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플로팅시스템을 통한 Tailor-Made 3D PCL Scaffold 제작
Fabrication of Tailor-Made 3D PCL Scaffold Using a Bio-Plotting Proces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2, 2008년, pp.163 - 168  

손준곤 (자연모사 바이오기계연구팀, 한국기계연구원) ,  김근형 (자연모사 바이오기계연구팀, 한국기계연구원) ,  박수아 (자연모사 바이오기계연구팀, 한국기계연구원) ,  김완두 (자연모사 바이오기계연구팀, 한국기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체 친화적이며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인 poly($\varepsilon$-caprolactone)(PCL)을 rapid prototyping(RP) 공정인 바이오플로팅 시스템을 통해 세포 재생용 지지체(scaffold)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PCL 지지체는 DMA(dynamic mechanical analyzer)를 통해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 기존 염침출법(salt-leaching)에 의한 지지체보다 월등히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존 전통적인 세포지지체 제작에서 문제점중의 하나인 기계적인 강도적인 측면을 보완하여, 뼈조직 재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지체 내부의 구조는 세포의 증식과 이동 및 영양분의 공급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연결된 통로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세포의 증식이 가능하도록 지지체의 공극 크기와 strand의 굵기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대체하고자 하는 생체조직의 특성에 맞도록 기계적 강도를 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PCL지지체는 연골세포를 통하여 셀 컬쳐링 되었고, 3차원 세포 지지체로서의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medical scaffold for tissue regeneration was fabricated by one of rapid prototyping processes, bioplotting system, with a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poly($\varepsilon$-carprolactone)(PCL). Through dynamic mechanical test, it was observed that the PCL scaffold manufactured by th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뼈 세포의 경우 지지체가 100~350 pirn 크기의 공극을 가질 때 재생이 잘 되었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극간의 연결성에 제한이 있는 염침출법 (salt-leaching process) 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세포의 증식에 적합한 다양한 공극의 크기를 가진 interconnected 한 구조의 tailor-made 지지체를 제작하고자 PCL을 원료로 바이오플로팅 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 구조의 지지체를 만들었고, 이에 세포를 배양하여 초기 부착 상태를 확인하여 보았다.

가설 설정

  • Figure 2는 모든 조건은 동일한 상태에서 PCL의 용융 온도 변화가 3차원 지지체의 제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사진이다. (b) 사진은 전체적으로 설계된 형태로 형상이 구현된 모습인 반면, (a) 사진은 layer가 쌓여 가면 서구 조기. 무너진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G. S. Khang, M. S. Kim, B. H. Min, I. W. Lee, J. M. Rhee, and H. B. Lee,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3, 376 (2006) 

  2. E. Sachlos and J. T. Czernuszka, European Cells and Materials, 5, 29 (2003) 

  3. A. Pfister, R. Landers, A. Laib, U. Hubner, R. Schmelzeisen, and R. Mulhaupt, J. Polym. Sci.; Part A : Polym. Chem., 42, 624 (2004) 

  4. A. Thapa, D. C. Miller, T. J. Webster, and K. M. Haberstroh, Biomaterials, 24, 2915 (2003) 

  5. C. M. Agrawal and R. B. Ray, J. Biomed. Mater. Res., 55, 141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