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미천동굴 고사릿과 자생식물의 생태 고찰 (I)
Ecological Contemplation on Native Plant of Bracken at Micheon Cave in Je-ju Island 원문보기

洞窟 : 한국동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peleological society, no.88 = no.88, 2008년, pp.31 - 37  

소대화 (명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many beautiful volcano caves in Je-ju island which is biggest volcanic island in Korea. The typical volcano caves are ManJang-gul, HyupJe-gul and MiCheon-gul, etc. Among them the MiCheon-gul name is originated from the beautiful things of cave which were more than thousands in there.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천굴의 아름다움에는 또 한 가지의 특징적인 사물이 있어서,굴 내부에 서식하는 여러 가지의 동물과 식물 중에는 흔히 있는 고사리과의 자생식물이 있는데, 특이하게도 벽면과 천정 면에서 거꾸로 매달려 자라고 있어서 소위 역-성장식물이라는 별칭이 붙어 화재가 되고 있는 미천굴 자랑거리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그의 모습과 함께 싱싱하게 자라고 있는 그의 생태와 함께 25만 년 전에 형성되어 오늘에 그 자연의 신비를 체험할 수 있는 미천굴(전장 1.7km의 365m) 지형지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미천8경중에서, 특히 6번째로 등장하는 ‘거꾸로 자라는 식물’에 대한 아름다움과 기이함을 풀어 고찰해보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목표로써,흔히 탄소동화작용의 광합성 식물줄기가 지구중력에 반하여 음의 굴지성(negative geotropism)을지니며 또한, 햇빛에 대해서는 굴광성(phototropism)을 갖고 자라는데 대하여, 식물의 본능적 생태현상에 따라 그 뿌리는 지구중력방향으로 양의 굴지성(positive geotropism)인 땅속 방향으로 자라면서 친수성(굴수성)을 갖고 물을따라 지표면 아래에서 수직/수평 방향으로 자라는데 대하여, 미천굴 속 깊숙한 곳에서 자라는 고사릿과의 자생식물은 전혀 그 반대방향인 거꾸로 자라면서 벽과 천정에 매달려 성장하는 특이한 성장생태의 모습을 보인다.
  • 제주 화산동굴 미천굴과 미천굴 자생서식 고사릿과 식물이 거꾸로 매달린 현수 상태에서 자라고 있는 서식환경과 생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동굴 속의 특수 환경에서 식물이 거꾸로 매달려 특이생장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은 매우 기이한 일로써, 고찰된 결과로부터 다음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가설 설정

  • 2. 다도해를 그대로 옮겨 놓은 자연의 작품 진흙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장굴의 내부온도는 연중 몇 도를 유지하며, 폭과 높이, 길이는 어떠한가? 이들 가운데 만장굴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용암동굴로서 세계최장으로 공인 받았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경관 면에서도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다. 내부온도는 연중 ~17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약 5m의 폭과 5~10m 높이를 갖고 이루어진 총연장이 13,422m의 긴 용암동굴로서 빼어나다.
제주도에 있는 대표적인 용암동굴은 어떤 것이 있는가? 이와 같이 큰 화산섬 제주도에는 아름다운 많은 용암 동굴들이 있으며, 그 대표적인 용암동굴로써 만장굴, 협재굴, 미천굴 등으로 열거되며 소개되고 있다.
협재굴과 쌍용굴은 천연기념물 몇호로 지정되어 있는가? 또한, 협재굴과 쌍용굴은 천연기념물 제23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화산이 폭발하면서 한라산 일대의 용암이 흘러내려 형성된 검은색의 용암 동굴 벽면으로 빗물에 녹은 석회수가 오랫동안 스며들어 석출된 산화칼슘이 황금빛으로 재결정되어 용암동굴이면서 석순과 종유석이 자라는 이색동굴로써 일종의 위종동과 같이 석회동굴로 변해가는 복합동굴의 성격을 띠고 있다. 특히,석회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석순과 종유석들이 용암동굴 내부에서 자라고 있는 점은 학술적 가치를 크게 인정받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 236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동굴내부는 ~18℃를 유지해 여름철에는 시원하고 겨울 철에는 따뜻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소대화, 동굴조명에 의한 생태환경 변화의 억제 방안, 동굴학회용암동굴심포지엄, 제주도, 2007 

  2. 소대화, 선택채광수산증식, 동굴학술지, 2007 

  3. CholHo Kim, GwangOk Ri,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Fibrinolytic Enzymes from th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 Jeotgal", ismi&isphti'08, Shenyang, pp.43-44, Oct.13-16, 2008 

  4. Mindong BaiZhitao Zhang, et. al, "The Treatment of Oceanic Pollution Using Hydroxyl Radicals Based on a Strong Electrical Field Discharge", ismi&isphti'08, Shenyang, pp.41-42, Oct.13-16, 2008 

  5. DeaWha Soh, Applications of Opto- electronics for Cave Management in Widely Separated Place, ismi&isphti'08, Shenyang, pp.30-31, Oct.13-16, 2008 

  6. 소대화 외, 해양일조량 변화에 대한 고출력 LED수 중선택채광보상 제어, 동굴학회춘계학술 대회,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