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곧은 나무이끼의 전초에서 물질을 분리 및 동정하기 위해 곧은 나무이끼의 MeOH 추출물을 $CHCl_3$, EtOAc 및 BuOH로 용매 분획하였다. $CHCl_3$ 분획으로부터 2-chromenone(coumarin)을 분리 하였고 EtOAc 분획에서 3,4-dihydroxy-cinnamic acid (caffeic acid), 3,3',4',5,7-pentahydroxy-2-phenyl-chromen-4-one (quercetin)과 kaemperol-3-O-${\beta}$-D-glucopyranoside(astragalin)을 분리하였다. BuOH 분획으로부터 3-[[3-(3,4-Dihydr oxyphenyi)-1-oxo-2-propenyl]oxy]-1,4,5-trihydroxycyclohexanecarboxylic acid(chlorogenic acid)와 quercetin-3-O-rutinoside(rutin)를 분리하여 IR, UV, Mass, NMR과 이화학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를 규명하였다. 곧은 나무이끼에서 이 물질들이 분리된 것은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organic solvent extracts of liverwort led to the isolation of six compounds. 2-Chromenone (1), 3, 4-dihydroxy-cinnamic acid (2), 3, 3', 4', 5, 7-pentahydroxy-2-phenylchromen-4-one (3), kaemperol-3-O-${\beta}$-D-glucopyranoside (4), 3-[[3-(3,4-Dihydroxyp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국내에서 자생하는 Climacium 선류에 대한 식물 화학적 성분 연구는 아직 수행된 바가 없다 저자 등은 국내에 자생하는 나무이끼속 식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던 중에 곧은 나무이끼에 대한 식물화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곧은 나무이끼의 성분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건조된 곧은 나무 이끼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과 반복적인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6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여 이화학적 성상 및 기기분석 자료를 통해 그 구조를 규명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ung, H. W., Choi, J. Y., Lee, J. G., Choi, E, H., Oh, J. S., Kim, D. C., Kim. J. A., Park , S. H., Son, J. K. and Lee, S. H. (1978) Isolation of melanogenesis inhibitors from Cinnamomi Cortex. Kor. J. Phamacogn. 38, 382-386 

  2. Min, B. S. (2006) Coumarins and polyacetylene from the roots of Angelica purpuraefolia. Nat. Prod. Sci. 12, 129-133 

  3. Lee, S. H., Kang, S. S. and Shin, K. H. (2002) Coumarins and pyrimidine from Angelica gigas roots. Nat. Prod. Sci. 8, 58-61 

  4. Moon, H. I. and Zee, O. P. (1999) Anticancer compounds of Plantago asiatica L. Kor. J. Medicinal Crop Sci. 7, 143-146 

  5. Mukherjee, K. K., Mitra, S. K. and Ganguly, S. N. (1998) A new Coumarin from the seeds of Jute Corchorus olitorius L. Nat. Prod. Sci. 4, 51-52 

  6. Jang, C. H., Eun, J. S., Lim, J. P., Park, H. W., Kim, J. W., Shin, T. Y., Eom, D. O., Baek, N. I. and Kim, D. K. (2003) Phytochemical components from the whole plants of Bothriospermum tenellum. Kor. J. Phamacogn. 34, 119-122 

  7. Kwon, Y. S., In, K. K. and Kim, C. M. (2000)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Ostericum koreanum. Kor. J. Phamacogn. 31, 284-287 

  8. Lee, M. W. (2002) Phenolic compound from Lepisorus thunbergianus. Kor. J. Phamacogn. 31, 284-287 

  9. Park, S. S. (1973) Studies on polyphenols in higher plants (II). Kor. J. Phamacogn. 4, 67-70 

  10. Kim, T. H. (1975) Studies on unutilized plant resources (I) components of wild edible plants. Kor. J. Phamacogn. 6, 23-27 

  11. Park, J. C., Park, J. G., Hur, J. S., Choi, M. R., Yoo, E. J., Kim, S. H., Son, J. C. and Kim, M. S. (2004)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 phenolic acids and favonoids from the leaves of Eucalyptus darylmpleana against 1, 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Nat. Prod. Sci 10, 244-247 

  12. Huong, D. T., Dat, N. T., Cai, X. F. and Shen, G. (2004) Phenolic components from the leaves and twinges of Rhamnus taquetii. Kor. J. Pharmacogn. 35, 139-142 

  13. Lee, E. H., Kim, H. J., Song, Y. S., Jin, C. B., Lee, K. T., Cho, J. S. and Lee, Y. S. (2003) Constituents of the stems and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saboten. Arch. Pharm. Res. 26, 1018-1023 

  14. Lee, M. S., Lim, S. C. and Park, H. J. (1994) Phthalate ester and flavonoids isolated from leaves of Erythronium japonicum. Kor. J. Medicinal Crop Sci. 2, 67-72 

  15. Won, H. M., Kwon, Y.S., Lee, J. H. and Kim C. M. (2004)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Weigela subsesillis. Kor. J. Phamacogn. 35, 1-5 

  16. Kim, D.K., Kwak, J. H., Song, K. W., Kwon, H. C., Zee, O. P. and Lee, K. R. (1996)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Aconitum pseudolaeverectum Var. Kor. J. Phamacogn. 27, 75-79 

  17. Kim, M. J., Kwon, Y. S. and Yu, C. Y. (2005) Antioxidative compounds in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Kor. J. Medicinal Crop Sci. 13, 194-198 

  18. Lee, M. W. (1998) Phenolic compound from Lepisorus thunbergianus. Kor. J. Phamacogn. 29, 142-144 

  19. Chung, D. K., Kim, T. H. and Lee YR (1978) The chemical screening of Caryophyllaceae Plants. Kor. J. Phamacogn. 9, 83-88 

  20. Park, S. S. and Jung, S. H.(1975) Studies on polyphenols in higher plants (IV). Kor. J. Phamacogn. 6, 93-99 

  21. Agrawal, P. K. (1989) Carbon-13 NMR of flavonoids, 335-337 Elsevier 

  22. Nam, J. H., Choi, S. Z. and Lee, K. R. (2004).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ynurus excelsus. Kor. J. Phamacogn. 35, 116-1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