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 EEZ 해역에서 바다모래 채굴에 민감한 해양수질인자들
Changes in The Sensitive Chemical Parameters of the Seawater in EEZ, Yellow Sea during and after the Sand Mining Operation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3 no.1, 2008년, pp.1 - 14  

양재삼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정용훈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지광희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 중부에 위치한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에서 이루어지는 바다모래 채굴로 인한 해양수질의 장단기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8회에 걸쳐 사방 약 30 km의 장방형 해역에 대한 광역적이고 종합적인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전체 대상 해역을 바다모래가 실제 채굴되는 구역과 잠재적인 영향 구역, 그리고 비교 구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pH, ORP, 수온, 염분 등과 같은 기본적인 항목과 함께 부유물질(SS), 영양염(질산염, 아질산염, 암모니움염, 인산염)과 엽록소-a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광역 정점 조사와 함께 바다모래가 채굴되는 선박에 근접하여 실제 부유물질 등이 확산되는 경로를 따라 표층, 중층, 저층에서 관측하는 집중 조사도 수행하였다. 광역 조사의 결과, 바다모래 채굴로 인하여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인자는 부유물질, 암모니움염, 질산염, 엽록소-a, ORP로 나타났다. 또한 채굴선박에 인접하여 발생한 현탁류를 따라 집중 조사한 결과, 주변해역의 평균농도보다 큰범위가 부유물질은 표층과 저층에서 남북방향으로 폭 8 km, 동서방향으로 폭 약 5 km를 가진 타원형 형태로 확산되었으며, 이에 비하여 인산염은 매우 좁은 범위 내에 한정되었다. 또한 암모니움염도 좁은 범위에 국한되었으나, 암모니움염의 확산방향에 연장하여 질산염의 높은 농도가 나타나고, 같은 위치에서 높은 N/P와 높은 엽록소-a 농도가 동반되었다. 지난 4년간의 광역조사와 집중조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사실은 바다모래 채굴의 영향을 일차적으로 민감하게 나타내는 수질인자는 부유물질, 암모니움염, 질산염 및 ORP이며, 이로 인한 이차적인 효과가 높은 N/P 비율과 높은 엽록소-a 로 감지되었다는 점이다. 이 중 부유물질과 ORP는 부이와 자동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다모래 채굴 해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매우 유용한 수질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 comprehensive oceanographic cruises on a squared $30{\times}30\;km$ area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short and long-term impacts on the water qualities due to the sand mining operations at Exclusive Economic Zone (EEZ) in the central Yellow Sea from 2004 to 2007. The area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단 서해 중부 EEZ 내에서 해수의 표층, 중층, 저층의 수질을 조사하는 광역적인 조사를 통해 조사 해역의 배경이 되는 해수 수질변화를 조사하고, 이와 함께 채굴선박 주변에서 혼탁류가 확산되어 가는 실질적인 과정을 추적하여 배경농도가 되는 자연적인 해양수질의 변화양상과 바다모래 채굴로 인한 해양 수질의 변화를 동시에 판단할 수 있는 해양수질 인자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조사 해역에서 바다모래 채굴로 인한 부유물질과 영양염의 확산 범위를 알아보고자 실제 바다모래 채굴 현장에서 시료를 얻었다. 시료는 2006년 4월에 ‘채굴구역’(2006.

가설 설정

  • 따라서 실제 해양조사 시기와 바다모래 채굴 작업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면 바다모래 채굴로 인한 조사결과는 비록 채굴지역의 바로 인접 정점이라 하더라도 채굴로 인한 영향이 민감하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실제 바다 모래 채굴 작업과 동시에 현장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시료 채집시 매 조사 시기마다 조류의 속도가 각각 다를 경우 바다모래 채굴의 영향 범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매 조사시에 현장에서 조류의 속도는 관측되지 않았으나, 각 조사 시기의 월령으로부터 상대적인 조류의 속도는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Table 1).
  • ORP의 경우 전 수층에서 ‘채굴구역’이 ‘비교구역’보다 더 낮은 값을 보였다(Table 5). 이러한 ORP의 분포는 두 구역간에 수심이나 저질의 구성 및 강물의 유입 등 별다른 환경적인 차이가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바다모래 채굴시 해저 퇴적물 내에 함유된 비교적 높은 농도의 유기물질이 해수로 방출되어 ORP의 소모를 유발했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채굴구역과 비교구역에서 평균 농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환경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채굴 선박에 근접한 ‘채굴구역’과 조사해역의 배경농도인 ‘비교구역’을 비교하여 평균 농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환경인자들만을 Table 5에 정리하였다. 단 한번이라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수질 인자들은 부유물질, 암모니움염, 질산염, 아질산염, ORP, 그리고 엽록소-a 이였다. 이를 수질인자 별로 다시 정리하면, 1.
바다모래 채굴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6%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조와 장, 2003). 바다모래 채굴량은 강모래의 채굴량 감소와 가격경쟁력 우위 등을 이유로 전체 골재 채굴량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장과 박, 2004). 지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바다모래채굴 허가량의 대부분인 99.
바다모래 채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일시적인 혼탁류는 생태계에 어떤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가? 이러한 바다 모래의 펌핑 과정 중 저층에서 재 부유된 퇴적물은 일시적으로 저층에서 혼탁류를 형성하여 조류를 따라 저층에서 이동하게 되고, 펌프 관을 통해 바지선상으로 이송된 바다모래는 바지선 양 옆으로 흘러넘치면서 표층에 부유혼탁물질을 공급하게 되며 이후 굵은 입자는 빨리 수중으로 침강하고, 미세한 입자는 조류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일시적인 혼탁류는 동식물플랑크톤, 어류, 저서 동물의 활동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바다 모래 채굴로 인한 저서동물군의 피해는 빠르게 회복될 수도있으나(McCaule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군산대학교 적조연구센터, 2004. 배타적 경제수역 내 골재 채취로 인한 해양환경영향조사 중간보고서 및 사후영향 조사 최종보고서. 239 pp. 

