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건물추출과 상부구조물 특성분석 및 모델링
Utilizing Airborne LiDAR Data for Building Extraction and Superstructure Analysis for Model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6 no.3, 2008년, pp.227 - 239  

정형섭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지구시스템과학과) ,  임새봄 (세종대학교 대학원 지구정보공학과) ,  이동천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지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공 레이저 스캐닝(ALS)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LiDAR 데이터를 미용하여 3차원 객체 모델링과 지형도 제작을 위해서는 데이터의 기하학적 및 의미적인 분할과 같은 체계적인 데이터 처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ALS로 부터 활용 가능한 LiDAR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GPS, INS 및 레이저 스캐너 데이터의 통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추출과 지붕 구조물 분할을 위해서 LiDAR 데이터를 영상화하여 디지털 영상처리 기법을 적용하였다. 영상화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주요 장점 중 하나는 기존의 다양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격자화 및 정량화를 거치는 영상화 과정에서 원시 LiDAR 데이터가 한정된 밝기값으로 변환되므로 평활화 및 상세 정보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지만. 평활화된 데이터는 표면분할과 모델링에 오히려 적합하다. 건물의 경계선은 윤곽선 추출 연산자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추출하였으며, 건물 모양에 적합하도록 규격화하였다. 건물 지붕의 구조물의 분할은 영역확산을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이 결과 다양한 디지털 영상처리 기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건물추출과 지붕 구조물의 면분할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지붕의 형태를 재현하기 위한 특성정보 추출에 관한 개념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붕 데이터를 분할하고 모델링을 위해 통계적 및 기하적 특성을 이용하였으며. 제안한 방법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지붕면을 분할하고 모델링하는데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cessing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obtained from ALS (Airborne Laser Scanning) systems mainly involves organization and segmentation of the data for 3D object modeling and mapping purposes. The ALS systems are viable and becoming more mature technology in various applications. ALS t...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김성삼, 구신회, 김원석, 유환희 (2006), LIDAR 자료를 이용한 수치지도 건물레이어 갱신,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6년 4월, pp. 411-417 

  2. 문지영, 이임평, 유병민 (2005), LiDAR 데이터와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표면의 분할,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5년 4월, pp. 267-274 

  3. 송낙현, 신성웅, 조홍범, 조우석 (2007),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옥트리 분할 기반의 지붕요소 자동추출, 한국측량학회지, 25권, 4호, pp. 327-336 

  4. 이동천, 염재홍 (2005),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의 건물 및 등고선 레이어 생성, 한국측량학회지, 23권, 3호, pp.313-322 

  5. 이동천, 정형섭, 임새봄, 염재홍 (2008), 디지털 영상처리 기법에 의한 LiDAR 표고 영상으로부터의 건물추출 및 지붕 상부구조물 분할,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8년 4월, pp. 129-132 

  6. 이정호,한수희,변영기,유기윤(2007),라이다 분할포인트로부터 복잡한 건물의 외곽선 추출 기법,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7년 4월, pp. 153-156 

  7. Ayman, H. and Kim, C. (2006), LIDAR-Aided True Orthophoto and DBM Generation System: in Innovations in 3D Geo-Information Systems, Abdul-Rahman, A., Zlatanova, S. and Coors, V. (editor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pp. 47-65 

  8. Ballad, D. and Brown, C. (1982), Computer Vision,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237-258 

  9. Bovik, A. (2005), Handbook of Image and Video Processing,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pp. 555-586 

  10. Chilton, T., Jaafar, J. and Priestnall, G. (1999), The Use of Laser Scanner Data for the Extraction of Building Roof Detail Using Standard Elevation Derived Parameter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Vol. 32, Part 3W14, pp. 137-143 

  11. Csatho, B., Boyer, K. and Filin, S. (1999), Segmentation of Laser Surface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Vol. 32, Part 3W14, pp. 73-80 

  12. Elaksher, A. and Bethel, J. (2002), Reconstructing 3D Buildings from LIDAR Data, Proceedings of Photogrammetric Computer Vision, ISPRS Commission III, Symposium 2002, September, 2002, Graz, Austria, pp. 102-107 

  13. Fabio P., Dell'Acuqa, F., Lisini, G. and Gisotta, F. (2006), Improving Building Footprints in InSAR Data by Comparison with a Lidar DSM, PE & RS, Vol. 72, No.1, pp. 63-70 

  14. Jain, R. Kasturi, R. and Schunck, B. (1995), Machine Vision, McGraw Hill, New York, NY, pp. 186-233 

  15. Jahne, B. and HauBecker, H. (2000), Computer Vision and Applications: A Guide for Students and Practitioners, Academic Press, New York, NY, pp. 439-458 

  16. Kraus, K. (2002), Principles of airborne laser scanning, Journal of the Swedish Society for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Vol. 1, pp. 53-56 

  17. Hamming, R. (1983), Digital Filters, 2nd ed.,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pp. 1-18 

  18. Hornberg, A. (2006), Handbook of Machine Vision, Wiley-VCH, Weinheim, Germany, pp. 587-612 

  19. Lanser, S. and Eckstein, W. (1992), A Modification of Deriche's Approach to Edge Detection, 11th IAP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Conference C: Image, Speech, and Signal Analysis, http://citeseer.ist.psu.edu/ 522604.html 

  20. Lee, D.C., Jung, H.S. and Yom, J.H. (2007a), 3D Building Reconstruction and Visualization by Clustering Airborne LiDAR Data and Roof Shape Analysis, Korean Journal of Geomatics, Vol. 25, No. 6-1, pp. 507-516 

  21. Lee, D.C., Jung, H.S., Yom, J.H., Lim, S.B. and Kim, J.H. (2007b), Automatic Generation of Building Footprints from Airborne LIDAR Data,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2007, October 2007, Jeju, Korea, Unpaged CD-ROM 

  22. Lee, D.H., Lee, K.M. and Lee, S.U. (2008), Fusion of Lidar and Imagery for Reliable Building Extraction, PE & RS, Vol. 74, No. 2, pp. 215-225 

  23. Lee, I. and Schenk, T. (2001), Autonomous Extraction of Planar Surfaces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ASPRS Annual Conference, St. Louis, MO, USA, unpaged Proceedings 

  24. Maune, D. (2007), Digital Elevation Model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The DEM Users Manual, 2nd ed., ASPRS, Bethesda, M.D., pp. 199-252 

  25. Moon, J. and Lee, I. (2007), A Region Based Approach to Surface Segmentation Using LIDAR Data and Images, Korean Journal of Geomatics, Vol. 25, No. 6-1, pp. 575-583 

  26. Rottensteiner, F. and Jansa, J. (2002), Automatic Extraction of Building from LIDAR Data and Aerial Image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34, Part 4, pp. 295-301 

  27. Sapiro, G. (2006), Geometr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nd Image Analysis, Cambrie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pp. 221-284 

  28. Sohn, G., Jaw, Y., Tao, V. and Cho, W. (2007), Geometric Regularization of Irregular Building Polygons: A Comparative Study, Korean Journal of Geomatics, Vol. 25, No. 6-1, pp. 545-5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