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성어기 넙치 사육용으로 부상배합사료를 제조하여 습사료와 그 효능을 비교함으로써 넙치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최초 평균체중 594g의 실험어를 6개의 15톤 수조에 150마리씩 사료별 2반복으로 수용하여, 실험 부상배합사료 2종류와 습사료를 1일 2회 만복으로 공급하며 32주간 사육하였다. 사육기간 동안의 평균수온은 $13.2{\pm}4.0^{\circ}C$였다. 생존율은 실험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종체중은 MP 실험구가 EP1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EP2 보다는 높았다. 사료효율은 MP 실험구가 EP 실험구보다 낮았으며, 사료섭취율은 MP가 EP 실험구보다 높았다. 실험어의 비만도는 모든 실험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사육실험 종료 후, 실험어 등근육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지질 함량은 실험사료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 사용된 EP의 사료조성은 미성어기에서 상품크기의 넙치 사육을 위한 MP 대체 배합사료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xtruded pellets(EP) for the growth of sub-adult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comparing with raw fish-based moist pellet(MP). Two replicate groups of 150 fish per each tank(initial mean weight $594{\pm}6.5g$) were fed one of two EPs(EP1 and EP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넙치의 영양요구에 관한 연구 결과들(Lee et al., 2000; Lee et al., 2003; Kim and Lee, 2004; Lee and Kim 2005; Kim et al., 2006)을 토대로 하여, 미성어기 넙치 사육용으로 부상배합사료를 제조하여 습사료와 사육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넙치 미성어기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미성어기 넙치 사육용으로 부상배합사료를 제조하여 습사료와 그 효능을 비교함으로써 넙치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최초 평균체중 594g의 실험어를 6개의 15톤 수조에 150마리씩 사료별 2반복으로 수용하여, 실험 부상배합사료 2종류와 습사료를 1일 2회 만복으로 공급하며 32주간 사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어가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갱이, 청어 및 양미리 등의 생사료가 갖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생산량을 쉽게 조정하여 기간별 계획생산이 가능하므로 공급과 가격이 안정적이다. 반면, 양어가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갱이, 청어 및 양미리 등의 생사료는 어획되는 어종이나 어획 시기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수급의 불안정에 따른 가격변동, 냉동보관에 따른 경비의 과다 소요, 부적절한 냉동 보관에 따른 생사료의 산패 및 사료 제조시 해동에 따른 수질 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생사료에 비해 배합사료의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넙치를 양식하는 우리나라 양어가들의 대부분이 치어기를 제외한 육성기 및 미성어기 육성용 먹이로 생사료를 계속 사용하는 이유는 성어기의 성장둔화로 배합사료가 생사료에 비해 1~2개월 출하시기가 늦어지거나, 생사료로 사육한 넙치에 비하여 상품성이 떨어지고, 생사료에 비해 생산원가가 높기 때문이다.
배합사료를 생사료와 비교하였을 때의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배합사료는 생사료와 비교하여 영양학적으로 균형있는 사료로 만들 수 있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사료 급이량 조절이 쉬워 양식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 또한 생산량을 쉽게 조정하여 기간별 계획생산이 가능하므로 공급과 가격이 안정적이다. 반면, 양어가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갱이, 청어 및 양미리 등의 생사료는 어획되는 어종이나 어획 시기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수급의 불안정에 따른 가격변동, 냉동보관에 따른 경비의 과다 소요, 부적절한 냉동 보관에 따른 생사료의 산패 및 사료 제조시 해동에 따른 수질 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 넙치의 실험사료의 원료들 중 단백질원과 지질원, 탄수화물원으로는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실험사료의 원료들은 시판사료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로 선정하였다. 단백질원으로 어분, 대두박, 밀글루텐, 오징어간분 및 크릴밀을 사용하였으며, 지질원과 탄수화물원으로는 어유와 소맥분을 각각 사용하였다. EP1은 조단백질과 조지질 함량이 55% 및 10%가 되도록 하였으며, EP2는 어분 및 크릴분의 함량을 감소하는 대신 어유 함량을 증가시켜, 조단백질 50%에 조지질이 13%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am, M. S., S. Teshima, S. Koshio and M. Ishikawa, 2002. Arginine requirement of juvenile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stimated by growth and biochemical parameters. Aquaculture, 205, 127-140 

  2. Alam, M. S., S. Teshima, M. Ishikawa, S. Koshio and D. Yaniharto, 2001. Methionine requirement of juvenile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stimated by the oxidation of radioactive methionine. Aquacult. Nutr., 7, 201-209 

  3. Cho, S. H., S.-M. Lee and J. H. Lee, 2005. Effect of the extruded pellets and raw fish-based moisture pell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 for 10 months. J. Aquacult., 18, 60-65 

  4. Duncan, D. B., 1955. Multiple-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5. Forster, I. and H. Y. Ogata, 1998. Lysine requirement of juvenile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juvenile red sea bream Pagrus major. Aquaculture, 161, 131-142 

  6. Jang, H.-S., K.-D. Kim and S.-M. Lee, 2005. Effect of various commercial fish meals as dietary protein source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 18, 267-271 

  7. Kim, K.-D. and S.-M. Lee, 2004. Requirement of dietary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for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229, 315-323 

  8. Kim, Y.-S., B.-S. Kim, T.-S. Moon and S.-M. Lee, 2000. Utilization of defatted soybean meal as a substitute for fish meal in the diet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Kor. Fish. Soc., 33, 469-474 

  9. Kim, K.-D., K.-M. Kim, K.-W. Kim, Y. J. Kang and S.-M. Lee, 2006. Influence of lipid level and supplemental lecithin in diet on growth, feed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suboptimal water temperatures. Aquaculture, 251, 484-490 

  10. Kim, K.-D., Y. J. Kang, H. Y. Lee, K.-W. Kim, K.-M. Kim and S.-M. Lee, 2006a. Evaluation of extruded pellets as a growing diet for adult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 19, 173-177 

  11. Kim, K.-W., Y. J. Kang, H. Y. Lee, K.-D. Kim, S.-M. Choi, S. C. Bai and H. S. Park, 2006b. Commercial scale evaluation of practical extruded pellet feed for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Kor. Fish. Soc. 39, 100-105 

  12. Lee, S.-M. and K.-D. Kim., 2005. Effect of various levels of lipid exchanged with dextrin at different protein level in di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 Nutr., 11, 1-8 

  13. Lee, S.-M., S. H. Cho and K.-D. Kim, 2000.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energy level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World Aquacult. Soc., 31, 306-315 

  14. Lee, S.-M., I.-G. Jeon, and J. Y. Lee, 2002. Effects of digestible protein and lipid levels in practical feed on growth, protein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quaculture, 211, 227-239 

  15. Lee, S.-M., K.-D. Kim and S. P. Lall, 2003. Utilization of glucose, maltose, dextrin and cellulose by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221, 427-438 

  16. Lee, S.-M., J.-Y. Seo, Y.-W. Lee, K.-D. Kim, J. H. Lee and H.-S. Jang, 2005. Evaluation of experimental extruded pellet, commercial pellet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for growing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 18, 287-297 

  17. Park, S.-U., M. G. Kwon, Y.-H. Lee, K.-D. Kim, I.-S. Shin and S.-M. Lee, 2003. Effects of supplemental Undaria, obosan and wasabi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 16, 210-2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