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서쪽 연안에서 음향자원 조사를 이용한 저층 어군의 시.공간 분포
Hydroacoustic Survey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Near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0 no.2, 2008년, pp.181 - 191  

강돈혁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  임양재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이창원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  유준택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near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using hydroacoustic survey. A 200 kHz split beam transducer attached to a small towed body was used for all acoustic investigations. The received acoustic data were in situ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산 음향 기법이 가지는 장점을 이용하여 다양한 해양 환경 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주도 서쪽 연안 지역의 어류 자원에 대해 저층 부근에 형성되는 어군을 중심으로 계절별 시·공간 분포 및 수직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 중층 어류에 의한 연구는 자망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근이 용이하나 해저면 근처에 분포하는 어류의 조사는 통발을 이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조사 면적의 제한성이 큰 한계점이 있어 자원량 추정 및 분포 위치 파악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심 분해능이 큰 고주파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해저면 부근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음향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저층 어류의 음향 조사는 중층 어류 조사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최근에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으며 그 효용성이 규명되고 있다 (Benoit-Bird et al.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서쪽 연안 지역에서 4 계절에 걸친 음향 조사를 통하여 저층 부근에 서식하는 어류의 시·공간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서쪽 연안에서 4계절에 걸친 음향 조사를 통하여 해저면 부근에 서식하는 어류의 시·공간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수산음향 기법을 이용한 연안 어류 자원 조사는 언제,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 수산음향 기법을 이용한 연안 어류 자원 조사는 2001년 통영 해역에서 시작되어 여수 남단의 다도해 지역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주로 어군의 공간 분포에 초점을 두고 계절별로 이루어지고 있다(해양수산부 2002;해양수산부 2006). 최근에는 동해의 울진 해역과 제주도 연안의 자원 조사 특성 파악에 음향 기법을 일부 적용하고 있다(해양수산부 2007).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산음향 기법을 일부 적용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수산음향 기법을 이용한 연안 어류 자원 조사는 2001년 통영 해역에서 시작되어 여수 남단의 다도해 지역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주로 어군의 공간 분포에 초점을 두고 계절별로 이루어지고 있다(해양수산부 2002;해양수산부 2006). 최근에는 동해의 울진 해역과 제주도 연안의 자원 조사 특성 파악에 음향 기법을 일부 적용하고 있다(해양수산부 2007).
수산음향 기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수중음향을 이용한 수산 자원 조사 방법은 원양 수산자원의 분포 조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연안 조사에까지 확대되고 있다(Simmonds and MacLennan 2005). 수산음향 기법은 연구자의 주관을 배제시키고 사전에 설정된 음향 조사 정선으로부터 연속적이며 수 층 전체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우점종이 분포하는 해역에서 우점 어류의 음향 표적 강도(acoustic target strength, TS) 특성이 제공된다면 현존 자원량까지 추정이 가능한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다(Foote 1987; Hewitt and Demer 1993; Ohshimo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돈혁. 2002. 참돔과 조피볼락의 음향 산란 특성. 이학박사 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96 p 

  2. 고유봉, 신희섭. 1990. 제주도 남부 화순연안 수산자원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다양도. 한국어류학회지, 2(1), 36-46 

  3. 김인옥, 노홍길. 1994. 제주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중국대륙연안수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7(5), 515-528 

  4. 김준택, 정동근, 노홍길. 1999. 제주도 한림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 특성과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III. 어획량 변동과 환경요인. 한국수산학회지, 32(1), 105-111 

  5. 명정구, 조선형, 박정호, 백상규, 김종만, 강필선. 2003. 다이빙 조사에 의한 가을철 가거도 연안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15(3), 207-211 

  6. 방익찬, 김태희. 1993. 제주도 서부 연안역의 용승.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논문집, 17, 1-12 

  7. 이승종, 고유봉, 김병직. 2006. 제주도 서부 해역의 난자치어분포와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8(2), 129-140 

  8. 차병열, 김병엽, 오성우. 2001. 제주도 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과 어기. 한국어류학회지, 13(3), 210-219 

