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옻골마을 비보경관의 환경생태적 의미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eaning of Bibo Landscape in Otgol Villag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2, 2008년, pp.32 - 41  

장병관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황보철 ((주)디자인그룹 유스테이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비보 못과 비보 숲의 형태가 남아있는 대구광역시 소재 경주 최씨의 씨족마을인 옻골마을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조사를 하여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비보경관인 비보연못, 비보숲 그리고 마을수계를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지에 현재 남아 있는 비보경관에 대해 풍수지리적으로 서술하고 이것에 대한 환경생태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환경생태적 의미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로서 삶의 질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지속적인 수계기능의 활성화를 규명하고자 수질을 측정했다. 즉 선비의 상징 및 휴식공간이 있는 동계, 생활주거공간인 서계, 이 두 계곡의 물이 합쳐지는 비보연못 그리고 연못에서 머문 후 마을 밖으로 흐르는 개울의 수질을 측정했다. 둘째, 마을의 안과 밖을 경계하는 비보숲의 미기후에 대한 기능을 평가하고자 했다. 즉 숲을 중심으로 각각 200m 떨어진 지점에 각 지점별 2개의 온도기를 설치하여 시간대별로 기온을 측정했다. 셋째, 건전한 생태계를 지속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측정했다. 즉 경관생태지표를 선정하여 측정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보연못은 수질정화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동계정, 정려각 등 조경공간의 기능이 배치되어 있는 동계는 암벽과 계류 등 경관이 빼어나 주로 남성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었던 것에 비하여 주거공간이 많은 서계는 빨래 등 여성들의 활동에 필요한 공간으로 사용된 것으로 수질의 차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둘째, 비보숲의 경우는 그 목적인 방풍과 온도저감을 기대하기는 적합하지 않는 소규모의 마을숲으로 다만 마을의 영역을 구분하는 기능을 한다고 해석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경관생태지표를 통한 생태적 건전성은 양호하며 보통의 전통농촌마을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녹지연결측면에서 본다면 마을 경계녹지와 마을숲의 연결은 매우 양호하다. 특히 훼손된 마을숲을 잘 복원한다면 생물서식환경의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를 고찰해보면, 전통마을공간은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인 통합체로 공존하는 환경생태학적 사고를 바탕에 둔 풍수지리사상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환경생태적 방법으로 볼 때, 풍수지리사상 중 비보사상에 의해 조성된 비보못과 비보숲의 의미는 지속 가능한 마을을 조성하는 중요 요소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수공간은 물의 순환체계를 원활하게 해주어 수질정화와 수량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숲은 마을을 위요시켜주면서 미기후를 조성하게 해주어서 겨울과 여름철의 기온차와 습도차를 줄어줄 것이다. 하지만, 숲의 규모가 작고 훼손이 심한 경우 상징적인 영역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전체 녹지체계와 식생구성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종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연결녹지로서 기여할 것이다. 옻골마을은 마을형국을 보다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비보경관을 조성했다. 즉 땅의 생태질서를 최대한 유지하고 그것에 대한 점진적 이해를 바탕으로 조정된 마을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통마을계획방법은 유기적이고 환경생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생태학에서 보는 전통마을은 객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대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mpirical study an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Otgol Village(a village of the Gyeongju Choi's clan in Daegu) where an enclosed pond and groves are still observed. In particular, the enclosed pond and groves and village water system were investigated from an ecolog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다. 그 다음에 연구대상지에 현재 남아 있는 비보경관에 대해 풍수지리적으로 서술하고 이것에 대한 환경생태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환경생태적 의미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본연구는 실증적 연구로서 삶의 질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자 한다.
  • 즉 선비의 상징 및 휴식공간이 있는 동계, 생활주거공간인 서계, 이 두 계곡의 물이 합쳐지는 비보 연못 그리고 연못에서 머문 후 마을 밖으로 흐르는 개울의 수질을 측정했다. 둘째, 마을의 안과 밖을 경계하는 비보 숲의 미기후에 대한 기능을 평가하고자 했다. 본 대상지의 비보 숲은 비보 못 조성과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그 규모가 크지는 않다 조사는 비보숲 속의 두 지점과 숲의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의 거리인 숲에서부터 약 200m 떨어진 마을 안쪽 두 지점 그리고 숲 밖 200m 떨어진 마을 바깥 두 지점을 선정하여 7월 27일 10시부터 2시간 간격으로 한차례 기온을 측정하였다 측정지점은 그림 1 옻골마을 현황도에 붉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셋째,건전한 생태계를 지속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측정했다 즉 경관생 태지표를 선정하여 측정했다.
  • 또한 최근 현대적 의미에서의 생태적 규범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통마을에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지속성의 윈칙 여부를 파악하고자 노력했다(신상섭, 2005). 연구는 우리 선조들의 오랜 세월 자연과 순응하며 발전시켜온 생태환경계획 방법을 도출하여 생태마을이나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계획적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옻골마을의 경우, 녹지의 분포는 마을의 영역을 3등분으로 구분할때, 윗조각과 아랫조각 전체가 녹지로 구성되어 있어서 동식물의 분포와 생태적 건전성은 양호할 것으로 추측된다 경관 생태학 측면으로 볼 때, 조각모양의 규칙성과 불규칙성은 특히 생물의 반응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그것에 관여하는 지표를 측정하여 판단하고자 했다. 또한, 서식처 적합성, 포식 위험과 미기후과정은 불규칙한 조각의 직접적인 결과를 나타내며, 이는 어떤 생물종의 생존과 분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측정한 경관생태지표는 유역을 경관단위로 한 것으로 아래와 같다(그림 8 참조).
  • 비보는 처음에는 풍수와는 별개의 개념으로 여러 마을로 전파되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풍수와 병행하여 비보풍수라 하여 2개의 개념이 합치게 된다 마을의 입지는 수구가 막힌 곳이 좋은데 그렇지 못한 곳은 수구막이라 하여 비보 숲이나 조산 비보 못 등을 조성하여 마을의 수구가 공결한 것을 보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마을의 경관보완 방법이 현대의 환경생태적 관점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현재 비보 못과 비보 숲의 형태가 남아있는 대구광역시 소재 경주 최씨의 씨족마을인 옻골마을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조사를 하여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비보경관인비보연못, 비보숲 그리고 마을수계를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 규명하고자 한다.
  • 전통마을의 주거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풍수지리와 비보 경관의 경관과 조성방법에 대한 개념을 먼저 소개하고자 한다. 그 다음에 연구대상지에 현재 남아 있는 비보경관에 대해 풍수지리적으로 서술하고 이것에 대한 환경생태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신장성은 E=w/Z로서 w는 해당 경관단위의 폭이고, / 은 길이이다. 신장화는 1에 가까울수록 경관단위의 형태로 판단하는 생태적 건전성은 높은 것으로 판정된다(Forman, R.
  • 3) 굴곡(屈曲)성은 경계부에 많다. 경계면 굴곡성의 정도가 심할수록 바탕과의 물질 흐름과 이동의 기회가 증대된다 이것은 만입(灣入)부 효과라 한다 이곳의 굴곡성은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권세영(1997) 옻골 경주최씨 씨족마을의 공간구성과 주거의 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병주, 이상해(2006) 풍수와 한국 전통마을에 대한 생태적 해석: 경기 이천시 백사면 도니피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6): 19-30 

