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을 위한 pH 감응형 P(MAA-co-EGMA) 수화젤 미세입자의 탑재거동
Loading Behavior of pH-Responsive P(MAA-co-EGMA) Hydrogel Microparticles for Intelligent Drug Delivery Application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5, 2008년, pp.421 - 426  

신영찬 (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규식 (네비온(주)) ,  김범상 (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감응형 P(MAA-co-EGMA) 수화젤을 분산 광중합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입자로 합성하고 화장품 제형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델 탑재물질인 Rh-B와 화장품 분야에서 기능성 물질로 사용되는 ascorbic acid, adenosine, EGCG, arbutin을 이용하여 탑재 및 방출 거동을 조사하였다. Rh-B 탑재의 경우, pH 6.5인 수용액에서 이온화에 의한 P(MAA-co-EGMA) 수화젤의 음전하와 Rh-B의 양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인하여 가장 높은 탑재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화장품 기능성 물질들의 경우, pH 6.5 수용액에서 이온화된 P(MAA-co-EGMA) 수화젤의 음전하와 기능성 물질들이 나타내는 음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력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탑재효율을 나타내었다. Rh-B를 사용한 방출실험 결과, p(MAA-co-EGMA) 수화젤 미세입자는 높은 pH에서는 다량의 Rh-B를 그리고 낮은 pH에서는 소량의 Rh-B를 방출하는 pH 감응성 방출거동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responsive P(MAA-co-EGMA) hydrogel microparticles were synthesized via dispersion photo polymerization and the feasibility of the particles as the cosmetic formulation was investigated. Rh-B and the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cosmetic application such as ascorbic acid, adenosine, EGCG, and ar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에서는 다량의 Rh-B가 방출되는 pH 감응성 방출거동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본연구에서 합성한 pH 감응형 P(MAA-co-EGMA) 수화젤 미세입자는 외부 환경의 pH 변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지능형 전달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화장품 기능성 물질의 탑재에 있어서는 수화젤이 보여주는 낮은 탑재효율을 극복하여야만 P(MAA-cclEGMA) 수화젤 미세입자의 화장품 제형으로서의 응용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향후 수화젤 조성 중 MAA 감소에 의한 수용액 상에서 발생하는 음전하의 감소 수화젤과 탑재물질 사이에 최소한의 정전기적 반발력을갖는 pH에서 기능성 물질의 탑재, 또는 정전기적 반발력을 최소화할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선정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낮은 탑재효율을 극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소재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기능성 물질들의불안정성을 해결하고, 안정적인 탑재효율과 경피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H 감응형 수화젤 미세입자를 기능성 물질의 전달체로시용하는 지능형 약물전달 시스템을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고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pH 감응형 수화젤은 주변 환경의 pH 변화에 따라서 수화젤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선별적으로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제형에서의 pH 감응형 수화젤 미세입자의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첫 단계로 전달체로 사용될 pH 감응형 P(MAA-co-EGMA) 수화젤을 미세입자의 형태로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모델 탑재물질인 Rh-B(rhodamine-B) 와 ascorbic acid, adenosine, EGCG, arbutin과 같은 여러가지 기능성 물질의탑재실험을 통하여 최대의 탑재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탑재환경에따른 수화젤과 탑재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디}히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탑재된 Rh-B의 방출 실험을 통하여 합성된 P(MAA-caEGMA) 수화젤 미세입자의 pH 변화에 따른 선택적인 방출거동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 Kanjickal , S. Lopina, M. M. Evancho-Chapman, S. Schmidt, D. Donovan, and S. Springhetti, J. Biomed. Mater. Res., 68A, 489 (2003) 

  2. J. Heller, J. Control. Release, 8, 111 (125) 

  3. G. W. Creasy and M. E. Jaffe, Adv. Drug Deliv. Rev., 6, 51 (1991) 

  4. I. C. Kwon, J. Korean Fiber Society, 33, 912 (1996) 

  5. G. S. Khang, M. S. Kim, S. H. Cho, H. B. Lee, J. H. Chang, and K. J. Kim, Polym. Sci. Technol., 14, 431 (2003) 

  6. Y. Qiu and K. N. Park, Adv. Drug Deliv. Rev., 53, 321 (2001) 

  7. B. Kim, NICE, 24, 612 (2006) 

  8. Y. W. Lee, Y. I. Hwang, and S. C. Lee, Koeran J. Food Sci. Technol., 31, 280 (1999) 

  9. G. W. Muth, L. Ortoleva-Donnelly, and S. A. Strobel, Science, 289, 947 (2000) 

  10. A. E. Hagerman, R. T. Dean, and M. J. Davies, Arch. Biochem. Biophys., 414, 115 (2003) 

  11. S. J. Bian, M. K. Choi, H. X. Lin, S. J. Chung, C. K. Shim, D. D. Kim, and J. M. Zheng, J. Kor. Pharm.Sci., 36, 299 (2006) 

  12. B. Kim and N. A. Peppas, Int. J. Pharm., 266, 29 (2003) 

  13. B. Kim and N. A. Peppas, Polymer, 44, 3701 (2003) 

  14. B. Kim and N. A. Peppas, Macromolecules, 35, 9545 (2002) 

  15. P. Beyer and E. Nordmeier, Eur. Polym. J., 35, 1351 (1999) 

  16. K. C. Kim and S. J. Lee, Yakhak Hoehi, 33, 372 (1989) 

  17. N. O. Mchedlov-Petrossyan, N. A. Vodolazkaya, and A. O. Doroshenko, J. Fluorescence, 13, 235 (2003) 

  18. Merck 13th Edition, 8266 

  19. A. A. Holder, R. F. G. Brown1, S. C. Marshall1, V. C. R. Payne, M. D. Cozier, W. A. Alleyne, and C. O. Bovell, Transit. Met. Chem., 25, 605 (2000) 

  20. Merck 13th Edition, 837 

  21. Merck 13th Edition, 154 

  22. Merck 13th Edition, 3557 

  23. Merck 13th Edition, 7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