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연직 오존 분포: 2003년 6월 6~9일 오존존데 관측
Vertical Ozone Distribution over Seoul: Ozonesonde Measurements During June 6~9, 2003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4 no.2, 2008년, pp.196 - 205  

황미경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김유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오인보 (미국 Houston 대학교 IMAQS 연구소) ,  송상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임윤규 (K-weather(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존 농도와 기상 인자의 연직관측을 수행하여 오존분포와 하부 대기구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관측은 서울 방이동에서 2003년 6월 $6{\sim}9$일에 하루 2회씩(주 야간)총 8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고도 5 km 이내의 관측결과를 중심으로 대기경계층 일변화와 연직 오존농도 변화를 집중분석하였다. 관측 결과, 대기경계층 내 야간안정층 및 혼합층 발달에 따라 큰 오존농도 분포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야간에는 안정층 내에서 $NO_x$ 적정반응으로 0에 가까운 낮은 오존농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오후에는 혼합층 내에서 비교적 일정한 오존농도 분포를 나타내며, 대기경계층 상부에서 100 ppb 이상의 최고 농도가 관측되었다. 특히 지표부근 오존농도가 높았던 6월 8일의 관측결과를 통해, 오존의 생성 소멸과 관련한 국지효과뿐만 아니라 제한된 혼합층 발달이 고농도오존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측 기간 중, 국지규모 이상의 수송효과에 의한 대기경계층 상부의 농도 상승과 종관기류 변화에 따른 수송 효과가 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연직 오존분포 분석에 있어 충분치 않은 관측 자료로 인해 정확한 시간적 변동을 고찰할 수 없는 한계를 보였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서울지역 대기하층의 오존 분포 변화와 기상학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서 고농도오존 현상의 역학적인 이해를 도울 것으로 생각되며, 관측 결과는 도시 오존제어를 위한 광화학 수치모델링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ability in vertical ozone and meteorological profiles was measured by 2Z electrochemical concentration cells (ECC) ozonesonde at Bangyi in Seoul ($37.52^{\circ}N$, $127.13^{\circ}E$) during June $6{\sim}9$, 2003 in odor to identif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o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대도달고도는 약 35 km이며, 부양한 존데의 상승속도는 약 5 ms'1 정도이고, 최대고도에 도달한 후 하강할 때의 하강 속도는 약 10m L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 하층대기에서 연직 오존분포 변화를 대기경계층의 일변 화와 함께 분석하기 위해 고도 약 5 km까지의 자료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 특히 지표 부근 오존오염이 심각한 서울의 경우, 그 원인의 정확한 진단과 모델링결과의 개선을 위해서 관측을 통한 연직 오존 분포 변화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수일간(2003년 6월 6~9일)수행된 오존존데관측 결과를 통해 얻어진 연직 오존 분포를 제시하였고, 오존 분포 변화와 대기경계층 구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 2003), 모의된 기류를 따라 관측지점으로의 오염공기괴 수송을 추정할 수 있다. 오산에서 6 일 야간 (2100LST)부터 7 일 오전 (0900 LST)까지 고도 1.5 km 부근에서 관측된 강한 서풍(평균 12.6m s「') 또한 수송효과에 대한 강한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광화학 모델링을 통한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오인보, 김유근, 황미경(2005) 수도권 오존오염 패턴과 기상 학적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3), 357-365 

  2. 환경부(2006)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지침, 12 pp 

  3. Berkowitz, C.M., J.D. Fast, S.R. Springston, R.J. Larsen, C.W. Spicer, P.V. Doskey, J.H. Hubbe, and R. Plastridge (1998) Formation mechanism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elevated photochemical layers over the northeast United Stat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3, 10631-10647 

  4. Gerasopoulos, E., G. Kouvarakis, M. Vrekoussis, C. Donoussis, N. Mihalopoulos, and M. Kanakidou (2006) Photochemical ozone production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Atmospheric Environment, 40, 3057-3069 

