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농법용 외래 왕우렁이의 생태위해성 및 위해성 관리의 필요성
Ecological Risk of Alien Apple Snails Used in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nd the Urgent Need for Its Risk Management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6 no.3, 2008년, pp.129 - 137  

방상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조미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친환경농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왕우렁이는 본래 외국으로부터 들여온 외래종으로 국내의 토종 우렁이와는 다른 종이다. 왕우렁이농법은 논에서 지속적이고 높은 제초효과와 그에 따른 제초제 사용의 감소 및 비용의 절감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친환경농법의 하나이다. 특히 최근 2008년도 3월에서 5월까지 조류독감의 전국적인 발생으로 인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오리농법의 사용을 자제하는 대신에 이를 대체할 농법으로 왕우렁이농법을 권장함으로써 왕우렁이의 사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외래왕우렁이는 토종 우렁이와는 달리 알을 낳아 산란하기 때문에 대량증식이 용이하고 우화율도 95.8%로 높아 잠재적 해충으로써의 가능성이 높다. 이와 더불어 일본과 대만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국가들에서는 이미 외래 왕우렁이로 인한 생태계 및 농업의 피해가 보고된 바 있고,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왕우렁이를 "세계 100대 최악의 침입외래종"으로 지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친환경농법으로 외래 왕우렁이를 수입 사용하면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겨울기온을 보이는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충남, 강원의 일부지역에서 왕우렁이가 자연생태계로 유출되어 월동하거나 서식하는 것이 발견되고 있어 타 국가에서와 같이 외래 왕우렁이에 의한 생태계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농림기관과 왕우렁이 농업 관련 단체들은 왕우렁이농법의 친환경적 이점과 최근 일부지역에 대해 실시된 월동조사에서 월동이 불가능하였던 연구결과를 내세워 왕우렁이에 대한 생태계 교란야생동 식물종으로의 지정을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국내 외에서 외래 왕우렁이에 의한 생태 및 농업적 위해성을 분석하고, 국내의 여건 변화에 따른 왕우렁이의 생태위해성을 제시하여, 왕우렁이에 대한 위해성 판단이 명확해 질 때까지 왕우렁이의 합리적인 사용과 함께 국가차윈의 과학적인 생태위해성 관리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i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Pomacea insularus) used in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re different from indigenous snails found in Korea. Due to high herbicidal effects and cost-effectiveness, the number of farmers using the snails has been growing every year since 2000. More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래 왕우렁이의 국내 분포와 개체수. 개체밀도, 월동여 부, 생태계 영향 및 피 해 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논과 양식장에서 사용된 왕우렁이가 일정 장소를 벗어나 자연생태계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정한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이를 유지 .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점차 친환경농법으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왕우렁 이에 관한 국내 - 외 피해사례 및 위해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위해성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외래 왕우렁이에 의한 농업적 . 생태적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데에 그 목적 이 있다.
  • 외래 왕우렁이에 의한 농업적 . 생태적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데에 그 목적 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종민, 길지현, 고강석, 김원명, 허문석, 신현철, 김수환, 현진오, 송호복. 2007a. 생태계위해성이 높은 외래종의 정밀 조사 및 관리방안(II). pp. 1-32 

  2. 김현주, 배순도, 이건휘, 박성태, 박정규, 박형만. 2007b. 영남지역의 왕우렁이 월동 및 월동처.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6:437-444 

  3. 농촌진흥청. 2004. 친환경.유기농업 영농활용 매뉴얼. pp. 43-52 

  4. 농업과학기술원. 2008a. 면담자료 

  5. 농업과학기술원. 2008b. 연구개발 정보. [On line] http://www.niast.go.kr 

  6. 박형만, 서홍렬, 김현주, 김도익. 2007. 왕우렁이 생태 및 방제체계 연구. 농촌진흥청. pp. 1-93 

  7. 방상원. 2007. 외래동물의 위해성 정보전달체게 및 교육.홍보방안 수립연구. 환경부. pp. 85-160 

  8. 방상원. 2006. 국내 도입 외래동물 현황 파악 및 생태계위해성 등급 분류 연구. 환경부. pp. 77-99 

  9. 이상범, 고문환, 나영은, 김진호. 2002.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21:50-56 

  10. 이준상, 민덕기. 2002. 한국산 연체동물 목록. 한국패류학회지. 18:93-217 

  11. 유병호, 원창만, 양병국, 김원명, 문정숙, 이민효. 2004. 야생동물 실태조사. pp. 101-109 

  12. 전라남도청 친환경농업과. 2008. 면담자료 

  13. 전남농업기술원. 2007. 생명식품 생산 5개년 계획 달성을 위한 친환경 벼 재배 매뉴얼. pp. 32-35 

  14. 日本 環境省. 2008. 外來生物リスト:無脊椎動物(詳編) [On line] http://www/env.go.jp/nature/in tro/loutline/caution/list_mu.html 

  15. 전국귀농운동본부. 2000. 생태농업을 위한 길잡이. 들녘 

  16. Florida's Invasive Species Working Group. The Status of Non-indigenous Species in South Florida Environment. In 2006 South Florida Environment Report. [On line] http://iswagfla.org/facts.htm 

  17. Gutierrez AT and JK Reaser. 2005. Linkages between development assistance and invasive alien species in freshwater systems in southeast Asia. Global Invasive Species Programme 

  18.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2008. [On line] http://www.issg.org/database 

  19. Levin P. 2006. Statewide Strategic Control Plan for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Hawaii. The Hawaii Land Restoration Institute 

  20. Naylor RL. 1996. Invasions in Agriculture: Assessing the Cost of the Golden Apple Snail in Asia. Ambio 25: 443 

  21. Network of Aqiaculture Center in Asia-Pacific. 2005. The Way Forward: Building Capacity to Combat Impacts of Aquatic Invasive Alien Species and Associated Trans-Boundary Pathogens in ASEAN Countries 

  22.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for Kyushu Okinawa Region. 2008. [On Line] http://www.knaes.affre.go,jp/kiban/g_seitai/hmpasctn.html 

  23. Pallewatta N, JK Reaser and AT Gutierrez. 2003. Invasive Alien Species in South-Southeast Asia. Global Invasive Species Programme 

  24. Teo SS. 2004. Biology of the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Lamarck, 1822), with emphasis on responses to certai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abah, Malaysia, Molluscan Research 24:139-148 

  25. Texas Parks & Wildlife Department. 2008. Prohibited Exotic Species. [On line] http://www.tpwd.state.tx.us/huntwild/wild/species/exoti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