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Grid 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with Finite Volume Method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1 no.9, 2008년, pp.895 - 905  

최윤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이진희 (인하대학교 사회기반기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역의 수문현상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형자료와 수문 시계열자료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수자원 주제도와 같은 지형자료 뿐만 아니라 수치예보자료 및 강우레이더의 관측자료와 같은 수문 시계열자료 또한 격자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수문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격자형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단기간의 강우-유출 현상을 모의하기 위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개발하였다. 지표면 유출과 하도 유출의 모의는 운동파 방정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침투량 산정을 위해서 Green-Ampt 모형을 이용하고 있다. 지배방정식유한 체적법을 이용하여 이산화 하였으며, TDMA(TriDiagonal Matrix Algorithm) 방법을 이용하여 연립방정식을 풀고, 비선형 항에 대해서는 Newton-Raphson 방법으로 반복 계산함으로써 수렴해를 도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단순화된 가상의 유역에 대해서 적용한 결과를 $Vflo^{TM}$ 모형의 모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위천 유역의 적용을 통해 모형의 검증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모의결과는 관측유량의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nalyze hydrologic processes in a watershed requires both various geographical data and hydrological time series data. Recently, not only geographical data such as DEM(Digital Elevation Model) and hydrologic thematic map but also hydrological time series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and r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GRM 모형을 실제 유역에 적용함으로써 모형의 구동을 위한 자료의 구축과정과 매개변수의 설정배경 및 추정과정을 제시하였으며, 모형을 검증하고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대상 유역은 경상북도 군위군의 무성 수위관측소 상류에 위치한 위천 유역이며 약 472km2의 유역 면적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GRM 모형의 수문성분 해석모듈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상의 유역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가상의 균일한 강우를 발생시킨 후 해석결과를 검토하였다. 각각의 격자에 대한 모의결과는 GRM 모형과 동일한 지배방정식을 적용하고 있는 VfloTM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을 개발하였다. 지표면 유출과 하도 유출의 해석을 위한 지배방정식은 운동파 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침투량 산정은 Green-Ampt 모형을 이용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강우-유출해석을 위한 분포형 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홍수 유출의 주요 수문인자인 강우, 침투, 지표유출, 지표하 유출을 주요 컴포넌트로 포함하고 있다. Fig.
  • 최근 들어 이와 같이 격자 형태로 제공되는 지형 및 수문시계열자료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격자형태의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내에서 격자 단위로 유출모의를 수행 할 수 있는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GRM)을 개발하였다.

가설 설정

  • 사공호상은 농업지역, 수역, 습지의 불투수율을 직접적으로 제안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농업지역에 대해서는 논, 밭, 비닐하우스의 불투수율을 평균한 값을 적용하였으며(홍준범 등, 2006), 수역과 습지는 모든 강우가 직접 유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특성별 조도계수로 Vieux(2004)에 의해서 제안된 값을 적용하고 있으나, 수역에 대해서는 흐름이 발생되는 수역은 하도인 것으로 가정하여 하도에서의 조도계수를 적용하고 있으며, 본문 “5.5 매개변수 추정”에서 이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 지표면에서의 초기수심은 건조한 상태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는 모든 지표면 흐름(overland flow) 모의 대상 격자에서의 초기수심이 “0”으로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격자 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을 개발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을 개발하였다. 지표면 유출과 하도 유출의 해석을 위한 지배방정식은 운동파 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침투량 산정은 Green-Ampt 모형을 이용하고 있다. 지배방정식은 유한체적법을 이용해서 이산화 하였으며, TDMA 방법을 이용하여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비선형 항에 대해서는 Newton-Raphson 방법을 이용하여 수렴해를 도출하였다. GRM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가상의 유역을 설정하고, 각 격자에 대해서 모의된 결과를 VfloTM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였다. 가상의 유역에 대한 검토결과 강우, 침투, 지표면 유출, 지표하 유출, 하도 유출의 수문성분에 대한 해석 모듈이 적합하게 구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 구동을 위한 입출력 모듈 또한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GRM 모형을 위천 유역에 적용함으로써 모형 구동을 위한 자료의 구축과 매개변수의 설정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모형을 검증하고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위천 유역의 적용결과 모형의 구동을 위한 자료구축과 적용과정 및 매개변수의 설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천 유역의 4개 강우사상에 대한 적용에서는 모든 매개변수에 대해서 GRM에서 제안하고 있는 값을 적용하고, 선행강우에 따라서 수문사상별로 달라지는 초기 함수율과 건천차수 만을 보정하였다. 모의결과는 관측 값과 비교하였을 때 첨두유량은 0.9~4.6 %, 총유출량은 0.7~20.4 %의 상대오차를 나타냈고 첨두시간의 발생시간은 정확히 일치하였으며, 따라서 관측된 유출의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이는 향후 다양한 유역과 수문사상에 대한 추가 검토를 필요로 한다.
유역의 수문 분석에 이용되는 격자 형태의 지형자료로 무엇을 나타낼 수 있는가? 유역의 수문 분석에 이용되는 격자 형태의 지형자료는 수문학적 지형 요소들의 공간분포를 표현할 수 있으며, 수치예보자료와 강우레이더자료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격자 형태의 강우자료는 강우의 공간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이 격자 형태로 제공되는 지형 및 수문시계열자료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유역에서의 수문순환의 해석을 위해 SHE 모형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986)은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SHE(Systeme Hydrologique Europeen)를 개발한 바 있다. SHE 모형에서는 유역에서의 수문순환의 해석을 위하여, 차단, 증발산, 지표면 유출, 하도 유출, 지표하 흐름, 융설을 모의할 수 있다. 지표면 흐름에서는 2차원 확산파 방정식을 양해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해석하고 있으며, 하도에서의 흐름은 일차원 확산파 방정식의 해석에 음해 유한차분법을 적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석구 (2003).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 모형의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p. 5-19 