  2.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2005. 서해중부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바다골재 채취로 인한 사후영향 조사. 170 pp. 

  3.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2006. 서해중부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바다골재 채취로 인한 사후영향 조사 및 해역이용 협의서. 611 pp. 

  4.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2007. 서해중부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바다골재 채취로 인한 사후영향 조사 및 해역이용 협의서. 1. 사후영향 조사. 515 pp. 

  5. 김백운, 이상호, 양재삼, 2005. 서해 배타적 경제수역(EEZ)내 해사 채취구역의 지형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6: 836-843 

  6. 박용욱, 2004. 바다모래채굴에 따른 구체적인 해역이용협의기준을 마련해야. 해양수산동향, 1153: 1-16 

  7. 조동오, 장학봉, 2003. 바다모래 수급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57 pp. 

  8. 장학봉, 박수진, 2004. 해역이용협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바다모래채굴을 중심으로-. 월간해양수산, 240: 31-43 

  9. 해양수산부, 1997. 바다안내도 

  10. Byrnes, M.R., R.M. Hammer, T.D. Thibaut and D.B. Snyder, 2004. Physical and biological effects of sand mining offshore Alabama, U.S.A. J. Coastal Res., 20: 6-24 

  11. Coelho, J.P., M.R. Flindt, H.S. Jensen, A.I. Lillebo and M.A. Pardal, 2004. Phosphorus speciation and availability in intertidal sediments of a temperate estuary: relation to eutrophication and annual P-fluxes. Estuarine, Coastal Shelf Sci., 61: 583-590 

  12. De Grave, S. and A. Whitaker, 1999. Benthic Community Re-adjustment following dredging of a muddy-maerl matrix. Mar. Pollut. Bull., 38: 102-108 

  13. De Groot, S.J., 1979. An assessment of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 of large-scale sand-dredging for the building of artificial islands in the North Sea. Ocean Mgmt, 5: 211-232 

  14. Desprez, M., 2000. Pysical and biological impact of marine aggregate extraction along the French coast of the Eastern English Channel: short and long-term post-dredging restoration. ICES J. Mar. Sci., 57: 1428-1438 

  15. Ehrenhauss, S., U. Witte, F. Janssen and M. Huettel, 2004. Decomposition of diatoms and nutrient dynamics in permeable North Sea sediments. Cont. Shelf Res., 24: 721-737 

  16. Falcao, M., M.B. Gaspar, M. Caetoano, M.N. Santos and C. Vale, 2003. Short-term environmental impact of clam dredging in coastal waters (south of Portugal): chemical disturbance and subsequent recovery of seabed. Mar. Environ. Res., 56: 649-664 

  17. Hitchcock, D.R. and B.S. Drucker, 1996. Investigation of benthic and surface plumes associated with marine aggregate mining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Global Ocean - Towards Operational Oceanography. Proceedings of the Oceanology International 1996 Conference. Spearhead, Surrey, pp. 221-234 

  18. Jensen, H.S., P.B. Mortensen, F.o. Andersen, E. Rasmussen and A. Jensen, 1995. Phosphorus cycling in a coastal marine sediment, Aarhus Bay, Denmark. Limnol. Oceanogr., 40: 908-917 

  19. Jones, R.A. and G.F. Lee, 1981. The significance of dredging and dredged material disposal as a source of nitrogen and phosphorus for estuarine waters, IN: Estuaries and nutrients, Humana Press, Clifton, NJ, pp. 517-530 

  20. Karageorgis, A.P., H.G. Kaberi, A. Tengberg, V. Zervakis, P.O.J. Hall and Ch. L. Anagnostou, 2003. Comparison of particulate matter distribution, in relation to hydrography, in the mesotrophic Skagerrak and the oligotrophic northeastern Aegean Sea. Cont. Shelf Res., 23: 1787-1809 

  21. McCauley, J.E., R.A. Parr and D.R. Hancock, 1977. Benthic infauna and maintenance dredging: A case study. Water Res., 11: 233-242 

  22. Millie, D.F., G.R. Weckman, R.J. Pigg, P.A. Tester, J. Dyble, R.W. Litaker, H.J. Carrick and G.L. Fahnenstiel, 2006. Modeling phytoplankton abundance in Saginaw Bay, Lake Hur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discern functional influn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and relevance to a great lakes observing system. J. Phycol., 42: 336-349 

  23. Morin, J. and J.W. Morse, 1999. Ammonium release from resuspended sediments in the Laguna Madre estuary. Mar. Chem., 65: 97-110 

  24. Newell, R.C., L.J. Seiderer and D.R. Hitchcock, 1998. The impact of dredging works in coastal waters: a review of the sensitivity to disturbance and subsequent recovery of biological resources on the sea bed. Oceanogr. Mar. Biol. Annu. Rev., 36: 127-178 

  25. Newell, R.C., L.J. Seiderer, N.M. Simpson and J.E. Robinson, 2004. Impacts of marine aggregate dredging on benthic macrofauna off the south coast the United Kingdom. J. Coastal Res., 20: 115-125 

  26.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73 pp. 

  27.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 Oceanogr., 14: 799-801 

  28. Whiteside, P.G.D., K. Ooms and G.M. Postma, 1995. Generation and decay of sediment plumes from sand dredging overflow. In: Proceedings of the 14th World Dredging Congress, pp. 877-8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