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서-음성 변환 임베디드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plementing An Embedded System for Conversion from Text to Speech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3 no.3, 2008년, pp.77 - 83  

이현창 (한세대학교 IT학부) ,  서정만 (한국재활복지대학 컴퓨터게임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신 IT 정보기술 발전에 힘입어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하드웨어 보급이 보편화될수록 IT 기술 활용에 제한적인 사람들은 IT 정보기술 격차를 더욱 크게 느낄 수 있다. 정보통신기기는 일반사용자 이외에도 신체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의사소통 및 정보획득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또한,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면서도 장애를 가지는 이들을 위한 대응 제품을 적기에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으로 기능이 저하되는 것 가운데 가장 먼저 시각 기능 저하를 들 수 있다. 시각기능 저하로 인해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정보전달 수단으로 점자책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반 서적에 대한 활용과 비교하면 이용 및 활용을 위한 제반 기술이 상당히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기능 저하 혹은 시각장애를 가지는 사람들에게도 일반 서적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리눅스 기반에 소형 스캐너를 부착한 임베디드 시스템 구축에 관한 내용으로서, 문서에 대해 휴대용 스캐너를 활용하여 문자 추출 및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통합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oftware and hardware about recent information technologies(IT), disabled persons in using IT seem to feel more information gap. Devices for IT are important tools for users including disabled person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get informat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장에서는 문서-음성 변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 구성 및 세부 실제 부품들에 대해 살펴본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서-음성 변환 임베디드시스템 구축을 통해 향후 개인 맞춤형 및 신체적 결함을 가지는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 그림은 실제 개발된 시스템의 시연을 보이고 있는 모습이다.
  • 그러나 점자책도 정보의 홍수인 현대사회의 정보를 모두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결함을 가지는 사람을 위한 문자 인식후 소리로 들려주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한다.
  • 이러한 상황에서 신체적 결함 및 장애를 보완하여 정보 활용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정보통신 제품은 장애인들에게 필수적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개발한 문서-음성 변환 시스템에 대해 분석 및 설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단점을 살펴보고자 한다.〔1〕
  • 또한, 문자 추출 및 인식 과정을 거쳐서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합성 기술은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제품으로 보이스 텍스트, 매직보잇, 나랏소리, 음성마법사를들 수 있으며, 국외 제품으로 Emacspeak, Festival, VoiceText 등의 오픈 프로젝트 제품들이 있다, 〔4, 5, 6, 10, 11〕이에 본 연구에서도 문자-음성 변환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을 위한 분석 설계 및 구축을 단계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