  2. 김성준 (1998).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개발(I)-이론 및 모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3호. pp. 303-308 

  3. 김경탁 (1998). GIS 적용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pp. 94-98 

  4. 김경탁 (2003).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CN 산정에 대한 제안."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36, No. 4, pp. 45-53 

  5. 노성진, 김현준, 장철희 (2005). "청계천 유역에 대한 WEP 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8호. pp. 645-653 

  6. 농업기술연구소 (1992). 증보 한국토양총설. 토양조사자료 13. 농촌진흥청. pp. 283-290 

  7. 박진혁, 윤지현, 정구열, 성영두 (2008). "홍수유출해석을 위한 Hydro-BEAM 모형의 개선." 2008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179-2183 

  8. 사공호상 (2003).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불투수지표면 분석방법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GIS 학회지, 한국 GIS 학회, Vol. 11, No. 4, pp. 509-518 

  9. 신사철 (1996).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유출해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6호. pp. 131-139 

  10. 이진희 (1996). 유한체적법에 의한 개수로에서의 2차원 부정류 해석.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1-27 

  11. 최진규, 손재권 (1992). "유한요소법에 의한 소유역 유출모형의 적용."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 25권, 제3호. pp. 97-104 

  12. 최현상 (2001). GIS와 불확실도 해석기법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pp. 31-39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5). 이차원 하천모형의 개발(I), KICT/95-WR-1103-1, pp. 73-91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6). 이차원 하천모형의 개발(II), 건기연 96-055, pp. 95-104 

  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HyGIS 개발. 과학기술부. pp. 11-63 

  16. 홍준범, 김병식, 윤석영 (2006). "VfloTM 모형을 이용한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성 평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6B호. pp. 613-622 

  17. 土木硏究所 (2002). WEP モデル 解說書, 土木硏究所, pp. 3-22 

  18. Abbott, M.B., Bathurst, J.C, Cunge, J.A., O'Connell, P.E., and Rasmussen, J. (1986). "An introduction to the European Hydrological System - Systeme Hydrologique Europeen, "SHE", 2:Structure of a physically-based, distributed modelling s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87, pp. 61-77 

  19. Beven, K. (1981). "Kinematic subsurface stormflow."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7, No. 5, pp. 1419-1424 

  20. Chaudhry, M.H. (1993). Open-channel flow. Prentice-Hall, pp. 82-86 

  21. Chow, V.T. (1959). Open-channel hydraulics. McGraw-Hill, pp. 101-123 

  22. Chow, V.T., Maidment, D.R., and Mays, L.W. (1988).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pp. 110-147 

  23. Goodrich, D.C., Woolhiser, D.A, and Keefer, T.O. (1991). "Kinematic routing using finite elements on a triangular irregular network."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7, No. 6, pp. 995-1003 

  24. Jain, M.K., Kothyari, U.C., and Ranga Raju, K.G. (2004). "A GIS 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299, pp. 107-135 

  25. Julien, P.Y., Saghafian, B., and Ogden, F.L. (2004). "Raster-based hydrologic modeling of spatiallyvaried surface runoff."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32, No. 3, pp. 523-536 

  26. Nawahda, A., Kojiri, T., and Ikebuchi, S. (2004). "Distributed runoff model linking surface with groundwater processes." Annuals of Disas. Prev. Res. Inst., Kyoto Univ., No. 47C 

  27. O'Callaghan, J.F. and Mark D.M. (1984). "The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from digital elevation data." Computer vision,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Vol. 28, pp. 324-344 

  28. Ogden, F.L. (1997). CASC2D Reference manual, Univ. of Connecticut. pp. 20-32 

  29. Patankar, S.V. (1980). Numerical heat transfer and fluid flow.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pp. 42-66 

  30. SFWMD(South Florida Water Management District). (2005). Regional Simulation Model (RSM)-Theory manual, South Florida Water Management District Office of Modeling. pp. 26-32 

  31. Vieux, B.E., Bralts, V.F., Segerling, L.J., and Wallace, R.B. (1990). "Finite element watershed Modeling: one-dimensional element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6, No. 6, pp. 803-819 

  32. Vieux, B.E. and Vieux, J.E. (2002). " $Vflo^{TM}$ : A real tim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Proceedings of the Second Federal Interagency Hydrologic Modeling Conference, Las Vegas, Nevada 

  33. Vieux, B.E. and Vieux, J.E. (2003). "Operational deployment of physics-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or flood forecasting in Taiwa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from Weather Radar and Distrubuted Hydrologic Modeling, IAHS, Sapporo, Japan 

  34. Vieux, B.E.(2004).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5. Zhao, D.H., Shen, H.W., Tobios III, G.Q, Lai, J.S., and Tan, W.Y. (1994). "Finite-volume twodimensional unsteady-flow model for river basi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0, No. 7, pp. 863-8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