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1 no.2, 2008년, pp.216 - 227  

최광순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김세원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김동섭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허우명 (강원대학교 건설공학부) ,  이윤경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황인서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이한진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관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을 이해하고자 기수역내 7개 지점을 선정하여 2005년과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질 및 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조사와 오염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화호 기수역의 영양염류와 엽록소 $\alpha$(Chl-$\alpha$)및 유기물의 농도분포는 시공간적으로 변동이 컸으며, 전반적으로 염분성층이 강하게 형성되는 중류지점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 TN, TP, Chl-$\alpha$ 농도는 각각 $1.2{\sim}11.0\;mg\;L^{-1}$, $0.056{\sim}2.992\;mg\;L^{-1}$, $1.3{\sim}942.9\;{\mu}g\;L^{-1}$으로 대부분 지점에서 부영양 또는 과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기수역의 부영양화지수(TSI) $61{\sim}86$의 범위로 과영양호 수준을 보였으며, 중류지점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기수역의 식물플랑크톤의 대량증식 현상은 매년 4월에 중류지점에서 나타났으며, 영양염류와 Chl. $\alpha$ 농도 사이의 상관분석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은 TN (r=0.31)보다 TP (r=0.65)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수역의 표층퇴적물 내 COD 함량은 전 지점에서 중간오염의 수준을 보였지만, TN과 TP 함량은 중하류지점에서 오염이 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층퇴적물의 입도분포로부터 연안성퇴적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실트의 조성비 ($38{\sim}60%$)가 중류지점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이 지점에서 염분성층과 퇴적현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수질 및 표층퇴적물의 오염도는 타 수역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은 자연적인 기수역에 비해 강하게 형성된 염분성층에 의한 물의 정체현상 및 심층산소고갈 현상과 유역으로부터 많은 양의 인 유입과 퇴적물로부터 인 용출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eutrophication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pollutants in water and sediment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to October in 2005 and 2006. Also, pollution levels of water and sediment were estimated by trop...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김동섭, 고석구. 2000. 시화호의 수환경 진단과 수질회복 평가. 한국수자원학회지 33(5): 551-559 

  2. 박용철, 박준건, 한명우, 손승규, 김문구, 허성회. 1997. 시화호 산화- 환원 환경하에 용존 무, 무기 화합물의 생지화학적 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2(2): 53-68 

  3. 신재기. 2003. 평택호에서 수환경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동 태. 한국조류학회지 18: 145-156 

  4. 신재기, 김동섭, 조경제. 2000. 시화호에서 해수유입 전?후의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9(2): 109-117 

  5. 최광순, 김세원, 김동섭, 오영택, 허우명, 이윤경, 박용순. 2008. 해수유통이 제한된 시화호 기수역에서 염분도, 수온, 용존 산소, 탁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하천호수학회지41(2): 216-227 

  6. 최중기, 이은희, 노재훈, 허성회. 1997. 시화호와 주변 해역 식 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일차 생산력에 관한 연구. 한국해 양학회지(바다) 2(2): 78-86 

  7. 한국수자원공사. 1996. 시화호 수질개선 종합관리대책 기본계 획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8. 한국해양연구소. 1997. 시화호의 환경변화조사 및 보전대책 수 립에 관한 연구(1차년도). 과학기술처 

  9. 한국해양연구소. 1998. 시화호의 환경변화조사 및 보전대책 수 립에 관한 연구(2차년도). 과학기술처 

  10. 해양수산부. 2002. 해양환경공정시험법. 해양수산부 

  11. 해양수산부. 2005.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연구용역. 해양수산부 

  12. 해양수산부. 2006.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연구용역. 해양수산부 

  13. 허성회, 오임상. 1997. 인공호수 시화호와 주변해역의 생태계 연구: 서문. 한국해양학회지(바다) 2(2): 69-77 

  14. 허우명, 김범철, 전만식. 1999. 동해한 석호의 부영양화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2(2): 141-151 

  15. 환경부. 1999. 수질공정시험법. 환경부 

  16. 汽水域の河川環境の捉え方に?する?討會. 2004. 汽水域 の河川環境の捉え方に?する手引書 

  17. APHA. 2001.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8. Canfield, T.J., F.J. Dwyer, J.F. Fairchild, P.S. Haverland, C.G. Ingersoll, N.E. Kemble, D.R. Mount, T.W. La Point, G.A. Burton and M.C. Swift. 1996. Assessing contamination in Great Lakes sediments using benthic invertebrate communities and the sediment quality triad approach. J. Great Lakes Res. 22: 565-583 

  19.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 361-369 

  20. Choi, K., S.W. Kim, Y.T. Oh and D.S. Kim. 2007. Distribution and origin of organic matter in the brackish region of Lake Sihwa, Kore. Proceeding of the 13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River and Environment (Jeju, Korea).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and the Korean Association Biologial Science 

  21. Forsberg, C. and S.O. Ryding. 1980. Eutrophic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 receiving lakes. Arch fur Hydrobiol. 89: 189-207 

  22. Gray, J.S., R.S.S. Wu and Y.Y. Or. 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 Ecol. Prog. Ser. 238: 249-279 

  23.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 Hill College 

  24. Kennish, M.J. 2000. Estuary Restoration and Maintenance. CRE Press, Florida 

  25. Kramer, K.J., U.H. Brockmann and R.M. Warwick. 1994. Tidal estuaries: manual of sampling and analytical procedures. AA Balkema, Rotterdam 

  26. McLusky, D.S. and M. Elliott. 2004. The Estuarine Ecosystem ecology, threats, and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7. Nixon, S.W. 1990. Marine eutrophication: a growing international problem. Ambio 19: 101 

  28. Orive, E., M. Elliott and V.N. de Jonge. 2002. Nutrients and eutrophication in estuaries and coastal water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29. Tsutsumi, H. 2006. Critical events in the Ariake Bay ecosystem: Clam population collapse, red tides, and hypoxic bottom water. Plankton Bethos Res. 1(1): 3-25 

  30. Ueda, N., H. Tsutsumi, M. Yamada, K. Hanamoto and S. Montani. 2000. Impact of oxygen-deficient water on the macrobethic animals in the innermost areas of Dokai Bay and on the mud flats adjacent to the bay, in Kitakyushu, Japan. Mar. Pollut. Bull. 40: 906-913 

  31. US EPA. 1976. Water quality criteria research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600 (3-76-079) 

  32. US EPA. 1993. Questions and Answers about Contaminated Sediments, EPA 823-F-93-009.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33. Van Rijn, L.C. 1993. Principles of sediment transport in rivers, estuaries, and coastal seas. Aqua Publications, Amsterdam, The Netherlands 

  34. Wetzel, R.G. 2001. Limnology. 3th ed., Academic Press, New York 

  35. www. kma.go.kr. 2006. 인천, 수원 강우량자료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