 2007 

  9. 이창호. 배웅규, 대학주도의 대학마을 재정비방법에 관한 연구 : 펜실베니아대학교의 대학시설 전개와 마을 만들기 운동 사례 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2권 제 6호, pp.89-103, 2007 

  10. 임진철. 정성원, 서울시 "대학 담장개방 녹화사업" 을 통한 오픈공간 활용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 27권 1호(통권 제51집), pp.703-706, 2007 

  11. 한광야. 이희원. 김환, 대학캠퍼스 성장과 경계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6권 제 2호, pp.77-9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