  3. 김지환(2005) 비봉형국 보완을 위한 비보풍수.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학범, 장동수(1994) 마을숲. 서울: 열화당 

  5. 대구광역시(1996) 옻골 거대도시 속의 씨족마을. 대구광역시 

  6. 신상섭(2007)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 찾기. 서울: 대가출판사 

  7. 이도원(2004)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 북스 

  8. 이옥기, 박명덕(1989) 동족부락 옻골마을과 백불고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3): 105-113 

  9. 정격숙(2002) 마을 숲의 환경 조절 효과분석 

  10. 최원석(2000) 영남지방의 비보.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최원석(2001) 영남지방의 비보 읍수에 관한 연구. 문화역사지리 13(2): 103-117 

  12. 최원석(2003) 영남지방 비보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일고찰. 문화역사지리 15(1): 48-64 

  13. 최재운, 배영희(2004) 초시대 풍수지리. 서울: 민속원 

  14. 최창조(1984) 한국의 풍수사상. 서울: 민음사 

  15. 한필원(1993) 자연주의 건축계획방법의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7): 25-37 

  16. 한필원(1996) 전통마을의 환경생태학적 해석: 경북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원터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7): 121-133 

  17. 환경부(2004) 사전환경성검토 업무편람. 환경부 

  18. 황보철(2005) 한국적 생태마을계획을 위한 경관지표의 활용.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Ingegnoli, V.(2002) Landscape ecology: a widening foundation. Berlin: Springer 

  21. Marsh, W. M.(1998) Landscape plann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22. Sargent, F. O., P. Lusk, J. A. Rivera and M. Varela(1991) Rural environmental planning for sustainable communities, Island Press 

  23. Turner, M. G., R. H. Gardner and R. V. O' Neill(2001) Landscape ecology in theory and practice. Springer-Verlag 

  24. Zonneveld, I. S.(1995) Land ecology. Amsterdam: SPB Academic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