  9. 차병열, 장대수, 김병엽. 2004. 제주도 함덕 연안의 정치망 어획량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7(1), 65-72 

  10. 해양수산부. 2002. 통영해역의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 용역사업 보고서. BSPM114-00-1424-7. 783 p 

  11. 해양수산부. 2003. 동.서.제주형 바다목장개발 후보지 선정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용역. BSPM177-00-1497-3. 314 p 

  12. 해양수산부. 2006. 전남 다도해형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 보고서. BSPM35300-1745-3. 640 p 

  13. 해양수산부. 2007. 동.서.제주해역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 BSPM42400-1897-3 

  14. 허성회, 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4), 288-301 

  15. Abad, R., J. Miquel, M. Iglesias, and F. Alvarez. 1998. Acoustic estimation of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sardine in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Fish. Res., 34, 239-245 

  16. Benoit-Bird, K.J., W.W.L. Au, C.D. Kelley, and C. Taylor. 2003. Acoustic backscattering by deepwater fish measured in situ from a manned submersible. Deep-Sea Res. I, 50, 221-229 

  17. BioSonics. 2005. X-series echosounder and visual acquisition 5.0 user guide. BioSonics Inc., Seattle 

  18. Diachok, O., B. Liorzou, and C. Scalabrin. 2001. Estimation of the number density of fish from resonance absorptivity and echo sounder data. ICES J. Mar. Sci., 58, 137-153 

  19. Doray, M., E. Josse, P. Gervain, L. Reynal, and J. Chantrel. 2006. Acoustic characterization of pelagic fish aggregations around moored fish aggregating devices in Martinique (Lesser Antilles). Fish. Res., 82, 162-175 

  20. Everson, I., M. Bravington, and C. Goss. 1996. A combined acoustic and trawl survey for efficiently estimating fish abundance. Fish. Res., 26, 75-91 

  21. Foote, K.G. 1987. Fish target strength for use in echo integrator surveys. J. Acoust. Soc. Am., 82(3), 981-987 

  22. Hewitt, R.P. and D.A. Demer. 1993. Dispersion and abundance of Antarctic Krill in the vicinity of Elephant Island in the 1992 austral summer, Mar. Ecol. Prog. Ser., 99, 29-39 

  23. Jolly, G.M. and I. Hampton. 1990. A stratified random transect design for acoustic surveys of fish stocks. Can. J. Fish. Aquat. Sci., 47, 1282-1291 

  24. Kang, D.H. and D.J. Hwang. 2003. Ex situ target strength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bream (Pagrus major) in the Northwest Pacific. ICES J. Mar. Sci., 60, 538-543 

  25. MacLennan, D.N. and E.J. Simmonds. 1992. Fisheries Acoustics. Chapman & Hall, London. 325 p 

  26. McClatchie, S., G.J. Macaulay, and R.F. Coombs. 2003. A requiem for the use 20 log10 Length for acoustic target strength with special reference to deep-sea fishes. ICES J. Mar. Sci., 60, 419-428 

  27. Ohshimo, S. 2004. Spatial distribution and biomass of pelagic fish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based on acoustic surveys from 1997 to 2001. Fish. Sci., 70, 389- 400 

  28. Pang, I.C., H.K. Rho, and T.H. Kim. 1992.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mass distributions and their causes in the Yellow Sea, the East China Sea and the adjacent seas of Cheju Island. Bull. Korean Fish. Soc., 25, 151-163 

  29. Reid, D., C. Scalabrin, P. Petitgas, J. Masse, R. Aukland, P. Carrera, and S. Georgakarakos. 2000. Standard protocols for the analysis of school based data from echo sounder surveys. Fish. Res., 47, 125-136 

  30. Simmonds, E.J. and D.N. MacLennan. 2005. Fisheries Acoustics, 2nd ed. Blackwell Science Ltd., Oxford. 437 p 

  31. SonarData. 2000. SonarData EchoView User Guide. SonarData Tasmania Pty. Lt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