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8세기 하이힐 디자인의 특성 및 연대추정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 Analysis and Dating Guidance of European High Heeled Shoes Design in the 18th Century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0 no.2, 2008년, pp.128 - 137  

김선아 (혜천대학 코디네이션디자인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analysis and to date guidance of European high heeled shoes in 18th centu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tylistic analysis of high heeled shoes from literature review and museums resource. 14 comparative study on shoe objects dating f...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권현주 (2000) 동서양 신발의 비교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3(2), 135-153 

  2. 김명웅 (2004) "신발의 역사". 선진문화사, 서울, pp.17-18 

  3. 김민자.최현숙.이현주 (2001) 서양신발의 사적 고찰과 미적 가치 I. 복식 51(5), 157-173 

  4. 김선아 (2005) "슈즈디자인개론", 디자인뱅크, 서울, pp.85-111 

  5. 박찬부 (1986) 구약성서에 나타난 히브리인의 복식: 두식, 신발 및 장신구 중심으로, 복식, 10, 63-80 

  6. 이현주 (2000) 에로티시즘을 반영한 하이힐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최경화 (1992) 서양 신발의 유형별 발달 과정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패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한지수 (1998) 피혁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구두디자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Ashelford, J. (2000) "The Art of Dress: Clothes and Society 1500-1914". National Trust, London, pp.122-133 

  11. Boccardi, L. (1993) "Party Shoes: Twelve Century.Histories of Fashion". Zanfi Editori, Modena, pp.18-24 

  12. Bossan, M. (2004) "The art of the Shoes". Parkstone Press, New York 

  13. Cunnington, C. (1972) "The Hand Book of English Costume in the 18th Century". Plays, Boston, pp.173-175 

  14. Girotti, E. (1986) "Footwear". Raincast Books, Vancouver, pp.18-29 

  15. Kim, S. (1997) The conservation treatment, scientific analysis and dating of a pair of unidentified period shoes in the author's collection. Unpublished Thesis, F.I.T. a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6. Laurie, Lawlor (2000) "신발의 역사". (임자경 역). 이지북, 서울, pp.91-92. (원저 1996 출판) 

  17. Liu, A and M. Rotmman (1986) "Shoes Time". Arbor House, New York, pp.20-25 

  18. McDowell, C. (1989) "Shoes: Fashion & Fantasy". Thames and Hudson, London, p.48 

  19. O'Keefe, L. (1996) "Shoes: A Celebration of Pumps, Sandals, Slippers & More". Workman Publishing, New York, pp.80-85 

  20. Rossi, W. (1989) "The Sex Life of the Foot & Shoe". Wordsworth Editions, Hertfordshire, pp.125-132 

  21. Severn, B. (1964) "If the Shoe Fits". David McKay, New York, pp.52-53 

  22. Swan, J. (1982) "Shoes". Dram Book, New York, pp.15-32 

  23. Trasko, M. (1989) "Heavenly Soloes: Extraordinary Twentieth- Century Shoes". Abbeville Press, New York, pp.12-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