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에서 삽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of Sedum sarmentosum as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in Cultivation System Using a Rice Nursery Tra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3 no.2, 2008년, pp.196 - 202  

김효진 (호남농업 연구소) ,  이승엽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30{\times}60{\times}3\;cm$)를 이용한 고품질 돌나물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완주 및 금산지역종을 재료로 육모상자당 40, 60, 80개체씩 9월7일에 삽식한 다음, 월동전후 두 지역종간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삽식후 60일째에 초장과 줄기수는 삽식밀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지역종의 잎장과 식물체 당 곁가지 수는 40개체보다 80개체 밀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월동후 1차 수확시(4월 20일), 금산 지역종의 생육은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 지역종의 줄기직경, 줄기당 마디수와 잎수 등은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두 계통 모두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지역종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차 수확시(6월 5일)의 생육은 두 지역종 모두 총 줄기수에서만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금산 지역종에서 40개체 삽십보다 60개체 삽식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완주 지역종의 건물중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완주 지역종은 줄기가 두껍고 마디가 짧으며, 잎이 크고 웃자라지 않아, 수량성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따라서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시 완주 지역종이 금산 지역종보다 적합하였으며, 재식밀도는 상자당 40개체가 적당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ablish a cultivation system of Sedum sarmentosum using a rice nursery tray ($30{\times}60{\times}3\;cm$) in non-heating plastic film house, cuttings of two local strains (Wanju and Keumsan) were prepared and planted at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40, 60 and 80 cuttings per tra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겨울철 고품질 돌나물 생산을 위하여, 농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수도용 육묘상자를 이용한 무 가온 하우스 내 돌나물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hn, J. H., S. S. Choe, J. H. Bae, and S. Y. Lee. 2007. Effects of cutting date and bedsoil on root and shoot growth in autumn cutting of Sedum sarmentosum. J Bio-Environ Control 16 : 240-246 

  2. Ahn, S. Y. and J. H. Kim. 2005. Development of technique for early-production of wild vegetables. In: Annual Report of Kangwondo Agricultural and Extension Services. Wild vegetable experiment station, KAES, RDA. Chuncheon, pp. 647-651 

  3. Choi, B. J. 2002. Study for single-stemmed culture of cut roses. In: ARPC Report. Agricultural R&D Promotion Center. Seoul, 106p 

  4. Choi, I. H., S. S. Nam, and S. K. Bae. 2007. Annual Report of Mokp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Mokpo, (in press) 

  5. He, A. M., M. S. Wang, H. Y. Hao, D. C. Zhang, K. H. Lee, A. M. He, M. S. Wang, H. Y. Hao, D. C. Zhang, and K. H. Lee. 1998. Hepatoprotective triterpenes from Sedum sarmentosum. Phytochemistry 49 : 2607-2610 

  6. Kim, H. A., C. H. Hong, and H. S. Jeong. 2002. Studies of the components in Sedum sarmentosum Bunge as a materials of vegetable health beverag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8 : 55-69 

  7. Lee, S. Y., J. H. Ahn, and H. J. Kim. 2006. Factors affecting shoot multiplication and rooting from cutting and in vitro node culture of Sedum sarmentosum. Kor. J. Hort. Sci. Technol. 24 : 43-47 

  8. Lee, S. Y., J. H. Ahn, and H. J. Kim. 2004.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lowering by Nitrogen Levels in Sedum sarmentosum. Kor J Hort Sci Technol 22 : 426-430 

  9. Park, I. H. 1993. Studies on the shade adaptation of native ground cover plants, Disporum spp. and Sedum sarmentosu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 : 1001-1012 

  10. Park, Y. J., M. H. Kim, and S. J. Bae. 2002. Enhancement of anticarcinogenic effect by combination of Sedum sarmentosum Bunge with Platycodon grandiflorum A. extracts. Kor. Soc. Food Sci. Nutr. 31 : 136-142 

  11. Woo, E. R., S. H. Yoon, J. H. Kwak, H. J. Kim, and H. Park. 1997. Inhibition of gp 120-CD4 interaction by various plant extracts. Phytomedicine 4 : 53-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