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H형강 합성보의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Study on the Fire Behaviour of Composite Beam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H형강과 콘크리트 슬래브가 전단연결재로 일체화된 합성보의 화재 시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 합성율과 재하율의 영향을 내화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체는 H형강에 스터드 커넥터를 전단연결재로 사용하여 제작한 6개로 구성되며, 화재거동에 대한 전열특성을 열전대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은 표준화재곡선에 의해 진행하였으며, 건설기술연구원 화재시험실에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합성율과 재하율에 따른 합성보의 내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화재에 의한 보형강과 콘크리트, 전단연결재의 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in-fire performance of composite beam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load ratio and shear interaction. Under a Standard ISO834 fire, the development of temperature and deflection of simply supported composite beams were recorded. In particular, the transition of temperature distribution across the cross-section. The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eam was interpreted regarding the level of shear interaction.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H형강 합성보에 대해 합성율과 재하율에 따른 내화시간과 열전대의 온도분포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형강 합성보에 대해 합성율과 재하율에 따른 내화시간과 열전대의 온도분포를 평가하였다. 특히 합성율에 영향을 미치는 스터드 커넥터의 온도를 확인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나, 합성율과 재하율의 범위가 한정되어 추가적인 실험을 통한 충분한 자료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와 철골 보로 구성된 합성보에 대해 화재조건에서 합성율과 재하율에 따른 합성보와 전단연결재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반면 합성보 및 합성구조에 대한 내화성능평가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와 철골 보로 구성된 합성보에 대해 화재조건에서 합성율과 재하율에 따른 합성보와 전단연결재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6)

  1. 1. 천성철, 주영광, 정광량, 김상대, "비대칭 유공 합성 보 iTECH beam의 휨성능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Vol.18, No.4, pp.67-74(2002) 
  2. 2. 김상섭, 김상모, 김성배, 서동기, 김규석, "단순지지 T 형 합성보의 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Vol.16, No.2, pp.225-233(2004) 
  3. 3. 허병욱, 배규웅, 문태섭, "매입형(슬림플로어) 합성보 의 휨성능 평가-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와 비대칭 H 형강 철골보",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Vol.16, No.2, pp.235-245(2004) 
  4. 4. (사)한국복합화건축기술협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1차 기술세미나, 후분양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공기단 축 복합화공법"(2007) 
  5. 5. 홍원기, 박선치, 이경훈, 김점한, 이호찬, 황윤하, "친 환경 층고 절감형 합성보의 시공 Process 및 시공사 례",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7, No.6 (2007) 
  6. 6. 대한건축학회, "건설교통부 고시, 건축구조설계기준" (2005) 
  7. 7. D.L. Mullett, "Composite Floor Systems", Blackwell Science(1998) 
  8. 8. Deric J. Oehlers, Mark A. Bradford, "Elementary Behaviour of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Structural Members", Butterworth-Heinemann(1999) 
  9. 9. 한국표준협회, "KS F 2848 - 단면 형상 계수에 따른 구조용 강재의 내화 피복 두께 산정 방법"(2005) 
  10. 10. 건교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건설교통부령 제563호(2007) 
  11.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물 성능기반화재거동 해석 및 설계기술연구(I)"(2007) 
  12. 12. 한상훈, 최승관, 김희주, "비대칭 H형강을 사용한 슬 림플로어 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19, No.4, pp.235-246(2006) 
  13. 13. 이승재, 강성덕, 오명호, 김명한, 김상대, "SC 합성기 둥의 내화성능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19, No.4, pp.425-434(2007) 
  14. 14. 최승관, 김성배, "TSC 합성보의 화재 시 거동 및 전 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철근 보강과 하중비에 의한 내화성능의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Vol.24, No.1, pp.27-35(2008) 
  15. 15. S.K. Choi, I.W. Burgess and R.J. Plank, "Performance in Fire of Long-Span Composite Truss Systems", Engineering Structures, in press 
  16. 16. 한국표준협회, "KS F 2257 - 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 법"(2005)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