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적정 설계
Best Buffer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 using a Pilot with Different Plant Species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 Loading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7 no.1, 2008년, pp.1 - 9  

김성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  최이송 (경희대학교 환경연구센터)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n-point pollution is caused by many diffusive sources, unlike a point pollution derived from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or sewage treatment plants. Runoff of non-point pollutants is originated from rainfall or thawing in short period of time moving over and through the a ground surfa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비점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최적 폭의 길이 산정을 위해 남한강 수변에서의 현장실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변완충지대의 효율적 조성을 위해, 수변구역 현장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폭의 길이별, 식생종별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수변완충구역의 효율적 조성에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인 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변완충지대는 어떠한 공간인가? 수변완충지대는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 (Habitat)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이기도 하다(Fennessy, M.S.
맑은 물 법을 제정한 시기는? 1970년대“맑은 물 법(Clean Water Act)”을 처음 제정하여 강력하게 공공수역의 수질 개선에 앞장선 미국이 1990년대 들어와서도 목표수질을 달성하지 못하자 그 동안의 수질개선정책에 기본적인 의문이 생기기 시작하였다(US EPA, 2001). 즉 그 동안 엄청난 노력을 들여 하수처리시설을 확충하여 점오염물질은 성공적으로 저감 하였지만, 비점오염물질의 저감에는 사실상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 목표수질 달성 실패 원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맑은 물 법을 제정하면서 강력하게 공공수역의 수질 개선에 앞장선 미국의 수질개선정책이 실패했던 원인은 무엇인가? 1970년대“맑은 물 법(Clean Water Act)”을 처음 제정하여 강력하게 공공수역의 수질 개선에 앞장선 미국이 1990년대 들어와서도 목표수질을 달성하지 못하자 그 동안의 수질개선정책에 기본적인 의문이 생기기 시작하였다(US EPA, 2001). 즉 그 동안 엄청난 노력을 들여 하수처리시설을 확충하여 점오염물질은 성공적으로 저감 하였지만, 비점오염물질의 저감에는 사실상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 목표수질 달성 실패 원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결과 이른바‘하천복원(Stream Restoration)’이라는 다양한 최적관리기법(BMP)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의 저감에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하였고, 그 중 대표적인 방법이 수변완충구역(Riparian Buffer Zone), 또는 수변완충지대(Riparian Buffer Strip)의 설정과 관리의 도입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국무조정실, 행정자치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환경부, 건설교통부, 산림청, 물관리 종합대책의 추진강화를 위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2. 권순국, 1998, 우리나라 비점원 수질오염 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20(11), 1497-1590. 

  3. 김영철, 이재수, 2002, 강우시 유역특성에 따른 유출 오염물질 농도곡선의 형상,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24(4), 633-645. 

  4. 나승렬, 1999, 미국의 농지 보전정책, 직무파견활동 결과보고서, 농림부, 300-351. 

  5. 오종민, 배재근, 1997, 토양오염학, 신광문화사, 57-60. 

  6. 진재섭, 1995, 도시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서울시정 개발연구원 서울시정연구포럼, 24, 22-24.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팔당상수원 비점오염원 유출특성과 최적관리방안. 

  8. 환경부, 2003, 한강수변구역 변경, 환경부 고시 제2003-125호. 

  9. Daniels, R. B. and J. W. Gilliam, 1996, Sediment and chemical load reduction by grass and riparian filter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0, 246-251. 

  10. Dillaha, T. A. et al., 1998, Evalu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s as a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feed lots, Journal of the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60(7), 1231-1238. 

  11. Fennessy, M. S. and J. K. Cronk, 1997, The effectiveness and restoration potential of riparian ecotones for the mane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particularly nitrate, Critical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7(4), 285-317. 

  12. Hedin, L. O. et al., 1998, Thermodynamic constraints on nitrogen transformations and other biogeochemical processes at soil-stream interfaces, Ecology, 79(2), 684-703. 

  1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watershed Management for Potable Water Supply. 

  14. Novotny and Chesters, 1995, Nonpoint Pollution and urban storm water management, water quality manegement library, Technomic Publishing Co. Inc., 9. 

  15. Park, J. Y., Jo, Y. M., and Oh, J. M., 2000, Characterization of nonpoint source from Urban Runof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10), 39-48. 

  16. US EPA, 2001, National Management Measure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Forestr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