  5. Grell, G.A., J. Didhia, and D.R. Staiffer (1994) A descrption of the fifth-generation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 (MM5), NCAR technical Note TN-398+ ST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oulder, CO 

  6. MacDonald, C.P., P.T. Roberts, H.H. Main, T.S. Dye, D.L. Coe, and J. Yarbrough (2001) The 1996 Paso del Norte Ozone Study: analysis of meteorological and air quality data that influence local ozone concentrations,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76, 93-109 

  7. McElroy J.L. and T.B. Smith (1993) Creation and fate of ozone layers aloft in Southern California, Atmospheric Environment, 27A, 1917-1929 

  8. Mlawer, E.J., S.J. Taubman, P.D. Brown, M.J. Iacono, and S.A. Clough (1997) Radiative transp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 RRTM, a validated correlatek model for the longwav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 1663-1682 

  9. Neu, U., T. Kunzle, and H. Wanner (1994) On the relation between ozone storage in the residual layer and daily variation in near-surface ozone concentration -a case study, Boundary Layer Meteorology, 69, 221-247 

  10. Oh, I.B., Y.K. Kim, H.W. Lee, C.H. Kim, S.K. Song, M.K. Hwang, Y.K. Lim, and Y.H. Kang (2005) Regional influence on vertical ozone distributions over Seoul in Korea, The 16th Regional Conference of Clean Air and Environment in Asian Pacific Area, Tokyo, Japan, 165 

  11. Olszyna, K.J., M. Luria, and J.F. Meagher (1997) The correlation of temperature and rural ozone levels on southeastern U.S.A., Atmospheric Environment, 31, 3011-3022 

  12. Pisano, J.T., I. McKendry, D.G. Steyn, and D.R. Hastie (1997) Vertical nitrogen dioxide and ozone concentrations measured from a tethered balloon in the Lower Fraser Valley, Atmospheric Environment, 31, 2071-2078 

  13. Reisner, J., R.J. Rasmussen, and R.T. Bruintjet (1998) Explicit forecasting of supercooled liquid water in winter storms using the MM5 mesoscale model. Quart. J. Roy. Meteor. Soc., 124B, 1071-1107 

  14. Ryan, W.F., B.G. Doddridge, R.R. Dickerson, R.M. Morales, K.A. Hallock, P.T. Roberts, D.L. Blumenthal, J.A. Anderson, and K.L. Civerolo (1998) Pollutant transport during a regional $O_3$ episode in the Mid-Atlantic state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8, 786-797 

  15. Sanchez-Ccoyllo, O.R., R.Y. Ynoue, L.D. Martins, and M.F. Andrade (2006) Impacts of ozone precursor limitation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on ozone concentration in Sao Paulo, Brazil, Atmospheric Environment, 40, 552-562 

  16. Sillman, S. and P.J. Samson (1995) Impact of temperature on oxidant photochemistry in urban, polluted rural and remote environme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0, 11947-11958 

  17. Solomon, P., E. Cowling, G. Hidy, and C. Furiness (2000) Comparison of scientific findings from major ozone field studies in North Ameria and Europe, Atmospheric Environment, 34, 1885-1920 

  18. Streets, D.G., T.C. Bond, G.R. Carmichael, S.D. Fernandes, Q. Fu, D. He, Z. Klimont, S.M. Nelson, N.Y. Tsai, M.Q. Wang, J.-H. Woo, and K.F. Yarber (2003) An inventory of gaseous and primary aerosol emissions in Asia in the year 2000,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 8809 

  19. TCEQ (Texas Commission on Environmental Quality) (2007) http://www.tceq.state.tx.us/implementation/air/airm od/texaqs-files/TexAQS_II.html#Introduction 

  20. Zhang, J. and S.T. Rao (1999) The Role of vertical mixing in the temporal evolution of ground-level ozone concentration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8, 1674-1691 

  21. Zhang, J., S.T. Rao, and S.M. Dagguptay (1998) Meteorological processes and ozone exceedance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during the 12-16 July 1995 episod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7, 776-7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